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리버리히어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딜리버리히어로 로고.png|썸네일|200픽셀|'''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파일:딜리버리히어로 로고.png|썸네일|200픽셀|'''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파일:딜리버리히어로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파일:딜리버리히어로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파일:배달의민족 글자.png|썸네일|300픽셀|'''[[배달의민족]]''']]
 
  
 
'''딜리버리히어로'''<!--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는 [[독일]]의 음식 배달 서비스 회사이다. 차세대 이커머스로 불리는 [[쿽커머스]](Quick Commerce) 시장을 선도 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푸드플라이]]를 운영하고 있다.
 
'''딜리버리히어로'''<!--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는 [[독일]]의 음식 배달 서비스 회사이다. 차세대 이커머스로 불리는 [[쿽커머스]](Quick Commerce) 시장을 선도 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푸드플라이]]를 운영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딜리버리히어로는 [[스웨덴]] 출신의 컨설턴트인 [[니클라스 외스트버그]](Niklas Östberg) 등 4명에 의해 2011년 5월 베를린에서 창업되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유럽]],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중동]]의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며 25만 개 이상의 레스토랑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2017년 6월 기업공개(IPO) 되어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에 상장되었다. 주요 주주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기반의 투자회사 [[내스퍼스]](Naspers), [[테슬라]](Tesla) 2대 주주인 영국 투자회사 [[베일리 기포드]](Baillie Gifford) 등이 있다. 2018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딜리버리히어로는 온라인 주문 서비스 업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2018년에 3억 6,700만 건 이상의 주문을 처리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푸드플라이]]를 운영한다. 2019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는 배달의민족 서비스를 운영 중인 우아한형제들을 5조 원에 인수했다. 이는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과 [[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이 아시아나 항공 인수 가격으로 제시한 2조 5000억 원보다 두 배 높은 것으로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현대건설㈜]]과 [[지에스건설㈜]] 등의 시가 총액과 맞먹는 수준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94%9C%EB%A6%AC%EB%B2%84%EB%A6%AC%ED%9E%88%EC%96%B4%EB%A1%9C 딜리버리히어로]〉, 《위키백과》 </ref><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06866&cid=42107&categoryId=42107 딜리버리히어로]〉, 《네이버 지식백과》 </ref>
+
딜리버리히어로는 [[스웨덴]] 출신의 컨설턴트인 [[니클라스 외스트버그]](Niklas Östberg) 등 4명에 의해 2011년 5월 베를린에서 창업되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유럽]],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중동]]의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며 25만 개 이상의 레스토랑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2017년 6월 기업공개(IPO) 되어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에 상장되었다. 주요 주주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 기반의 투자회사 [[내스퍼스]](Naspers), [[테슬라]](Tesla) 2대 주주인 영국 투자회사 [[베일리 기포드]](Baillie Gifford) 등이 있다. 2018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딜리버리히어로는 온라인 주문 서비스 업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2018년에 3억 6,700만 건 이상의 주문을 처리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푸드플라이]]를 운영한다. 2019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는 배달의민족 서비스를 운영 중인 우아한형제들을 5조 원에 인수했다. 이는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과 [[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이 아시아나 항공 인수 가격으로 제시한 2조 5000억 원보다 두 배 높은 것으로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현대건설㈜]]과 [[지에스건설㈜]] 등의 시가 총액과 맞먹는 수준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94%9C%EB%A6%AC%EB%B2%84%EB%A6%AC%ED%9E%88%EC%96%B4%EB%A1%9C 딜리버리히어로]〉, 《위키백과》 </ref><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06866&cid=42107&categoryId=42107 딜리버리히어로]〉, 《네이버 지식백과》 </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26번째 줄: 25번째 줄:
  
 
== 성장 ==
 
== 성장 ==
[[배달의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히어로의 아시아 매출이 급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21년 3분기 아시아 지역 매출액이 8억 5400만 유로(약 1조1400억 원)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0년의 같은 기간보다 88% 늘어난 수치이다. 배달의민족을 비롯해 딜리버리히어로가 인수한 현지 배달 플랫폼 기업이 코로나19 대유행 속 급성장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지난 2019년 약 40억 달러(약 4조 7500억 원)에 국내 1위 기업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하며 국내 배달 시장을 사실상 석권했다. 이 회사는 앞서서도 국내 2~3위 기업인 [[요기요]]와 [[배달통]]을 인수해 운영하는 등 국내 시장에 공들여 왔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배달의민족 인수를 계기로 아시아 시장 외연 확대에도 나섰다. 2021년 3월 우아한형제들 창업주인 [[김봉진]] 대표와 함께 [[싱가포르]]에 [[우아DH아시아]]라는 새 회사를 설립한 것도 이 때문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21년 3분기 전 세계에서 8억 건의 주문을 처리했는데, 우아한형제들이 이 중 3분의 1을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이보다 앞선 2016년에도 [[싱가포르]]의 배달 플랫폼 기업 [[푸드판다]](Foodpanda)도 인수했다. 푸드판다는 현재 12개국에 진출해 중국 외 아시아 최대 배달 플랫폼 기업으로 군림 중이다. 매출 규모도 딜리버리히어로 아시아 지역 전체 매출의 절반 수준이다.<ref> 김도담 기자,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27858 '배민' 품은 딜리버리히어로, 아시아 매출 급증]〉, 《더구루》, 2021-11-19 </ref>
+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딜리버리히어로의 아시아 매출이 급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21년 3분기 아시아 지역 매출액이 8억 5400만 유로(약 1조1400억 원)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0년의 같은 기간보다 88% 늘어난 수치이다. 배달의 민족을 비롯해 딜리버리히어로가 인수한 현지 배달 플랫폼 기업이 코로나19 대유행 속 급성장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지난 2019년 약 40억 달러(약 4조 7500억 원)에 국내 1위 기업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하며 국내 배달 시장을 사실상 석권했다. 이 회사는 앞서서도 국내 2~3위 기업인 [[요기요]]와 [[배달통]]을 인수해 운영하는 등 국내 시장에 공들여 왔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배달의 민족 인수를 계기로 아시아 시장 외연 확대에도 나섰다. 2021년 3월 우아한형제들 창업주인 [[김봉진]] 대표와 함께 [[싱가포르]]에 [[우아DH아시아]]라는 새 회사를 설립한 것도 이 때문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21년 3분기 전 세계에서 8억 건의 주문을 처리했는데, 우아한형제들이 이 중 3분의 1을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이보다 앞선 2016년에도 [[싱가포르]]의 배달 플랫폼 기업 [[푸드판다]](Foodpanda)도 인수했다. 푸드판다는 현재 12개국에 진출해 중국 외 아시아 최대 배달 플랫폼 기업으로 군림 중이다. 매출 규모도 딜리버리히어로 아시아 지역 전체 매출의 절반 수준이다.<ref> 김도담 기자,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27858 '배민' 품은 딜리버리히어로, 아시아 매출 급증]〉, 《더구루》, 2021-11-19 </ref>
  
 
== 위기 ==
 
== 위기 ==
 
2021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가 자국에서 사업을 철수한다. 프랑크푸르트 등 [[독일]] 6개 도시에서 [[푸드판다]]라는 브랜드로 제공하던 음식 배달 서비스를 중단하고 베를린에서만 시험 서비스를 유지하기로 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19년 독일 사업을 매각했다가 2021년 5월 독일에 재진출했는데, 다시 7개월 만에 항기를 든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는 독일이 음식 배달 서비스의 험지가 된 이유에 대해 엄격한 노동법, 강력한 노조, 높은 비숙련 노동자 임금, 인색한 고객 문화를 들었다. 배달 노동자를 과도하게 보호하는 정책이 배달 원가 상승과 인력 수급난을 유발하고, 소비자는 배달 서비스에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없는 탓에 배달 업체들이 고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1년 독일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딜리버리히어로의 철수를 앞당겼다는 분석이다. [[미국]]계 [[우버이츠]], [[핀란드]]계 [[월트]] 등이 잇따라 독일 시장에 새로 진출했다. 금융회사 [[케플러쇠브뢰]](Kepler Cheuvreux)는 딜리버리히어로가 독일에서 사업을 영위하려면 2022년에 1억 2000만 유로(약 1600억 원)를 현지 판매와 마케팅에 투자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딜리버리히어로는 더 이상 적자를 보며 사업을 키울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딜리버리히어로의 2021년 상반기 적자는 9억 1800만 유로(약 1조 2600억 원)로 전년의 두 배 수준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향후 [[아시아]] 사업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절반 이상의 매출이 대한민국 등 아시아에서 나오고 있는데다,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의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ref> 이벌찬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12/25/CX5Y3XZRQVGWXAZ7RMBFL3MXGE/ “한국은 잘하는데 독일은 왜”...배민 인수한 獨기업이 자국사업 철수하며 남긴 말]〉, 《조선일보》, 2021-12-25 </ref>
 
2021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가 자국에서 사업을 철수한다. 프랑크푸르트 등 [[독일]] 6개 도시에서 [[푸드판다]]라는 브랜드로 제공하던 음식 배달 서비스를 중단하고 베를린에서만 시험 서비스를 유지하기로 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2019년 독일 사업을 매각했다가 2021년 5월 독일에 재진출했는데, 다시 7개월 만에 항기를 든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는 독일이 음식 배달 서비스의 험지가 된 이유에 대해 엄격한 노동법, 강력한 노조, 높은 비숙련 노동자 임금, 인색한 고객 문화를 들었다. 배달 노동자를 과도하게 보호하는 정책이 배달 원가 상승과 인력 수급난을 유발하고, 소비자는 배달 서비스에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없는 탓에 배달 업체들이 고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1년 독일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딜리버리히어로의 철수를 앞당겼다는 분석이다. [[미국]]계 [[우버이츠]], [[핀란드]]계 [[월트]] 등이 잇따라 독일 시장에 새로 진출했다. 금융회사 [[케플러쇠브뢰]](Kepler Cheuvreux)는 딜리버리히어로가 독일에서 사업을 영위하려면 2022년에 1억 2000만 유로(약 1600억 원)를 현지 판매와 마케팅에 투자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딜리버리히어로는 더 이상 적자를 보며 사업을 키울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딜리버리히어로의 2021년 상반기 적자는 9억 1800만 유로(약 1조 2600억 원)로 전년의 두 배 수준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향후 [[아시아]] 사업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절반 이상의 매출이 대한민국 등 아시아에서 나오고 있는데다,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의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ref> 이벌찬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12/25/CX5Y3XZRQVGWXAZ7RMBFL3MXGE/ “한국은 잘하는데 독일은 왜”...배민 인수한 獨기업이 자국사업 철수하며 남긴 말]〉, 《조선일보》, 2021-12-25 </ref>
  
2021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가 일본에서 영위 중인 푸드팬더를 2022년 1분기를 목표로 배달 사업을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딜리버리히어로가 독일 푸드팬더 사업 축소를 시작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푸드팬더는 일본 시장에 2020년 9월에 진입해 음식 배달 외에도 식품·음료나 생필품 등 'q-커머스'를 내세우며 전국 각지로 확장했지만 1년여 만에 전격적으로 사업 포기가 이루어졌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대다수 국가에서 푸드팬더 사업을 직접 전개해 왔지만 국내에서 [[배달의민족]]으로 대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통 업계에서는 배달의민족 배달 사업 시스템이 글로벌 푸드팬더를 대체할 수단이 될지 여부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ref> 최인철 기자,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35 배민지분 인수 딜리버리히어로, 일본사업 1년여만에 포기]〉, 《오피니언뉴스》, 2021-12-23 </ref>
+
2021년 12월, 딜리버리히어로가 일본에서 영위 중인 푸드팬더를 2022년 1분기를 목표로 배달 사업을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딜리버리히어로가 독일 푸드팬더 사업 축소를 시작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푸드팬더는 일본 시장에 2020년 9월에 진입해 음식 배달 외에도 식품·음료나 생필품 등 'q-커머스'를 내세우며 전국 각지로 확장했지만 1년여 만에 전격적으로 사업 포기가 이루어졌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대다수 국가에서 푸드팬더 사업을 직접 전개해 왔지만 국내에서 [[배달의 민족]]으로 대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통 업계에서는 배달의 민족 배달 사업 시스템이 글로벌 푸드팬더를 대체할 수단이 될지 여부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ref> 최인철 기자,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335 배민지분 인수 딜리버리히어로, 일본사업 1년여만에 포기]〉, 《오피니언뉴스》, 2021-12-23 </ref>
  
 
{{각주}}
 
{{각주}}
50번째 줄: 49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위대한상상]]
 
* [[위대한상상]]
* [[배달의민족]]
+
* [[배달의 민족]]
 
* [[요기요]]
 
* [[요기요]]
  
 
{{운송|검토 필요}}
 
{{운송|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