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디코인'''(Dcoin)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2019년 9월 스위스 [[핀마]](FINMA)의 VQF 멤버쉽 라이센스(Registration Number: 100676)를 획득하였다. 스위스 [[추크]]의 [[크립토밸리]]에 설립되었으며, 비즈니스 센터는 싱가포르와 한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자와 개발자는 중국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디코인 거래소는 2018년 8월 21일 오픈 당시  "첫달 거래 수수료 면제 행사" 및 "백만 [[USDT]] 에어드랍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최대 120개의 [[USDT]]를 보너스로 획득할 수 있는 복지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ref name="天极网">Yesky, 〈[http://cloud.yesky.com/info/460/1657455460.shtml 狂撒百万USDT空投糖果 Dcoin创世公测版今日上线]〉, 《天极网》, 2018-08-21</ref>
 
'''디코인'''(Dcoin)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2019년 9월 스위스 [[핀마]](FINMA)의 VQF 멤버쉽 라이센스(Registration Number: 100676)를 획득하였다. 스위스 [[추크]]의 [[크립토밸리]]에 설립되었으며, 비즈니스 센터는 싱가포르와 한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자와 개발자는 중국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디코인 거래소는 2018년 8월 21일 오픈 당시  "첫달 거래 수수료 면제 행사" 및 "백만 [[USDT]] 에어드랍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최대 120개의 [[USDT]]를 보너스로 획득할 수 있는 복지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ref name="天极网">Yesky, 〈[http://cloud.yesky.com/info/460/1657455460.shtml 狂撒百万USDT空投糖果 Dcoin创世公测版今日上线]〉, 《天极网》, 2018-08-21</ref>
 +
 +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디코인 거래소가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 참가했습니다.}}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디코인이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
{|border=0
 +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500픽셀
 +
default [[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imagemap>'''디코인'''(Dcoin)이 '''[[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 참가했습니다.
 +
|}
  
 
== 개요 ==
 
== 개요 ==
 
<!--[[파일:Apple.png|썸네일|100픽셀|'''App Store''']]
 
<!--[[파일:Apple.png|썸네일|100픽셀|'''App Store''']]
 
[[파일:Android.png|썸네일|100픽셀|'''Google Play''']]-->
 
[[파일:Android.png|썸네일|100픽셀|'''Google Play''']]-->
 +
 
디코인은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의 [[가상자산 거래소]]로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코인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위스 [[추크]]의 크립토밸리에서 설립되었으며 2019년  10월 스위스 금융시장감독청인 [[핀마]](FINMA : Federal Financial Market Supervisory Authority) 에서 공인한 자금 세탁 방지 및 테러 자금 조달방지 규제기관(SRO)인 VQF의 라이선스를 획득하였다. (No. 100676) , 글로벌 허브로 [[싱가포르]]와 [[한국]]에 지사를 두고 있다.<ref>''[http://abnnewswire.net/companies/cs/32332/Dcoin Dcoin]'', 《亚洲财经新闻》</ref> 핵심 멤버들은 [[구글]], [[바이두]], [[360]] 등 글로벌 유명 IT 기업 종사 경험이 있는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ref  name="디코인">Dcoin, 〈[https://support.dcoin.com/hc/ko/articles/360004562492-Dcoin-%EC%86%8C%EA%B0%9C Dcoin 소개]〉, 《디코인》, 2019-04-04</ref>
 
디코인은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의 [[가상자산 거래소]]로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코인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위스 [[추크]]의 크립토밸리에서 설립되었으며 2019년  10월 스위스 금융시장감독청인 [[핀마]](FINMA : Federal Financial Market Supervisory Authority) 에서 공인한 자금 세탁 방지 및 테러 자금 조달방지 규제기관(SRO)인 VQF의 라이선스를 획득하였다. (No. 100676) , 글로벌 허브로 [[싱가포르]]와 [[한국]]에 지사를 두고 있다.<ref>''[http://abnnewswire.net/companies/cs/32332/Dcoin Dcoin]'', 《亚洲财经新闻》</ref> 핵심 멤버들은 [[구글]], [[바이두]], [[360]] 등 글로벌 유명 IT 기업 종사 경험이 있는 블록체인 및 가상자산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ref  name="디코인">Dcoin, 〈[https://support.dcoin.com/hc/ko/articles/360004562492-Dcoin-%EC%86%8C%EA%B0%9C Dcoin 소개]〉, 《디코인》, 2019-04-04</ref>
  
97번째 줄: 105번째 줄: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디코인의 정웅모 부사장은 2019년 10월 15일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에서 열린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하여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의 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차후 기존 금융 산업 테두리 안에 편입할 확률이 높다"며 "하지만 제도권에 진입하려면 금융권 수준으로 암호 자산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자리에 4월 18일 발표한 FINMA의 VQF 라이선스 취득 사실을 알리기도 했다.
 
: 디코인의 정웅모 부사장은 2019년 10월 15일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에서 열린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하여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의 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차후 기존 금융 산업 테두리 안에 편입할 확률이 높다"며 "하지만 제도권에 진입하려면 금융권 수준으로 암호 자산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자리에 4월 18일 발표한 FINMA의 VQF 라이선스 취득 사실을 알리기도 했다.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디코인 거래소가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 참가했습니다.}}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디코인이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center>
 
{|border=0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500픽셀
 
default [[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imagemap>'''지비아이씨'''(GBIC)가 '''[[제2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 참가했습니다.
 
|}</center>
 
  
 
== 동영상 ==
 
== 동영상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