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AN.gif|썸네일|300픽셀|'''LAN'''(Local Area Network)]]
 
[[파일:LAN.gif|썸네일|300픽셀|'''LAN'''(Local Area Network)]]
 
[[파일:이더넷.jpg|썸네일|300픽셀|'''이더넷'''(Ethernet)]]
 
[[파일:이더넷.jpg|썸네일|300픽셀|'''이더넷'''(Ethernet)]]
 
+
'''랜'''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써 범위가 넓지 않은 일정 지역 내에서 다수의 컴퓨터나 사무 자동화(Office Automation) 기기 등을 속도가 빠른 통신선로로 연결하여 기기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망이다.
'''랜'''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서, 범위가 넓지 않은 일정 지역 내에서 다수의 [[컴퓨터]]나 [[사무자동화]](OA; Office Automation) [[기기]] 등을 속도가 빠른 [[통신선로]]로 연결하여 기기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망'''이다.
 
 
 
{{:인터넷 배너|호스팅}}
 
  
 
== 개요 ==
 
== 개요 ==
18번째 줄: 15번째 줄:
 
== 구분 ==
 
== 구분 ==
 
=== 네트워크 토폴로지 ===
 
=== 네트워크 토폴로지 ===
랜의 토폴로지에 따라 버스형, 링형, 스타형, 계층형, 메쉬형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서 토폴로지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노드간에 연결 상태에 대한 배치를 의미하며 "통신망 구조"라고 말한다.
+
랜의 토폴로지에 따라 버스형, 링형, 스타형, 계층형, 메쉬형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서 토폴로지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노드간에 연결 상태에 대한 배치를 의미하며 "통신망 구조"라고 이해할 수 있다.
 
==== 버스형 ====
 
==== 버스형 ====
 
버스형(Bus Topology)는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으며 모든 노드들이 버스에 T자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Point - to - poing 형태를 가지게 된다. 각 노드들이 연결은 [[어텝터]](Adapter)를 사용하며 양 끝 단에 터미네이터를 두게 된다. 각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장점을 가지며 CSMA/CD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케이블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적게 든다. 하지만 기저대(baseband) 전송방식을 쓸 경우에는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중계기가 필요하다.
 
버스형(Bus Topology)는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으며 모든 노드들이 버스에 T자형으로 연결되어 상호 Point - to - poing 형태를 가지게 된다. 각 노드들이 연결은 [[어텝터]](Adapter)를 사용하며 양 끝 단에 터미네이터를 두게 된다. 각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장점을 가지며 CSMA/CD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케이블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적게 든다. 하지만 기저대(baseband) 전송방식을 쓸 경우에는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중계기가 필요하다.
99번째 줄: 96번째 줄:
 
[[라우터]]는 다른 망을 연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기이다. 데이터를 발신지로부터 여러 링크를 통하여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책임을 가지는 OSI 7 Layer 3계층인 네트워크 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원거리의 연결(LAN/MAN/WAN)도 가능하다.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방식이다.
 
[[라우터]]는 다른 망을 연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기이다. 데이터를 발신지로부터 여러 링크를 통하여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책임을 가지는 OSI 7 Layer 3계층인 네트워크 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원거리의 연결(LAN/MAN/WAN)도 가능하다.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방식이다.
 
=== 게이트웨이 ===
 
=== 게이트웨이 ===
게이트웨이는 다른 종류의 통신망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다른 종류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특성을 상호 변환시켜 호환성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
게이트웨이는 다른 종유릐 통신망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다른 종류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특성을 상호 변환시켜 호환성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 리피터 ===
 
=== 리피터 ===
리피터는 근거리통신망(LAN)의 전송매체상에 흐르는 신호를 정형, 증폭, 중계하는 장치이다. 리피터는 국제표준기구인 OSI참조 모델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서 동작하는 장비로서 근접한 2개 이상의 데이터 네트워크간 신호를 전송하며 리피터는 신호를 재생하고 복사하는 장비이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케이블에서는 신호의 손실이 감쇄현상이 일어나는데 리피터는 감쇄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리피터는 근거리통신망(LAN)의 전송매체상에 흐르는 신호를 정형, 증폭, 중계하는 장치이다. 리피터는 국제표준기구인 OSI참조 모델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서 동작하는 장비로서 근접한 2개 이상의 데이터 네트워크간 신호를 전송하며 리피ㅓ는 신호를 재생하고 복사하는 장비이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케이블에서는 신호의 손실이 감쇄현상이 일어나는데 리피터는 감쇄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감쇄 현상은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오리지널 데이터 신호가 유용할 수 있는 최대 케이블의 길이를 제한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UTP케이블은 최대 100M로, 10BASE-5네트워크용 동축 케이블 최대 길이를 500M로 그리고 10BASE-2 네트워크용 동축 케이블 최대 길이는 200M로 제한한다.<ref>운영자, 〈[http://www.ulsannetwork.net/read.cgi?board=network_qa&y_number=9 Repeater : 리피터 란?]〉, 2003-12-16</ref>
 
감쇄 현상은 데이터 네트워크상에서 오리지널 데이터 신호가 유용할 수 있는 최대 케이블의 길이를 제한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UTP케이블은 최대 100M로, 10BASE-5네트워크용 동축 케이블 최대 길이를 500M로 그리고 10BASE-2 네트워크용 동축 케이블 최대 길이는 200M로 제한한다.<ref>운영자, 〈[http://www.ulsannetwork.net/read.cgi?board=network_qa&y_number=9 Repeater : 리피터 란?]〉, 2003-12-16</ref>
 
 
=== 브리지 ===
 
=== 브리지 ===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는 신호를 교환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OSI 7 레이러 2계층인 데이터-링크 레이어를 사용한다. 분리된 장소에 설치된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LAN처럼 보이게 한다.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는 신호를 교환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OSI 7 레이러 2계층인 데이터-링크 레이어를 사용한다. 분리된 장소에 설치된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LAN처럼 보이게 한다.
118번째 줄: 113번째 줄:
 
LAN 스위칭은 패킷 교환이 사용된 형태의 근거리통신망(LAN)이다. 스위칭 기술은 빠르며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대부분의 경우 필요한 곳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설계를 결정한다. 랜 스위칭은 네트워크 스위치의 다양한 종류를 사용한다. 표준 스위치는 L2 스위치로 알려져 있으며 모든 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L3 또는 L4 스위치는 높은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고가임으로 큰 네트워크 환경과 특수한 시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LAN 스위칭은 패킷 교환이 사용된 형태의 근거리통신망(LAN)이다. 스위칭 기술은 빠르며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대부분의 경우 필요한 곳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설계를 결정한다. 랜 스위칭은 네트워크 스위치의 다양한 종류를 사용한다. 표준 스위치는 L2 스위치로 알려져 있으며 모든 랜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L3 또는 L4 스위치는 높은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고가임으로 큰 네트워크 환경과 특수한 시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레이어2 스위칭 ====
 
==== 레이어2 스위칭 ====
L2 스위칭은 어떤 곳으로 포워드(분담 또는 배정)프레임을 결정하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카드에 있는 MAC 주소를 사용한다. L2 스위칭은 하드웨어적으로 ASIC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필터 테이블을 사용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L2 스위치를 한마디로 하자면 멀티포트 브리지라고도 할 수가 있다. 하드웨어 기반 데이터를 중개(MAC)하고 선로 전송/정체 없는 포워딩과 낮은 지연 기능을 갖고 있다. 패킷의 프레임 암호화는 서로 다른 매체 통과하는 경우에만 변경하여 일반적인 경우 데이터 패킷은 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L2 스위칭은 매우 효율적이다. L2 스위칭은 작업그룹 연결과 네트워크 세분화에 사용되고 있다. 리피터 허브와 라우터가 결합된 전통적 네트워크보다 더 네트워크 세분화와 좋은 설계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L2 스위칭은 어떤 곳으로 포워드(분담 또는 배정)프레임을 결정하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카드에 있는 MAC 주소를 사용한다. L2 스위칭은 하드웨어적으로 ASIC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필터 테이블을 사용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L2 스위치를 한마디로 하자면 멀티포트 브리지라고도 할 수가 있다.
==== 레이어3 스위칭 ====
 
L3 스위칭은 데이터그램 헤더에 저장된 IP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L3 스위치와 라우터 간의 차이점은 경로 설정을 만드는 방법에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터는 소프트웨어로 경로 설정을 만드는데 CPU가 처리하는 반면에, 스위치는 오직 하드웨어 기반으로 패킷 교환 한다. 하지만 기존의 고성능 라우터들은 하드웨어적 기술도 사용한다. L3 스위치의 이점은 데이터 전달을 필요한 곳으로 바로 경로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작은 전송 지연을 기대할 수 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VLAN을 가진 기존의 L2 스위치는 서로 연결을 시도할 때 스위치(1차 L2 홉)에서 라우터로 프레임이 통과하며 라우터(L3 홉)로 가는 라우팅 설정을 만들면 스위치(2차 L2홉)으로 다시 패킷을  돌려보내지만, L3 스위치는 L3 홉과 하나의 L2 홉을 합친 단일 홉으로 동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9E%9C_%EC%8A%A4%EC%9C%84%EC%B9%AD 랜 스위칭]〉, 《위키백과》</ref>
 
  
 
== 무선랜 ==
 
== 무선랜 ==
135번째 줄: 128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 참고 자료 ==
 
* 〈[http://www.astriz.com/tech/1_LAN.pdf LAN 의 특징과 각종방식]〉, 《한아시스템》
 
* 〈[http://www.astriz.com/tech/1_LAN.pdf LAN 의 특징과 각종방식]〉, 《한아시스템》
 
* 〈[http://jskp.co.kr/xe/NETWORK/2087 네트워크(Network) 란?]〉, 《지수정보통신》
 
* 〈[http://jskp.co.kr/xe/NETWORK/2087 네트워크(Network) 란?]〉, 《지수정보통신》
146번째 줄: 139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D%81%B0%EB%A7%81 토큰링]〉,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86%A0%ED%81%B0%EB%A7%81 토큰링]〉,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86%A1%ED%8C%8C_%EA%B0%90%EC%A7%80_%EB%8B%A4%EC%A4%91_%EC%A0%91%EC%86%8D_%EB%B0%8F_%EC%B6%A9%EB%8F%8C_%ED%83%90%EC%A7%80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86%A1%ED%8C%8C_%EA%B0%90%EC%A7%80_%EB%8B%A4%EC%A4%91_%EC%A0%91%EC%86%8D_%EB%B0%8F_%EC%B6%A9%EB%8F%8C_%ED%83%90%EC%A7%80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9E%9C_%EC%8A%A4%EC%9C%84%EC%B9%AD 랜 스위칭]〉, 《위키백과》
 
 
== 같이 보기 ==
 
* [[회선]]
 
 
{{하드웨어|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