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코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라임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라임코인'''(Rime Coin)]]
+
'''라임코인(Rime Coin)'''은 자동차 관련 종합 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한 유저에게 되돌려주는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라임코인의 화폐 단위는 '''RIME'''이다. 2019년 1월 라임코인(Rime Coin)이 [[엑스레이츠]](Exrates)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대표이사는 [[김영기]]이다.  
[[파일:라임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라임코인'''(Rime Coin)]]
 
 
 
[[파일:㈜엔알피시스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엔알피시스템]]'''(NRP System)]]
 
[[파일:김영기.jpg|썸네일|200픽셀|'''[[김영기]]''' 라임코인 대표이사]]
 
 
 
'''라임코인'''<!--라임 코인-->(Rime Coin)[[자동차]] 관련 종합 [[데이터]]를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한 유저에게 되돌려주는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라임코인의 티커는 '''RIME'''이다. 2019년 1월 라임코인(Rime Coin)이 [[엑스레이츠]](Exrates)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대표이사는 '''[[김영기]]'''이다.  
 
<center>
 
{|border=0
 
|align=center valign=top|<imagemap>파일: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가로 배너.jpg|500픽셀
 
default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imagemap>'''라임코인'''(Rime Coin)이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에 참가합니다.
 
|}</center>
 
  
 
==개요==
 
==개요==
라임코인은 고객의 차량, 운행 및 운행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한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임코인은 이러한 순환 생태계에서 모든 관련 정보를 분산된 공개시장에서 거래하며, 데이터 소유권을 생성자에게 부여하고 이들에게 새로운 수익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술적으로는 생성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개방형 구조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이들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게 적절한 대가에 제공하며, 얻어지는 수익의 일부를 데이터 생성자에게 돌려주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는 커넥티드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할 뿐 아니라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라임코인 플랫폼 참여자는 운전자, 제조업체, 서비스업체 등 자동차업계의 모든 이해 관계자들과 보험사들이며, 신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개발자 및 사업가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치순환 [[알고리즘]]을 가져올 것이다.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라임코인의 사용자일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여, 서비스 및 기술기반의 생산자이며 동시에 소비자로서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이러한 기반시장에서 라임코인은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결제 지불금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보상의 방식으로 순환되며, 공정하게 회계처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제외하고(또는, 제공자의 동의하에) 수요자에게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지불된 이익은 데이터 중계시스템에 의하여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되며, 그동안 일부에게 무상으로 독점 되어오던 왜곡된 시장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데이터 공유모델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ref name="백서">"[https://docsend.com/view/uhvj2fb Rime Coin White Paper Ver 2.2]", ''RIMECOIN'', 2018-09-12</ref>
+
라임코인은 고객의 차량, 운행 및 운행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한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임코인은 이러한 순환 생태계에서 모든 관련 정보를 분산된 공개시장에서 거래하며, 데이터 소유권을 생성자에게 부여하고 이들에게 새로운 수익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술적으로는 생성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개방형 구조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이들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게 적절한 대가에 제공하며, 얻어지는 수익의 일부를 데이터 생성자에게 돌려주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는 커넥티드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할 뿐 아니라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라임코인 플랫폼 참여자는 운전자, 제조업체, 서비스업체 등 자동차업계의 모든 이해 관계자들과 보험사들이며, 신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개발자 및 사업가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가치순환 [[알고리즘]]을 가져올 것이다.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라임코인의 사용자일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여, 서비스 및 기술기반의 생산자이며 동시에 소비자로서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이러한 기반시장에서 라임코인은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결제 지불금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보상의 방식으로 순환되며, 공정하게 회계처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제외하고(또는, 제공자의 동의하에) 수요자에게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지불된 이익은 데이터 중계시스템에 의하여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되며, 그동안 일부에게 무상으로 독점 되어오던 왜곡된 시장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데이터 공유모델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주요 인물==
 
==주요 인물==
20번째 줄: 9번째 줄:
 
* [[손정화]] : 명지대학교 경영정보학부를 졸업하고, NRP 시스템과 NS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디자이너 & 엔지니어로서 6년간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손정화]] : 명지대학교 경영정보학부를 졸업하고, NRP 시스템과 NS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디자이너 & 엔지니어로서 6년간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 [[경유혜]] : 25년간 사업 회계사로서 근무하였고, NRP 시스템 고객 관리자 및 KD 익스프레스 고객 관리자로 일했다.
 
* [[경유혜]] : 25년간 사업 회계사로서 근무하였고, NRP 시스템 고객 관리자 및 KD 익스프레스 고객 관리자로 일했다.
* [[조시몬]] : 마케팅 매니저인 그는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이씨이십일]] 등에서 11년 간 마케팅 경력을 쌓았다.
+
* [[조시몬]] :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11년의 경력, EC21
* [[윤철]] : 하드웨어 기사로 4년 동안 근무하였고, NRP 시스템, 서울 직업 교육 대학 한국 폴리 테크닉에서 스마트 전자 제품을 관리했다.
+
* [[윤철]] : 하드웨어 기사로 4년 동안 근무하였고, NRP 시스템, 서울 직업 교육 대학, 한국 폴리 테크닉-스마트 전자 제품
  
 
==특징==
 
==특징==
52번째 줄: 41번째 줄:
 
* 설명 플랫폼 : 가입자를 위한 라임코인의 액세스 포인트는 [[웹]] 또는 [[모바일 앱]]이다.
 
* 설명 플랫폼 : 가입자를 위한 라임코인의 액세스 포인트는 [[웹]] 또는 [[모바일 앱]]이다.
 
* 공적인 측면 : 이것은 사용자와 비사용자 모두에게 공개되는 정보다. 이것에는 라임코인에 대한 뉴스, 지식 기반, 라임코인의 설명, 기술 지원 또는 고객 지원 등이 포함된다.
 
* 공적인 측면 : 이것은 사용자와 비사용자 모두에게 공개되는 정보다. 이것에는 라임코인에 대한 뉴스, 지식 기반, 라임코인의 설명, 기술 지원 또는 고객 지원 등이 포함된다.
* 사적인 측면 : 이것은 개별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기능적 측면이다. 사용자 계정은 역할에 따라 다양하다. 차량 소유자를 위한 기능은 정부, 보험 회사 또는 운송 및 물류 회사를 위한 기능과 다를 것이다. 우리의 [[웹]] [[응용 프로그램]]은 프론트 엔드뿐 아니라 백엔드 구성요소 모두로 구성된 [[인프라]]를 보유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도 보유하고 있어, 시스템 작동 방식과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다. 가입자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기 중 하나로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라임코인의 기능에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다. 크로스 플랫폼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앱은 [[API]]를 통해 커널과 상호 작용한다. API는 라임 생태계용으로 만든 앱과 상호 작용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앱은 라인 가입자들에게 제공된다. API는 내부 정보 시스템에 쉽게 통합되도록 한다. 차량 또는 운전자에 관한 많은 데이터 또는 정보는 라임카 디바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라임코인은 라임카 드라이브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별도의 API를 개발할 의사가 있다. [[인프라]]에는 [[텔레매틱스]] 데이터를 쉽게 수신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방법을 추가할 예정이다. 라임코인의 기반은 그것의 코어이며, 일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 사적인 측면 : 이것은 개별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기능적 측면이다. 사용자 계정은 역할에 따라 다양하다. 차량 소유자를 위한 기능은 정부, 보험 회사 또는 운송 및 물류 회사를 위한 기능과 다를 것이다. 우리의 [[웹]] [[응용 프로그램]]은 프론트 엔드뿐 아니라 백엔드 구성요소 모두로 구성된 [[인프라]]를 보유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도 보유하고 있어, 시스템 작동 방식과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다. 가입자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기 중 하나로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라임코인의 기능에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다. 크로스 플랫폼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앱은 [[API]]를 통해 커널과 상호 작용한다. API는 라임 생태계용으로 만든 앱과 상호 작용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앱은 라인 가입자들에게 제공된다. API는 내부 정보 시스템에 쉽게 통합되도록 한다. 차량 또는 운전자에 관한 많은 데이터 또는 정보는 라임카 디바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라임코인은 라임카 드라이브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별도의 API를 개발할 의사가 있다. [[인프라]]에는 [[텔레메틱스 데이터]]쉽게 수신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방법을 추가할 예정이다. 라임코인의 기반은 그것의 코어이며, 일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 블록체인 제어 하위 시스템 : 이것이 첫 번째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라임코인이 기반을 두고 있는 X11 [[블록체인]]과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서브 시스템에는 많은 기능들이 있다. 블록체인 제어 하위 시스템은 내부 결제를 가능케 하고, 데이터가 쉽고 안전하게 라임코인에 저장되게 하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사용해 데이터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든다. 라임코인에서 수행된 모든 작업은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 블록체인 제어 하위 시스템 : 이것이 첫 번째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라임코인이 기반을 두고 있는 X11 [[블록체인]]과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서브 시스템에는 많은 기능들이 있다. 블록체인 제어 하위 시스템은 내부 결제를 가능케 하고, 데이터가 쉽고 안전하게 라임코인에 저장되게 하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사용해 데이터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든다. 라임코인에서 수행된 모든 작업은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 데이터 저장 하위 시스템 : 이것은 두 번째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생태계가 IPFS 파일 시스템과 쉽게 상호 작용하여, 데이터가 쉽고 안전하게 저장되고 배포되도록 만든다. 여기서 데이터는 암호화 되고 오로지 승인된 유저에게만 디지털 서명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고 조작할 수 없다.
 
* 데이터 저장 하위 시스템 : 이것은 두 번째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생태계가 IPFS 파일 시스템과 쉽게 상호 작용하여, 데이터가 쉽고 안전하게 저장되고 배포되도록 만든다. 여기서 데이터는 암호화 되고 오로지 승인된 유저에게만 디지털 서명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고 조작할 수 없다.
 
* 분석 하위 시스템 : 이것은 라임코인의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다른 시스템들과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라임코인은 데이터 혹은 정보의 수신, 저장, 전달의 역할만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이것은 또한 AI 기반의 분석 하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집된 정보의 패턴을 추적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이 바로 체인이 차량이나 사용자의 호흡에서 쉽게 결함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것은 생태계가 보험 회사가 운전자의 보험 위험을 계산하는 것 등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다. 이 하위 시스템은 들어오는 데이터를 제어해 거짓 데이터 혹은 모순된 형태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거나 라임코인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또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라임코인의 이 하위 시스템은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라임카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거르는 것이다. 라임카 디바이스부터 얻은 모든 데이터가 유용하지는 않다. 이것이 바로 하위 시스템이 데이터를 거르는 이유다. 이 분석 하위 시스템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만 저장되도록 한다.
 
* 분석 하위 시스템 : 이것은 라임코인의 하위 시스템이다. 이것은 다른 시스템들과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라임코인은 데이터 혹은 정보의 수신, 저장, 전달의 역할만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이것은 또한 AI 기반의 분석 하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집된 정보의 패턴을 추적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이 바로 체인이 차량이나 사용자의 호흡에서 쉽게 결함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것은 생태계가 보험 회사가 운전자의 보험 위험을 계산하는 것 등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다. 이 하위 시스템은 들어오는 데이터를 제어해 거짓 데이터 혹은 모순된 형태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거나 라임코인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또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라임코인의 이 하위 시스템은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라임카 디바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거르는 것이다. 라임카 디바이스부터 얻은 모든 데이터가 유용하지는 않다. 이것이 바로 하위 시스템이 데이터를 거르는 이유다. 이 분석 하위 시스템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만 저장되도록 한다.
 
* 4개의 통합된 계층 형성
 
* 4개의 통합된 계층 형성
# API 레이어 : 이것은 [[텔레매틱스]] 및 [[애플리케이션]] 용으로 설계되었다.
+
# API 레이어 : 이것은 텔레메틱스 및 [[애플리케이션]] 용으로 설계되었다.
 
# 데이터 저장 레이어 :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 및 데이터 저장소가 포함된다.
 
# 데이터 저장 레이어 :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 및 데이터 저장소가 포함된다.
# 유저 레이어 : 이 레이어에는 텔레매틱스 장치, 상호 통합 IS 및 사용자 지정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
# 유저 레이어 : 이 레이어에는 텔레메틱스 장치, 상호 통합 IS 및 사용자 지정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 응용 프로그램 레이어가 바로 [[코어]]이며, 백엔드 웹 응용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ref name="백서"></ref>
+
# 응용 프로그램 레이어가 바로 [[코어]]이며, 백엔드 웹 응용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제휴==
 
===테라새턴===
 
(주)테라새턴은 2018년 12월 6일 테라새턴 본사 회의실에서 [[블록체인]] 기반 4차산업 발전에 전략적 협업 및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을 위해 디지털 이동통신환경 기반 모빌리티 전문 (재)라임코인파운데이션과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2018년 12월 10일에 밝혔다. 라임코인파운데이션은 라임코인을 운영 중인 기업이다. 라임코인은 라임카 플랫폼에 사용되는 코인으로 주행 환경 데이터에 순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동차 관련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 운행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로 분석해 편안함과 안전을 제공하는 동안 운전자와 승객이 인센티브를 받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업체에 따르면 현재 라임카는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LBS, 차량관제, IoT, 모바일 등의 차량 관제정보 솔루션과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호주 DELV사와의 공급 계약을 통해 현지 경찰청 커뮤니케이션에 라임톡을 결합한 솔루션 LGU+ 실시간 DTG플랫폼, 경동택배, 합동택배 외 20여개 기업에 ERP연계형 물류 배송 조회 서비스를 제공,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테라새턴 관계자는 "하이퍼큐브 물류, 유통 솔루션(Hyper-Logi)과 여행, 문화축제 솔루션(Hyper-Ent)의 콘텐츠 강점에 라임파운데이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강점을 접목시켜 확장 연동된 선순환 비즈니스 모델로 생태계 구축을 해나갈 수 있으며, 각사 보유 플랫폼 이용자가 양사의 다른 서비스를 불편함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가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협업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테라새턴의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새턴코인(TSKN)은 벤타스비트를 통한 IEO를 진행하고 있으며, 라임코인 또한 국내외 거래소를 통해 상장 준비 중에 있어 블록체인 플랫폼 유저들에게 관심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f>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1063 테라새턴, 라임코인파운데이션과 상호협력 MOU 체결]〉, 《라임코인뉴스》, 2018-12-13</ref>
 
===SCK===
 
최근의 화두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의 시티 플랫폼 전문회사인 SCK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이 후 다음 일정으로는 미국 보안 전문회사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ref>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1011 라임코인(rimecoin) 시티 플랫폼 전문회사인 SCK와 파트너십 체결]〉, 《라임코인비즈니스》, 2018-10-15</ref>
 
  
 
==로드맵==
 
==로드맵==
79번째 줄: 62번째 줄:
 
* 2020년 2분기 : 라임프로젝트 파트너 비즈니스 플랫폼
 
* 2020년 2분기 : 라임프로젝트 파트너 비즈니스 플랫폼
  
== 동영상 ==
+
==전망==
<youtube>b_G9BIg1_u8</youtube>
+
라임코인은 고객의 차량, 운행 및 운행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한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라임코인은 이러한 순환 생태계에서 모든 관련 정보를 분산된 공개시장에서 거래하며, 데이터 소유권을 생성자에게 부여하고 이들에게 새로운 수익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술적으로는 생성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개방형 구조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이들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게 적절한 대가에 제공하며, 얻어지는 수익의 일부를 데이터 생성자에게 돌려주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이는 커넥티드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할 뿐 아니라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라임코인 플랫폼 참여자는 운전자, 제조업체, 서비스업체 등 자동차업계의 모든 이해 관계자들과 보험사들이며, 신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개발자 및 사업가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서로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치순환 [[알고리즘]]을 가져올 것이다.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은 라임코인의 사용자일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여, 서비스 및 기술기반의 생산자이며 동시에 소비자로서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다. 이러한 기반시장에서 라임코인은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결제 지불금으로 사용되고, 다양한 보상의 방식으로 순환되며, 공정하게 회계처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제외하고(또는, 제공자의 동의하에) 수요자에게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지불된 이익은 데이터 중계시스템에 의하여 투명하고 안전하게 거래되며, 그동안 일부에게 무상으로 독점되어 왜곡된 시장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데이터 공유모델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ref>라임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rimecoin.io/</ref>
  
 
{{각주}}
 
{{각주}}
88번째 줄: 71번째 줄:
 
* "[https://docsend.com/view/uhvj2fb Rime Coin White Paper Ver 2.2]", ''RIMECOIN'', 2018-09-12
 
* "[https://docsend.com/view/uhvj2fb Rime Coin White Paper Ver 2.2]", ''RIMECOIN'', 2018-09-12
 
* 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959 라임코인(RimeCoin) 로드맵에 대한 안내]〉, 《라임코인 공식 홈페이지》, 2018-09-26
 
* 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959 라임코인(RimeCoin) 로드맵에 대한 안내]〉, 《라임코인 공식 홈페이지》, 2018-09-26
* 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1063 테라새턴, 라임코인파운데이션과 상호협력 MOU 체결]〉, 《라임코인뉴스》, 2018-12-13
 
* 라임코인, 〈[http://rimecoinpress.com/archives/1011 라임코인(rimecoin) 시티 플랫폼 전문회사인 SCK와 파트너십 체결]〉, 《라임코인비즈니스》, 2018-10-15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6718 하반기 주목되는 프로젝트는?]〉, 《비아이뉴스》, 2019-07-22
 
 
== 같이 보기 ==
 
* [[김영기]]
 
* [[제5회 해시넷 블록체인 밋업]]
 
  
 +
{{로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