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클리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디클리닉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디클리닉'''(dClinic) 로고와 글자]]
 
[[파일:디클리닉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디클리닉'''(dClinic) 로고와 글자]]
  
[[파일:리처드 사투르.jpg|썸네일|200픽셀|'''[[리처드 사투르]]'''(Richard Satur) 디클리닉 대표]]
+
[[파일:리차드 사투르.jpg|썸네일|200픽셀|'''[[리차드 사투르]]'''(Richard Satur) 디클리닉 대표]]
  
'''디클리닉'''(dClinic)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클리닉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디클리닉의 솔루션을 소비자와 의료진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VR]] (Vitality Record)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블록체인 플랫폼을 강화하고자 한다.<ref>〈[https://dclinic.co 디클리닉]〉, 《디클리닉 공식 홈페이지》 </ref> 대표이사 겸 설립자는 [[인공지능]], 기계지능 및 데이터 채굴 등 IT 업계에서 30년 이상 일한 경력을 가진 '''[[리처드 사투르]]'''(Richard Satur) 박사이며, [[사친 굽타]]와 [[애쉬와니 모디]]가 공동 창업자로 참여했다. 이 중 사친 굽타는 신탁 증명 회사 설립자이며 디클리닉의 최고 정보 책임자(CIO)를 맡고 있다. 애쉬와니 모디는 디클리닉의 최고 운영 책임자(COO)이며, 15년 동안 금융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을 갖고 있다. <ref>〈[https://dclinic.co/doc/dclinic-whitepaper.pdf 디클리닉 백서2.1(영문)]〉</ref>   
+
'''디클리닉'''(dClinic)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클리닉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디클리닉의 솔루션을 소비자와 의료진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VR]] (Vitality Record)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블록체인 플랫폼을 강화하고자 한다.<ref>〈[https://dclinic.co 디클리닉]〉, 《디클리닉 공식 홈페이지》 </ref> 대표이사 겸 설립자는 [[인공지능]], 기계지능 및 데이터 채굴 등 IT 업계에서 30년 이상 일한 경력을 가진 '''[[리차드 사투르]]'''(Richard Satur) 박사이며, [[사친 굽타]]와 [[애쉬와니 모디]]가 공동 창업자로 참여했다. 이 중 사친 굽타는 신탁 증명 회사 설립자이며 디클리닉의 최고 정보 책임자(CIO)를 맡고 있다. 애쉬와니 모디는 디클리닉의 최고 운영 책임자(COO)이며, 15년 동안 금융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을 갖고 있다. <ref>〈[https://dclinic.co/doc/dclinic-whitepaper.pdf 디클리닉 백서2.1(영문)]〉</ref>   
  
 
== 개요 ==
 
== 개요 ==
98번째 줄: 98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리처드 사투르]]  
+
* [[리차드 사투르]]  
 
* [[사친 굽타]]  
 
* [[사친 굽타]]  
 
* [[애쉬와니 모디]]
 
* [[애쉬와니 모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