드래곤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드래곤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드래곤체인'''(Dragonchain)]]
+
[[파일:드래곤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드래곤체인'''(Dragonchain) 로고]]
[[파일:드래곤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드래곤체인'''(Dragonchain)]]
+
[[파일:드래곤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드래곤체인'''(Dragonchain) 글자]]
 
[[파일:조 로엣.jpg|썸네일|200픽셀|'''[[조 로엣]]'''(Joe Roets) 드래곤체인 창시자]]
 
[[파일:조 로엣.jpg|썸네일|200픽셀|'''[[조 로엣]]'''(Joe Roets) 드래곤체인 창시자]]
  
'''드래곤체인'''<!--드래곤 체인-->(Dragonchain)은 미국 [[월트 디즈니 회사]] 출신의 [[조 로엣]]이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해 만든 [[암호화폐]]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다. 2016년 10월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월트 디즈니 회사]]의 직원 출신이었던 [[조 로엣]](Joe Roets)이 만들었다. 드래곤체인의 화폐 단위는 '''DRGN'''이다.
+
'''드래곤체인'''<!--드래곤 체인-->(Dragonchain, 龙链)은 미국 [[월드 디즈니 회사]] 출신의 [[조 로엣]]이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해 만든 [[암호화폐]]이다. '''드래곤코인'''(Dragoncoin)이라고도 한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서, [[작업증명]](PoW)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2016년 10월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월트 디즈니 회사]]의 직원 출신이었던 [[조 로엣]](Joe Roets)이 만들었다. 드래곤체인의 화폐 단위는 '''DRGN'''이다.
  
 
==개요==
 
==개요==
14번째 줄: 14번째 줄:
 
* 2017년 01월 : 비영리 조직인 [[드래곤체인 재단]] 설립<ref>드래곤체인 백서 - Dragonchain, "[https://dragonchain.com/dd6d7a464346349a6659b8c1075e6772.pdf Dragonchain Commercial Platform]" Version 6, 2017-09</ref>
 
* 2017년 01월 : 비영리 조직인 [[드래곤체인 재단]] 설립<ref>드래곤체인 백서 - Dragonchain, "[https://dragonchain.com/dd6d7a464346349a6659b8c1075e6772.pdf Dragonchain Commercial Platform]" Version 6, 2017-09</ref>
 
* 2017년 10월 : 드래곤체인 ICO 진행<ref>이상일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0844 디즈니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드래곤체인, 10월 2일 ICO 시작]〉, 《디지털데일리》, 2017-09-29</ref>
 
* 2017년 10월 : 드래곤체인 ICO 진행<ref>이상일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0844 디즈니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드래곤체인, 10월 2일 ICO 시작]〉, 《디지털데일리》, 2017-09-29</ref>
* 2018년 03월 : [[아마존 웹서비스]](AWS) 상업용 플랫폼 론칭
+
* 2018년 03월 : [[아마존 웹 서비스]](AWS) 상업용 플랫폼 론칭
 
* 2018년 04월 : [[스마트 계약]]을 위한 라이브러리 제공
 
* 2018년 04월 : [[스마트 계약]]을 위한 라이브러리 제공
 
* 2018년 06월 : 인큐베이터 프로그램 론칭
 
* 2018년 06월 : 인큐베이터 프로그램 론칭
27번째 줄: 27번째 줄:
  
 
==특징==
 
==특징==
===플랫폼===
 
드래곤체인은 기존 언어를 이용한 개발환경을 유지하면서 그와 동시에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해준다.<ref>렌토리, 〈[http://satori452.tistory.com/872 드래곤체인 호재와 전망 정보 한번에 알아보자]〉, 《티스토리》, 2018-04-24</ref> 다시 말해 시장에서 비용 및 속도 면에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러한 드래곤체인 아키텍처는 [[노드]]들이 데이터의 소비자들에게 신뢰 스펙트럼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블록체인 제공자들에게는 볼 수 없는 수준의 보안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섯 개 레벨의 [[네트워크]] 합의를 기반으로 거래승인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무서버 시스템 및 스마트 계약
 
* [[스마트 계약]]에 대한 기존의 언어 지원([[자바]], [[파이썬]], [[노드]], [[C#]], [[Go]] 등)
 
* 확장가능성 : [[아마존 웹서비스]](AWS) 및 [[구글]](Google) 활용
 
* 보안성 : 업무 데이터 및 운용에 대한 보호
 
* 화폐에 대한 고급 활용
 
* 스마트 계약 라이브러리(화폐 종류 관계없음)
 
===드래곤펀드 인큐베이터===
 
드래곤체인은 장기적 가치에 중점을 둔 성공적인 토큰화 생태계의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인큐베이션 및 전문 서비스들을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한다.
 
====이점====
 
*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에 대한 인큐베이션 및 신규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절차
 
* 프로젝트를 통한 모니터링과 비교를 위한 커뮤니티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마켓플레이스 대시보드
 
* 자문 및 지원을 위한 법률, 기술, 마케팅, 주요 경제 관련 전문가 등과 파트너로서 직접 논의 가능
 
* [[토큰]] 모델과 밀접한 디지털 경제를 모델링 하기 위한 드래곤체인 플랫폼 팀 ; 사업 설계, 이용자 확보 및 유지, 평생 가치, 네트워크 효과 형성, 수익화 모델, 데이터 전략, 핵심성과 지표
 
* 짧아지는 론칭 주기
 
* 지속가능한 토큰 마켓플레이스
 
===서버없는 운용 방식(Serverless Deployment)===
 
드래곤체인 출시와 함께 드래곤체인 플랫폼의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서버가 없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비즈니즈용으로 제공하고 있다. 드랴곤체인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서버가 없는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스마트 계약들은 기존의 모델 및 신뢰할 수 있는 노드 상에서 실행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방식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의 능력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전체 시스템은 AWS Lambda 서비스를 사용하는 Amazon AWS 상에서 시작할 것이다.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모든 스마트 계약들은 Lambda 서비스 상에서 운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들에게 AWS 플랫폼의 전체 확장 용량과 물론 모든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향후 내부 데이터센터의 운용을 위해 Google
 
App Engine 및 Apache OpenWhisk로 본 시스템을 포팅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솔루션===
 
===솔루션===
 
드래곤체인 플랫폼은 다양한 사례들과 디앱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드래곤체인이 제시하는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드래곤체인 플랫폼은 다양한 사례들과 디앱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드래곤체인이 제시하는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67번째 줄: 47번째 줄:
 
4단계 노드는 합의과정에 공증 기능을 제공한다. 외부 파트너의 호스팅을 기반으로 수신되는 4단계 노드는 수신한 모든 3단계 검증 기록을 암호화하여 서명한다. 이 기능은 4단계 노드가 3단계 검증을 위한 독립적인 증인의 역할을 하도록 해준다.
 
4단계 노드는 합의과정에 공증 기능을 제공한다. 외부 파트너의 호스팅을 기반으로 수신되는 4단계 노드는 수신한 모든 3단계 검증 기록을 암호화하여 서명한다. 이 기능은 4단계 노드가 3단계 검증을 위한 독립적인 증인의 역할을 하도록 해준다.
 
* 5단계: 공개 검증 (공개체크포인트)
 
* 5단계: 공개 검증 (공개체크포인트)
5단계 노드는 1개 이상의 퍼블릭 블록체인(예.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으로 연결되는 브릿지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들이 그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처럼 드래곤체인은 블록체인의 소비자들에게 실제 계약, 노드들에 대한 평판, 무신뢰 시스템 검증 등의 조합을 기반으로 위험을 완화하는 신뢰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자신의 데이터를 신뢰하고 있더라도 파트너 또는 외부 노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레벨의 합의가 필요하다. 본 시스템은 이 기능과 관련하여 읽을 수 있는 보고서와 API 접근권한을 제공한다.<ref name="백서영문"></ref>
+
5단계 노드는 1개 이상의 퍼블릭 블록체인(예.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으로 연결되는 브릿지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들이 그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처럼 드래곤체인은 블록체인의 소비자들에게 실제 계약, 노드들에 대한 평판, 무신뢰 시스템 검증 등의 조합을 기반으로 위험을 완화하는 신뢰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자신의 데이터를 신뢰하고 있더라도 파트너 또는 외부 노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레벨의 합의가 필요하다. 본 시스템은 이 기능과 관련하여 읽을 수 있는 보고서와 API 접근권한을 제공한다.<ref name="백서영문">드래곤체인 백서 - Dragonchain, "[https://dragonchain.com/dd6d7a464346349a6659b8c1075e6772.pdf Dragonchain Commercial Platform]" Version 6, 2017-09</ref>
  
===드래곤토큰===
+
===비즈니스 블록체인 플랫폼===
드래곤토큰은 개발자 및 기업들이 드래곤체인 상용 플랫폼의 제품 및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예, 노드 론칭, 스마트 계약 제공, 인큐베이터 대시보드 접근 등) 사용된다. 또한 이 토큰은 유틸리티 서비스 권한의 가치를 지닌 토큰화된 라이선스로서, 토큰은 오픈마켓 상의 네트워크 합의를 위해 개인이나 기업들이 실시하는 공개 또는 비공개 노드의 운용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드래콘토큰은 드래곤펀드 인큐베이터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해당 프로젝트들로부터 발생하는 기술 및 데이터에 대한 조기 접근의 권한을 제공함은 물론 해당 개발 플랫폼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을 우선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한다.
+
드래곤체인은 기존 언어를 이용한 개발환경을 유지하면서 그와 동시에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해준다.<ref>렌토리, 〈[http://satori452.tistory.com/872 드래곤체인 호재와 전망 정보 한번에 알아보자]〉, 《티스토리》, 2018-04-24</ref> 다시 말해서 시장에서 비용 및 속도 면에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러한 드래곤체인 아키텍처는 [[노드]]들이 데이터의 소비자들에게 신뢰 스펙트럼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블록체인 제공자들에게는 볼 수 없는 수준의 보안성 및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섯 개 레벨의 [[네트워크]] 합의를 기반으로 거래승인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드래곤체인 오픈소스 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드래곤체인 재단의 경우, 토큰은 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관련 프로젝트들에 기여하는 개발자들에게 보상 및 장려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토큰은 보상 및 교육을 통해 개발자 커뮤니티 내에서의 채용률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은 이슈 및 설계에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전세계 어디서나 중요한 기능의 개발에 활발한 참여에 대해 보상으로 토큰을 받을 수 있다.
+
* 무서버 시스템 및 스마트 계약
===DDSS프로그램===
+
* [[스마트 계약]]에 대한 기존의 언어 지원([[자바]], [[파이썬]], [[노드]], [[C#]], [[Go]] 등)
드래곤체인은 [[DDSS]](Dragon Days of Slumber Score)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ref>배고픈개미, 〈[http://www.maybugs.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258 드래곤체인(DragonChain)]〉, 《메이벅스》, 2018-04-09</ref> DSSS프로그램 하에서 사용자는 드래곤체인 보유기간과 수량에 따라 점수를 부여받는다.<ref>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414992134 드래곤쳉니 코인 (drgn)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12-15</ref> 그리고 그 점수에 따라 향후 드레곤체인에서 양산하게 되는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이나 세일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ref>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230496675 드래곤 체인(Dragonchain)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03-17</ref>
+
* 확장가능성 : [[아마존 웹 서비스]](AWS) 및 [[구글]](Google) 활용
 +
* 보안성 : 업무 데이터 및 운용에 대한 보호
 +
* 화폐에 대한 고급 활용
 +
* 스마트 계약 라이브러리(화폐 종류 관계없음)
 +
====이점====
 +
* 기존의 개발언어를 활용한 낮은 개발비용
 +
* 시장으로의 더 빠른 전달속도
 +
* 높은 수준의 보안성
 +
* 높은 확장가능성
 +
 
 +
===드래곤펀드 인큐베이터===
 +
드래곤체인은 장기적 가치에 중점을 둔 성공적인 토큰화 생태계의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인큐베이션 및 전문 서비스들을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한다.
 +
====이점====
 +
*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에 대한 인큐베이션 및 신규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절차
 +
* 프로젝트를 통한 모니터링과 비교를 위한 커뮤니티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마켓플레이스 대시보드
 +
* 자문 및 지원을 위한 법률, 기술, 마케팅, 주요 경제 관련 전문가 등과 파트너로서 직접 논의 가능
 +
* [[토큰]] 모델과 밀접한 디지털 경제를 모델링 하기 위한 드래곤체인 플랫폼 팀 ; 사업 설계, 이용자 확보 및 유지, 평생 가치, 네트워크 효과 형성, 수익화 모델, 데이터 전략, 핵심성과 지표
 +
* 짧아지는 런칭 주기
 +
* 지속가능한 토큰 마켓플레이스
  
==인큐베이터==
+
===DSS프로그램===
드래곤펀드는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이 기업들의 임무를 어떻게 진척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장기적 가치창출을 위한 토큰 마켓플레이스 환경의 구축을 위해 기업들과 협업하고 있다. 드래곤체인은 라이선스 수수료 및 토큰 보유기관과 수량에 따라 수익을 얻는다. 또한 인큐베이션 중인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전략적 자원을 제공한다.  
+
드래곤체인은 [[DSS]](Dragon Slumber Score)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ref>배고픈개미, 〈[http://www.maybugs.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258 드래곤체인(DragonChain)]〉, 《메이벅스》, 2018-04-09</ref> DSS프로그램 하에서 사용자는 드래곤체인 보유기간과 수량에 따라 점수를 부여받는다.<ref>슈퍼맨, 〈[https://blog.naver.com/theface112/221414992134 드래곤쳉니 코인 (drgn) 쿵쿵따]〉, 《네이버 블로그》, 2018-12-15</ref> 그리고 그 점수에 따라 향후 드레곤체인에서 양산하게 되는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이나 세일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ref>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230496675 드래곤 체인(Dragonchain)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03-17</ref>
 +
==디앱=
 
===이아곤(IAGON)===
 
===이아곤(IAGON)===
[[아이곤]]([[IAGON]])은 분산형 블록체인 그리드를 통해 여러 컴퓨터의 저장 용량과 처리 능력을 활용하는 플랫폼이다. 현재 클라우드 시스템 시장은 [[AWS]], [[Google Cloud]], [[Microsoft]] [[IBM]]과 같은 4개의 주요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모두 중앙집중형의 신뢰도나 안정성이 낮은 스토리지 및 컴퓨팅 시설을 활용하고 있다. 독점적인 시스템 운영 방식으로 클라우드의 4개 주요 공급 업체는 고객들에게 높은 가격 정책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제공업체들은 광범위한 운영 규모와 데이터 센터, 서버 및 스토리지 시설에 대한 상당한 투자를 통하여, 신규 시장 진입자들의 시장 진입을 방해하고 성장을 가로막는다. 이러한 클라우드 시스템 시장 문제 해결하기을 위해 탄생한 아이곤(IAGON)은 작은 규모의 파일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파일과 저장소를 지니고,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에 필요한 복잡한 컴퓨팅 프로세스를 안전하게 암호화된 보안 시스템 내에서 수행한다. 이아곤은 스토리지 용량, 프로세스 처리 기능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클라우드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며, 제공자, 소비자 모두 풍부하고 완벽하게 안정적이고 풍부한 규모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주요목표는 분산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그리드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및 웹 서비스 시장을 혁신하는 데 있다. 개인과 기업에 스토리지 용량과 컴퓨팅 처리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연간 450억 달러로 추정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코인의 전망은 밝다.웹사이트는 https://www.iagon.com/ 이다. <ref> Eva Strus, 〈[https://medium.com/iagon-official/iagon-joins-dragonchain-incubator-6bc929c9b1e1 IAGON joins DragonChain Incubator]〉, 《MEDIUM》, 2018-02-27</ref>
+
아이곤은 드래곤체인 플랫폼을 사용하고, 드래곤체인 생태계를 위한 시장 공급업체로서 미래의 자원이 되고자 한다. 현재 클라우드 시스템 시장은 AWS, Google Cloud, Microsoft 및 IBM과 같은 4개의 주요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모두 중앙집중형의 신뢰도나 안정성이 낮은 스토리지 및 컴퓨팅 시설을 활용하고 있다. 독점적인 시스템 운영 방식으로 클라우드의 4개 주요 공급 업체는 고객들에게 높은 가격 정책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제공업체들은 광범위한 운영 규모와 데이터 센터, 서버 및 스토리지 시설에 대한 상당한 투자를 통하여, 신규 시장 진입자들의 시장 진입을 방해하고 성장을 가로막는다. 이에 대해 아이곤(IAGON)은 분산된 블록체인 그리드를 통해 여러 컴퓨터의 스토리지 용량과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이 클라우드 시스템 시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플랫폼이다. 토큰 심볼은 IAG이고, 노르웨이에서 만든 토큰이다. 이아곤은 작은 규모의 파일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파일과 저장소를 지니고,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에 필요한 복잡한 컴퓨팅 프로세스를 안전하게 암호화된 보안 시스템 내에서 수행한다. 이아곤은 스토리지 용량, 프로세스 처리 기능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클라우드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며, 제공자, 소비자 모두 풍부하고 완벽하게 안정적이고 풍부한 규모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주요목표는 분산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그리드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및 웹 서비스 시장을 혁신하는 데 있다. 개인과 기업에 스토리지 용량과 컴퓨팅 처리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연간 450억 달러로 추정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망이 좋은 토큰이다.
 
 
===룩 래터럴(Look Lateral)===
 
예술은 역사적으로 가장 믿을만한 투자 중 하나이다. 지난 150년 동안 미술 시장은 계속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2016년에서 2017년까지 1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이탈리아와 미국에 위치해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예술품이 어떻게 구매되고, 판매되고, 인증되는지를 재정의하고, 세계 예술 시장에 좀 더 보편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유동성 있는 시장을 위해 희귀자산을 증권화하여 모든 사람이 예술품의 일부를 사고 파는 것이 가능해졌다. 웹사이트는 http://www.looklateral.com 이다.
 
  
 
== 동영상 ==
 
== 동영상 ==
95번째 줄: 91번째 줄:
 
* 장세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782 디즈니에서 출발한 블록체인 '드래곤체인' ICO로 152억원 모금]〉, 《토큰포스트》, 2017-11-06
 
* 장세미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782 디즈니에서 출발한 블록체인 '드래곤체인' ICO로 152억원 모금]〉, 《토큰포스트》, 2017-11-06
 
* 이상일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0844 디즈니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드래곤체인, 10월 2일 ICO 시작]〉, 《디지털데일리》, 2017-09-29
 
* 이상일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60844 디즈니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드래곤체인, 10월 2일 ICO 시작]〉, 《디지털데일리》, 2017-09-29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535 드래곤체인 - 디즈니 회사가 만들어낸 강력한 블록체인 플랫폼]〉, 《비트웹》, 2018-03-09
+
* 코인정보소 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230496675 드래곤 체인(Dragonchain)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03-17
* 코인정보소 영보스, 〈[https://blog.naver.com/jruits/221230496675 드래곤 체인(Dragonchain)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03-21
 
 
* Dragonchain, "[https://www.youtube.com/watch?v=UEogdXPaxeY Dragonchain Intro - Platform, Incubator, Ecosystem]", ''Youtube'', 2017-09-18
 
* Dragonchain, "[https://www.youtube.com/watch?v=UEogdXPaxeY Dragonchain Intro - Platform, Incubator, Ecosystem]", ''Youtube'', 2017-09-18
* Eva Strus, 〈[https://medium.com/iagon-official/iagon-joins-dragonchain-incubator-6bc929c9b1e1 IAGON joins DragonChain Incubator]〉, 《MEDIUM》, 2018-02-2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