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4번째 줄: 34번째 줄:
 
* '''[[크리스천 카탈리니]]'''(Christian Catalini) :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로서, 저명한 암호경제 전문가이다. 크라우드펀딩, 토크니제이션(tokenization)과 함께 암호화폐 경제학 연구에 최초로 나선 인물 중 하나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왕성하게 글을 썼다.
 
* '''[[크리스천 카탈리니]]'''(Christian Catalini) :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로서, 저명한 암호경제 전문가이다. 크라우드펀딩, 토크니제이션(tokenization)과 함께 암호화폐 경제학 연구에 최초로 나선 인물 중 하나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왕성하게 글을 썼다.
  
* '''[[벤 마우러]]'''(Ben Maurer):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페이스북의 인프라스트럭처 개발자이다. 카네기멜론 조교수 뤼 본 안과 함께 [[구글]]이 2009년 인수한 reCAPTCHA 서비스를 만들었다. 무브(Move) 프로그램 언어 개발팀을 이끌었다.
+
* '''[[벤 마우러]]'''(Ben Maurer):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한 페이스북의 인프라스트럭처 개발자이다. 카네기멜론 조교수 뤼 본 안과 함께 [[구글]]이 2009년 인수한 reCAPTCHA 서비스를 만들었다. 무브(Move) 프로그램 언어 개발팀을 이끌었다.
  
 
* '''[[조지 다네지스]]'''(George Danezis)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의 프라이버시 엔지니어다. 디엠이 기반한 [[체인스페이스]]와 [[코코넛 프로토콜]] 개발자 중 한 명이다. 2019년 2월 페이스북이 자신의 [[스타트업]]을 인수한 뒤 페이스북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 '''[[조지 다네지스]]'''(George Danezis)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의 프라이버시 엔지니어다. 디엠이 기반한 [[체인스페이스]]와 [[코코넛 프로토콜]] 개발자 중 한 명이다. 2019년 2월 페이스북이 자신의 [[스타트업]]을 인수한 뒤 페이스북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