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7번째 줄: 217번째 줄:
  
 
===기술===
 
===기술===
레디 인프라넷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보관, 관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는 변환부 그리고 위변조 불가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분된다.
 
  
 
====인프라넷 구조====
 
====인프라넷 구조====
레디 인프라넷은 크게 3단계 레이어와 데이터 소스로 구성되어 있다.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 웹, 앱, 모바일 등에서 작동하는 레디 응용 프로그램의 일체를 의미한다. 레디의 참여자는 레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거래할 수 있다. 또한 레디의 데이터 검증과정도 레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이루어지며, 애플리케이션의 검증자는 그 결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는 레디 월렛을 통헤 레디 구성원이 레디 토큰을 관리할 수 있다.
 
 
* '''서비스레이어'''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온체인에 저장되기 전의 서비스 레이어에서 검증, 정형화 및 암호화되어 온라인으로 전송된 후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이때의 모든 통신은 암호화된다. 또한 서비스 레이어는 레디의 운영 정책, 데이터 정책, 보안 정책 등을 포함하여 레디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티 운영과 블록체인과의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템 지원을 담당한다.
 
 
* '''코어 레이어''' : 서비스 레이어에서 암호화된 데이터가 온체인에 저장 및 데이터 분산 시스템 저장 과정이 이루어진다. 온체인에서는 데이터 거래 내역과 데이터 소유관리와 이용권리 내역 등이 저장되며, 분산 시스템으로의 저장 과정에서는 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의 정도에 따라 분산 저장된다.
 
 
* '''데이터 소스''' : 태양광 발전소 준공부터 폐기까지, 그리고 중간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특수한 상황에 대한 데이터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집된다. 첫 번째로, 레디 인프라넷과 연동된 디바이스에서 모니터링 되는 방법과 레디 사용자가 직접 레디 인프라넷에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비정혁적 또는 정혁적으로 생성된 모든 데이터는 서비스 레이어를 통해 검증, 정체 및 암호화되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레디 서버 혹은 온체인에 저장된다.
 
  
 
====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모니터링====
* '''데이터 컬랙션''' : 발전량을 실측하기 위해 인버터의 AC 출력단에 AC 스마트미터가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 발전소의 세부 발전정보를 얻기 위해 결합단에 스트링 레벨의 DC 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DC 스마트 미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스마트 미터는 오차범위 1% 내에서 발전소의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 정보는 분 단위로 누적하여 PLC통신 또는 RS485통신을 통하여 로컬 서버로 전송된다. 스마트 미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인버터 출력단의 발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전류 센서
 
# 신호처리를 위한 ADC(analog to digital conventer), MCU(Microcontroller unit)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 비상용 무정전 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스마트 솔라 모듈''' : 발전량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발전소의 일부에 스마트 PV모듈이 설치된다. 스마트 PV모듈에는 모듈이 받는 일사량과 모듈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일사량,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모듈의 발전성능은 모듈이 받는 일사량과 모듈의 온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들을 스마트 모듈을 통해 발전소 전반에서 수집하여 발전소의 기대 발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 PV모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모듈이 실제 발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전압 센서
 
# 모듈의 기대 발전량을 계산하기 위한 일사량센서·온도센서
 
# 신호처리를 위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MCU(Microcontroller unjit)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 24시간 측정을 위한 내부배터리, 배터리충전장치(PMIC)
 
 
: 일사량센서(pyranometer)는 열전퇴(thermopile) 타입의 1등급(ISO-9060 pyranometer classification)으로, 모듈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어 모듈에 입사하는 일사량을 측정한다. 모듈 온도센서는 모듈 뒷면 중앙 또는 좌우측 끝단에 열전도 접착제로 부착되며, 태양열로 가열된 모듈의 온도를 오차범위 ±1℃ 내에서 측정한다.
 
 
* '''플렌트 퍼포먼스 분석''' : 스마트 미터 또는 인버터 내부 센서를 이용하여 발전소 전체의 실제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또한 스마트 PV 모듈들로부터 모듈 단위의 발전량과 모듈이 받는 방사, 그리고 모듈 온도를 측정·비교하여 발전소의 기대 발전량을 추정한다. 퍼포먼스 평가 모델에서는 발전소의 실제 발전량과 기대 발전량을 비교하여 발전소의 퍼포먼스를 평가하며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전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데이터 검증''' : 과거 발전소들의 발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계검증 모델을 생성한 뒤, 해당 모델을 온체인에 스마트 계약 형식으로 등록한다. 이후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발전정보들은 온체인에 등록된 데이터 통계검증 모델을 통해 데이터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온체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만일 특정 데이터의 적합도가 기준에 미달할 경우, 모니터기기를 통해 관련 이력을 추가로 입력받기 전까지 해당 발전정보는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으며, 이후 사유를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이상 사유를 함께 저장하여 문제에 대한 원인과 관련한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 '''데이터 보안''' : 발전소에 설치되는 스마트기기들은 고유한 아이디와 키를 가지고 상호인증 과정을 거쳐서 서버에 등록 및 관리되며, TLS1.2 기반 MQTT 보안 통신을 한다. 스마트기기의 MCU에는 펌웨어 암호화 및 복제방지기능이 적용되어, MCU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이 피룡한 데이터들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디지털화====
 
====데이터 디지털화====
* '''데이터 컬랙션''' : 태양광 발전소 준공 시점에서 폐기 단계까지 모든 태양광 프로세스에서 생산되는 단발적이거나 주기적인 데이터는 레디 인프라넷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되는 데이터는 정형화된 데이터와 비정형화된 데이터로 분류된다. 본 단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사람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로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class=wikitable width=8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정형 데이터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비정형 데이터
 
|-
 
|align=center|준공
 
|align=center|발전소 허가서류, 발전소 가치평가 서류<br>(TIC, PPA 계약, SMP 수익) 등
 
|align=center|민원정보, 기자재 정보, 전기설계자료,<br>발전소 평균 경사각, 공사 계약서 등
 
|-
 
|align=center|유지 관리
 
|align=center|유지보수 계약, 대출이자 납부고지서,<br>보험금 납부 고지서 등
 
|align=center|설비안전관리 정보, 정기검사 결과 등
 
|-
 
|align=center|고장·사고 보수
 
|align=center|사고복구 정보
 
|align=center|보수내용 정보
 
|-
 
|align=center|매도
 
|align=center|등기이전 증빙서류, 시설물 등기이전, 금융대출 정보,<br>발전사업허가 변경신청, 사업자 등록증, 사업양수 인가 신청 등
 
|align=center|임대계약 양도, 양수 정보
 
|-
 
|align=center|폐기·운송 시작
 
|align=center|폐기계약서
 
|align=center|폐기물량, 가격, 운송함, 일정 등
 
|}
 
 
: 준공단계에서 수집되는 주요 데이터들은 고장 수리, 사고 발생 시 원인규명 발전소 매매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 외에는 추가적인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형 데이터와 다르게 비정형 데이터의 경우 각각의 발전소 별로 데이터 포맷이 다르고, 저장 방법도 다르므로, 비정형 데이터의 경우 정형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변환 후 레디 인프라넷에 업로드된 데이터는, 검증 이후 원본과 함께 조작 방지를 위한 암호화 단계를 거친다. 최종적으로, 각 태양광 발전소 데이터들의 조합을 통해 암호화된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다.
 
 
* '''데이터 검증''' : 레디 사용자가 웹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레디 인프라넷에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검증 능력이 있다고 인증된 노드들에 의하여 검증된다. 노드들의 역할은 크게 검증좌와 증명자로 구분되며 스마트 계약을 통한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검증자 : 검증자 노드들은 문서의 진위여부나 조작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을 하는 구성원으로, 검증행위를 통해 레디 인프라네셍 기여하며 검증에 대한 보상과 명성ㅇ점수를 받는다.
 
# 증명자 ; 검증자에 의하여 검증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노드이다. 유효성 검사를 통해 증명자는 레디 인프라넷에 기여하며, 유효성 검사에 대한 보상 및 명성점수를 받는다.
 
 
: 개별 노드의 역할은 생태계 내의 활동을 규정하는 스마트 계약의 형태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레디 생태계의 이후 방향성에 따라, 또는 개별 노드의 작업에 따른 명성점수에 따른 명성점수에 따라 역할이 세부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레디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익명으로 활동하며, 보상을 받기 위해 검증과정에서 다른 노드들의 검증 결과를 참고하는 편법을 막기 위해 최종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다른 노드의 검증 결과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각 검증절차를 수행하는 검증자의 검증 행위가 모두 완료된 후에서야 스마트 계약에 따른 보상을 받거나 패널티를 받게 된다. 검증된 데이터는 정형화 및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레디 서버에 저장되며, 암호화된 데이터의 해시값은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 '''데이터 표준화''' : 레디 참여자들이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워드 문서, PDF, 이미지 파일 등과 같이 형식이 정해져 있지 않은 비정형 정보이다. 향후 레디 인프라넷을 통한 정보 활용 및 분석에 있어서 비정형 정보의 정형화가 필요하다. 또한, 정보를 정형화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비정형 정보의 다양한 유형으로 인해 발생할 모호함을 줄이고 레디 인프라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 '''레디 암호화''' : 태양광 발전소 데이터 중 민감한 요소로 분류되는 것들에 대해서는 수집과정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수집된 모든 데이터들의 방대한 용량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에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레디는 태양광 발전소별 수집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데이터는 외부 저장소에, 암호화된 키 값은 블록체인상에 저장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제3자로부터 레디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제한된 사용자만이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 '''사용자 인증''' : 레디 인프라넷의 모든 사용자는 인프라넷 이용 시 본인인증을 위하여 로그인이 필요하다. 모든 사용자는 이더리움 지갑과 연동하여 로그인을 하게 된다. 이더리움 지갑 주소가 곧 사용자 본인의 아이디이며, 지갑 주소는 인프라넷 내의 모든 활동에 대한 레디 보상 및 지불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지갑은 ERC-20 기반의 레디 토큰이 추가된 지갑이어야 한다. 1차적으로 레디 인프라넷 서비스는 웹페이지 기반으로 이더리움 지갑과 연동된다. 향후 모바일 앱과 지갑 연동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진다.
 
  
 
==제휴==
 
==제휴==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