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스트리 (컴퓨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레지스트리'''(registry)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단어 자체로는 등기소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프로세서의 종류, 주기억장치의 용량, 접속된 주변장치의 정보, 시스템 매개변수, 응용소프트웨어에서 취급하는 파일 타입과 매개변수 등이 기억된다.
+
'''레지스트리'''(registry)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개발하였으며 운영체제 내에서 작동하는 모든 프로그램의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등기소, 등록소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개요 ==
 
== 개요 ==
레지스트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bit)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체제]]의 설정과 선택항목을 담고 있으며, 주기억장치의 용량, 접속된 주변장치의 정보, 시스템 매개변수,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취급하는 파일의 타입과 각종 매개변수 등의 정보가 계층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사용자가 제어판 설정, 파일 연결, 시스템 정책 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 변경 시 이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레지스트리에 반영되어 저장된다. 또한 성능 카운터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같은 [[런타임]] 정보를 노출하면서 윈도우를 [[커널]]의 운영체제 안에 제공한다. 이전에는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code>Autoexec.bat 파일</code>과 <code>Config.sys 파일</code>, 윈도 디렉터리의 다양한 <code>*.ini 파일</code>의 역할이었으나, 시스템 여러 곳에 퍼져있어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도입되었다.<ref>〈[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927 Registry 레지스트리]〉,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f>
+
레지스트리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체제의 설정과 선택항목을 담고 있으며, 주기억장치의 용량, 접속된 주변장치의 정보, 시스템 매개변수,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취급하는 파일의 타입과 각종 매개변수 등의 정보가 계층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사용자가 제어판 설정, 파일 연결, 시스템 정책 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 변경 시 이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레지스트리에 반영되어 저장된다. 또한 성능 카운터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같은 [[런타임]] 정보를 노출하면서 윈도우를 커널의 운영체제 안에 제공한다. 이전에는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code>Autoexec.bat 파일</code>과 <code>Config.sys 파일</code>, 윈도 디렉터리의 다양한 <code>*.ini 파일</code>의 역할이었으나, 시스템 여러 곳에 퍼져있어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도입되었다.<ref>〈[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927 Registry 레지스트리]〉,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f>
  
 
== 특징 ==
 
== 특징 ==
 
=== 구조 ===
 
=== 구조 ===
 
==== 키, 값 ====
 
==== 키, 값 ====
레지스트리는 키와 값의 두 가지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
레지스트리는 키와 값이라는 두 가지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
* 레지스트리 키 : 폴더와 비슷하다. 각 키는 수많은 서브키를 포함할 수 있는 서브키를 가질 수 있고, 계급 수준을 지시하기 위해 백 슬래시를 사용하면서 Windows라는 경로 이름과 비슷한 구문으로 가리킨다.
* [[]](key) : 폴더와 비슷하다. 각 키는 수많은 [[서브키]]를 포함할 수 있는 서브키를 가질 수 있고, 계급 수준을 지시하기 위해 백 슬래시를 사용하면서 윈도즈(Windows)라는 경로 이름과 비슷한 구문으로 가리킨다.
+
* 레지스트리 값 : 키 안에 들어 있는 이름/자료이다. 값은 여러 키로부터 따로 참조할 수 있다. 이름에 백 슬래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키 경로와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레지스트리 값을 찾아서 이용하는 윈도우 [[API]] 명령어는 부모 키를 정의하는 핸들과 값 이름을 경로에서 별도로 가져온다. 레지스트리는 수많은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
 
 
* [[]](value) : 키 안에 들어 있는 이름/자료이다. 값은 여러 키로부터 따로 참조할 수 있다. 이름에 백 슬래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키 경로와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 레지스트리 값을 찾아서 이용하는 윈도우 [[API]] [[명령어]]는 부모 키를 정의하는 핸들과 값 이름을 경로에서 별도로 가져온다. 레지스트리는 수많은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
 
 
 
 
:{|class=wikitable width=900
 
:{|class=wikitable width=900
 
|+<big>'''레지스트리의 값 종류'''</big>
 
|+<big>'''레지스트리의 값 종류'''</big>
61번째 줄: 58번째 줄:
 
|align=center|윈도우 2000에 도입
 
|align=center|윈도우 2000에 도입
 
|}
 
|}
 +
  
 
==== 하이브 ====
 
==== 하이브 ====
레지스트리는 수많은 논리를 구분하는 [[하이브]](hive)로 나눌 수 있다. 하이브는 모두 HKEY로 시작하며, 보통 윈도우 API 정의로 이름이 지정된다. HK로 시작하는 이름들은 HKCU, HKLM과 같이 짧은 3~4개의 이름을 줄인 것이다. 하이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레지스트리는 수많은 논리를 구분하는 하이브(hive)로 나눌 수 있다. 하이브는 모두 HKEY로 시작하며, 보통 윈도우 API 정의로 이름이 지정된다. HK로 시작하는 이름들은 HKCU, HKLM과 같이 짧은 3~4개의 이름을 줄인 것이다. 하이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width=900
 
:{|class=wikitable width=900
 
|+<big>'''하이브의 종류'''</big>
 
|+<big>'''하이브의 종류'''</big>
 
!align=center|HKEY_CLASSES_ROOT (HKCR)
 
!align=center|HKEY_CLASSES_ROOT (HKCR)
|align=center|Windows 탐색기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 때 정확한 프로그램이 열리도록 한다.<br>파일 연결, OLE 객체 클래스 ID와 같은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담고 있다.
+
|align=center|파일 연결, OLE 객체 클래스 ID와 같은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를 담고 있다.
 
|-
 
|-
 
!align=center|HKEY_CURRENT_USER (HKCU)
 
!align=center|HKEY_CURRENT_USER (HKCU)
|align=center|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구성 정보 루트를 담고 있다.
+
|align=center|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설정을 담고 있다.
 
|-
 
|-
 
!align=center|HKEY_LOCAL_MACHINE (HKLM)
 
!align=center|HKEY_LOCAL_MACHINE (HKLM)
|align=center|컴퓨터의 특정 구성 정보로 H/W, S/W의 설정 정보이다.<br>H/W를 구동할 때 필요한 드라이버 설정 사항이기도 하다.
+
|align=center|컴퓨터의 모든 사용자의 설정을 담고 있다.
 
|-
 
|-
 
!align=center|HKEY_USERS<br>(HKU)
 
!align=center|HKEY_USERS<br>(HKU)
|align=center|컴퓨터에서 사용 중인 모든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HKEY_CURRENT_USER 키에 일치하는 서브키를 담고 있다.<br>HKCU에 저장된 정
+
|align=center|컴퓨터에서 사용 중인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HKEY_CURRENT_USER 키에 일치하는 서브키를 담고 있다.
 
|-
 
|-
 
!align=center|HKEY_CURRENT_CONFIG
 
!align=center|HKEY_CURRENT_CONFIG
91번째 줄: 88번째 줄:
 
=== 편집 ===
 
=== 편집 ===
 
==== 수동편집 ====
 
==== 수동편집 ====
레지스트리는 윈도우 디렉터리에 있는 <code>regedit.ext</code> 또는 <code>regedt32.exe</code>를 실행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지만, 부주의한 레지스트리 편집은 돌이킬 수 없는 위험을 일으킬 수 있어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기에 앞서 먼저 [[백업]]을 권장한다. 윈도우 3.x에서 등록 정보 편집기(Registration Info Editor)를 선보였는데, 이는 단순히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로서 문서 안의 OLE 객체를 편집하는 용도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윈도우 NT는 레지스트리 편집에 대한 허가를 도입했다. 윈도우 9x 운영체제는 윈도우와 MS-DOS 리얼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de>REGEDIT.EXE</code>를 포함하고 있고, 윈도우 NT 4.0과 윈도우 2000은 윈도우 9x <code>REGEDIT.EXE</code> 프로그램과 윈도우 NT 3.x의 <code>REGEDT32.EXE</code> 프로그램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두 편집 프로그램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레지스트리는 윈도우 디렉터리에 있는 <code>regedit.ext</code> 또는 <code>regedt32.exe</code>를 실행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지만 부주의한 레지스트리 편집은 돌이킬 수 없는 위험을 일으킬 수 있어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기에 앞서 먼저 백업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윈도우 3.x에서 "등록 정보 편집기(Registration Info Editor)"선보였다. 이는 단순히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였으며 문서 안의 OLE 객체를 편집하는 용도였으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윈도우 NT는 레지스트리 편집에 대한 허가를 도입하였다. 윈도우 9x 운영체제는 윈도우와 MS-DOS 리얼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de>REGEDIT.EXE</code>를 포함하고 있었고, 윈도우 NT 4.0과 윈도우 2000은 윈도우 9x <code>REGEDIT.EXE</code> 프로그램과 윈도우 NT 3.x의 <code>REGEDT32.EXE</code> 프로그램을 둘 다 가지고 있었다. 두 개의 편집 프로그램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width=900
 
:{|class=wikitable width=900
 
|+<big>'''REGEDIT.EXE와 REGEDT32.EXE의 비교'''</big>
 
|+<big>'''REGEDIT.EXE와 REGEDT32.EXE의 비교'''</big>
117번째 줄: 114번째 줄:
 
|}
 
|}
  
윈도우 XP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하나로 통합한 첫 운영체제였으며, 이전의 <code>REGEDIT.EXE</code>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code>REGEDT32.EXE</code>의 기능을 추가하였다. 윈도우 XP 이후의 운영 체제에서 <code>REGEDIT.EXE</code>가 개선되어, <code>REGEDT32.EXE</code>는 단순히 <code>REGEDIT.EXE</code>를 불러오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앞서 말한 차이점들은 적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사용자에게 다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윈도우 XP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하나로 통합한 첫 운영체제였으며, 이전의 <code>REGEDIT.EXE</code>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code>REGEDT32.EXE</code>의 기능을 추가하였다. 윈도우 XP 이후의 운영 체제에서 <code>REGEDIT.EXE</code>가 개선되었고 <code>REGEDT32.EXE</code>는 단순히 <code>REGEDIT.EXE</code>를 불러오는 단순한 방식이 되면서 앞서 말한 차이점들은 적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사용자에게 다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 레지스트리 키, 서브키, 값, 값 데이터를 만들고, 제어하고, 이름을 바꾸고, 삭제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키, 서브키, 값, 값 데이터를 만들고, 제어하고, 이름을 바꾸고, 삭제할 수 있다.
 
* REG 파일들을 가져오고 내보낸다. 이진 하이브 포맷으로 자료를 내보낸다.
 
* REG 파일들을 가져오고 내보낸다. 이진 하이브 포맷으로 자료를 내보낸다.
126번째 줄: 122번째 줄:
 
* 키 이름, 값 이름, 값 데이터에서 특정한 문자열을 찾는다.
 
* 키 이름, 값 이름, 값 데이터에서 특정한 문자열을 찾는다.
 
* 다른 네트워크 컴퓨터의 레지스트리를 원격으로 편집한다.
 
* 다른 네트워크 컴퓨터의 레지스트리를 원격으로 편집한다.
 +
  
 
==== .REG 파일 ====
 
==== .REG 파일 ====
레지스트리 항목이라 불리는 <code>.REG 파일</code>은 문자열 기반으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파일로 레지스트리의 일부가 저장되어 있다. 윈도우 2000 이후의 NT 기반 운영 체제에는 처음 시작 내용에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한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을 포함하고 있고 윈도우 9x / NT 4.0 운영 체제에는 'REGEDIT4'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며 ANS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윈도우 9x 포맷의 <code>.REG 파일</code>은 윈도우 2000 및 후반 NT 기반 운영 체제와 호환되어 이 세 운영 체제의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윈도우 9x / NT 형태의 <code>.REG 파일</code>을 내보내는 기능을 제공한다. <code>.REG 파일</code>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다음의 구문을 사용해 저장된다.
+
레지스트리 항목이라 불리는 <code>.REG 파일</code>은 문자열 기반으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파일이며 레지스트리의 일부가 저장되어 있다. 윈도우 2000 이후의 NT 기반 운영 체제에는 처음 시작 내용에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한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을 포함하고 있고 윈도우 9x / NT 4.0 운영 체제에는 'REGEDIT4'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며 ANS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윈도우 9x 포맷의 <code>.REG 파일</code>은 윈도우 2000 및 후반 NT 기반 운영 체제와 호환되어 이 세 운영 체제의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윈도우 9x / NT 형태의 <code>.REG 파일</code>을 내보내는 기능을 제공한다. .REG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다음의 구문을 사용해 저장된다.
 
 
 
  [<하이브 이름>\<키 이름>\<서브키 이름>]<br>"값 이름"=<값 형태>:<값 데이터>
 
  [<하이브 이름>\<키 이름>\<서브키 이름>]<br>"값 이름"=<값 형태>:<값 데이터>
 +
.REG 파일의 데이터는 이러한 파일을 두 번 누르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s 스위치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추가하거나 병합할 수 있다. <code>.REG 파일</code>은 레지스트리 데이터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키(모든 서브키, 값, 데이터)를 제거하려면 .REG 파일은 하이브 이름 앞에 빼기 표시(-)를 넣어주어야 하고, 키와 그 데이터를 제거하려면 <code>.REG 파일</code>은 제거할 값의 등호 뒤에 빼기 표시(-)를 넣어주어야 한다.
  
<code>.REG 파일</code>의 데이터는 이러한 파일을 두 번 누르거나 명령 프롬프트에서 <code>/s</code> 스위치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추가하거나 병합할 수 있다. <code>.REG 파일</code>은 레지스트리 데이터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키(모든 서브키, 값, 데이터)를 제거하려면 <code>.REG 파일</code>은 하이브 이름 앞에 빼기 표시(-)를 넣어주어야 하고, 키와 그 데이터를 제거하려면 제거할 값의 등호 뒤에 빼기 표시(-)를 넣어주어야 한다.
 
  
 
==== 명령 줄 편집 ====
 
==== 명령 줄 편집 ====
 
레지스트리는 명령 줄에서 수많은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code>reg.exe</code> 유틸리티 도구는 윈도우 XP와 윈도우 비스타에 포함되어 있다.
 
레지스트리는 명령 줄에서 수많은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code>reg.exe</code> 유틸리티 도구는 윈도우 XP와 윈도우 비스타에 포함되어 있다.
 
 
  reg.exe Operation [매개변수 목록]
 
  reg.exe Operation [매개변수 목록]
 
  Operation [QUERY|ADD|DELETE|COPY|SAVE|LOAD|UNLOAD|RESTORE|COMPARE|EXPORT|IMPORT]
 
  Operation [QUERY|ADD|DELETE|COPY|SAVE|LOAD|UNLOAD|RESTORE|COMPARE|EXPORT|IMPORT]
 
 
<code>.REG 파일</code>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가져올 수 있다.
 
<code>.REG 파일</code>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가져올 수 있다.
 
 
  regedit.exe /s 파일 이름
 
  regedit.exe /s 파일 이름
 
+
<code>/s</code> 는 레지스트리에 조용하게 병합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 변수가 빠지면 레지스트리 병합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한다. <code>/s</code> 스위치를 사용하면 Regedit는 작업을 실패할 때 <code>reg.exe</code>가 하는 바와 달리 적절한 반환 코드를 반환하지 않아 실패 여부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줄을 배치 파일에 추가해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ode>/s</code>는 레지스트리에 조용하게 병합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 변수가 빠지면 레지스트리 병합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한다. <code>/s</code> 스위치를 사용하면 Regedit는 작업을 실패할 때 <code>reg.exe</code>가 하는 바와 달리 적절한 반환 코드를 반환하지 않아 실패 여부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줄을 배치 파일에 추가해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regedit /s file.reg<br>regedit /e test.reg "key"<br>'''if not exist''' test.reg '''goto''' REGERROR<br>'''del''' test.reg
 
  regedit /s file.reg<br>regedit /e test.reg "key"<br>'''if not exist''' test.reg '''goto''' REGERROR<br>'''del''' test.reg
  
윈도우 98을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수많은 버전에서 <code>.REG 파일</code>의 기본 연결을 사용자에게 병합 확인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른 명령 줄 옵션은 CScript, WHI <code>WMIC.exe</code>, 윈도우 파워셸과 더불어 VBSript, JScript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레지스트리 허가는 <code>SubInACL.exe</code> 도구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다.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윈도우 98을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수많은 버전에서 <code>.REG 파일</code>의 기본 연결을 사용자에게 병합 확인을 요구하지 않는다.
 
 
:{|class=wikitable width=900
 
|+<big>'''HKEY_LOCAL_MACHINE\SOFTWARE 레지스트리 허가'''</big>
 
!align=center|입력 방식
 
!align=center|비고
 
|-
 
|align=center|subinacl /keyreg HKEY_LOCAL_MACHINE\SOFTWARE /display
 
|align=center|허가 요청
 
|-
 
|align=center|subinacl /keyreg HKEY_LOCAL_MACHINE\SOFTWARE /setowner=Administrator
 
|align=center rowspan="2"|HKEY_LOCAL_MACHINE\SOFTWARE 키에 해당하는<br>모든 서브키의 소유자를 관리자로 설정
 
|-
 
|align=center|subinacl /subkeyreg HKEY_LOCAL_MACHINE\SOFTWARE /setowner=Administrator
 
|-
 
|align=center|subinacl /keyreg HKEY_LOCAL_MACHINE\SOFTWARE /grant=Administrator=F
 
|align=center|HKEY_LOCAL_MACHINE\SOFTWARE 키를<br>안전하게 관리자 권한으로 제공
 
|}
 
  
 
====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 ====
 
====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 ====
 
레지스트리는 고급 윈도우 32 기반 API 라이브러리(advapi32.dll)의 API를 통해 편집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고급 윈도우 32 기반 API 라이브러리(advapi32.dll)의 API를 통해 편집할 수 있다.
 
 
:{|class=wikitable width=900
 
:{|class=wikitable width=900
 
|+<big>'''레지스트리 API 명령어의 종류'''</big>
 
|+<big>'''레지스트리 API 명령어의 종류'''</big>
208번째 줄: 181번째 줄:
 
|}
 
|}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체 런타임 라이브러리 기능이나 클래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들이 레지스트리의 설정을 저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COM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WSH <code>WScript.Shell</code>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달리 윈도우 리소스 킷 도구, <code>Reg.exe</code>를 사용해 코드로부터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비슷하게 [[]], 윈도우 파워셸, 윈도우 스크립트 호스트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는 [[스크립트]]로부터 레지스트리를 편집할 수 있게 만든다.
+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체 런타임 라이브러리 기능이나 클래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들이 레지스트리의 설정을 저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COM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WSH <code>WScript.Shell</code>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달리 윈도우 리소스 킷 도구, <code>Reg.exe</code>를 사용해 코드로부터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비슷하게 펄, 윈도우 파워셸, 윈도우 스크립트 호스트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는 스크립트로부터 레지스트리를 편집할 수 있게 만든다.
  
 
== 위치 ==
 
== 위치 ==
 
레지스트리는 윈도우의 버전에 따라 여러 개의 파일에 저장되고 이러한 파일들은 모두 로컬 컴퓨터에 존재한다. 사용자가 특화된 <code>HKEY_CURRENT_USER</code> 사용자 레지스트리 하이브는 <code>Ntuser.dat</code>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로밍 파일을 가지고 있으면 로그아웃할 때 서버에 복사하고 로그인할 때 서버로부터 복사를 받는다.
 
레지스트리는 윈도우의 버전에 따라 여러 개의 파일에 저장되고 이러한 파일들은 모두 로컬 컴퓨터에 존재한다. 사용자가 특화된 <code>HKEY_CURRENT_USER</code> 사용자 레지스트리 하이브는 <code>Ntuser.dat</code>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로밍 파일을 가지고 있으면 로그아웃할 때 서버에 복사하고 로그인할 때 서버로부터 복사를 받는다.
 
+
=== 윈도우 NT 기반의 운영체제 ===
=== 윈도우 NT ===
+
레지스트리를 이진 파일의 하이브 형식으로 저장한다. 윈도우 NT 기반 운영체제들이 내보내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레지스트리를 이진 파일의 하이브 형식으로 저장한다. 윈도우 NT 기반 운영체제들이 내보내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ode>%SystmeRoot%\System32\Config\</code>에 저장되는 레지스트리 파일은 다음과 같다.
+
<code>%SystmeRoot%\System32\Config\</code>에 저장되는 레지스트리 파일은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width=900
 
:{|class=wikitable width=900
 
!align=center|Sam
 
!align=center|Sam
245번째 줄: 218번째 줄:
 
|align=center|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br>(경로는 운영체제의 언어에 따라 지역화 되어있다.)
 
|align=center|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br>(경로는 운영체제의 언어에 따라 지역화 되어있다.)
 
|}
 
|}
 +
  
 
=== 윈도우 95, 98, Me ===
 
=== 윈도우 95, 98, Me ===
250번째 줄: 224번째 줄:
  
 
=== 윈도우 3.11 ===
 
=== 윈도우 3.11 ===
윈도우 3.11을 개발하는 동안 <code>*.ini 파일</code>을 제거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새로운 파일 형식이 프로그래밍 환경에 도입되었고 이를 <code>Reg.dat</code>이라 한다. 이 파일은 <code>C:\WINDOWS</code> 디렉터리에 저장되고 윈도우 95 레지스트리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
+
윈도우 3.11을 개발하는 동안 <code>*.ini 파일</code>을 제거해야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새로운 파일 형식이 프로그래밍 환경에 도입되었고 이를 <code>Reg.dat</code>이라 한다. 이 파일은 <code>C:\WINDOWS</code> 디렉터리에 저장되고 윈도우 95 레지스트리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
  
 
== 백업 및 복구 ==
 
== 백업 및 복구 ==
 
윈도우는 여러 개의 방식을 지원하여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한다.
 
윈도우는 여러 개의 방식을 지원하여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한다.
 
 
* 윈도우 NT 기반의 운영 체제는 자동으로 각 하이브의 백업본을 <code>%Windir%\System32\config 폴더</code>에 만든다. 어떤 파일이든 복구 콘솔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 윈도우 NT 기반의 운영 체제는 자동으로 각 하이브의 백업본을 <code>%Windir%\System32\config 폴더</code>에 만든다. 어떤 파일이든 복구 콘솔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 시스템 복원은 윈도우가 시동할 수 있을 경우 또는 윈도우 비스타 시작 시 윈도우 복구 환경으로부터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다.
 
* 시스템 복원은 윈도우가 시동할 수 있을 경우 또는 윈도우 비스타 시작 시 윈도우 복구 환경으로부터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다.
 
* NT백업은 레지스트리를 시스템 상태의 일부로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다.
 
* NT백업은 레지스트리를 시스템 상태의 일부로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다.
 
* 윈도우 98 / Me는 레지스트리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는 <code>Scanreg.exe 파일</code>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code>Scanregw.exe</code> 파일을 이용하면 된다. 5개의 자동 정규 백업본을 기본으로 만들 수 있으며 손상이 일어나면 수동으로 복원을 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검사 도구는 레지스트리를 기본적으로 <code>%Windir%\Sysbckup</code>에 백업하고 <code>scanreg.exe</code>는 MS-DOS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 윈도우 98 / Me는 레지스트리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는 <code>Scanreg.exe 파일</code>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code>Scanregw.exe</code> 파일을 이용하면 된다. 5개의 자동 정규 백업본을 기본으로 만들 수 있으며 손상이 일어나면 수동으로 복원을 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 검사 도구는 레지스트리를 기본적으로 <code>%Windir%\Sysbckup</code>에 백업하고 <code>scanreg.exe</code>는 MS-DOS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 윈도우 95 CD-ROM은 긴급 복구 유틸리티 <code<ERU.exe</code>와 구성 백업 도구 <code>Cfgback.exe</code>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게 도와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88%EB%8F%84%EC%9A%B0_%EB%A0%88%EC%A7%80%EC%8A%A4%ED%8A%B8%EB%A6%AC 윈도우 레지스트리]〉, 《위키백과》</ref>
+
* 윈도우 95 CD-ROM은 긴급 복구 유틸리티(ERU.exe)와 구성 백업 도구(Cfgback.exe)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게 도와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9C%88%EB%8F%84%EC%9A%B0_%EB%A0%88%EC%A7%80%EC%8A%A4%ED%8A%B8%EB%A6%AC 윈도우 레지스트리]〉, 《위키백과》</ref>
  
 
{{각주}}
 
{{각주}}
266번째 줄: 239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8%EB%8F%84%EC%9A%B0_%EB%A0%88%EC%A7%80%EC%8A%A4%ED%8A%B8%EB%A6%AC 윈도우 레지스트리]〉,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8%EB%8F%84%EC%9A%B0_%EB%A0%88%EC%A7%80%EC%8A%A4%ED%8A%B8%EB%A6%AC 윈도우 레지스트리]〉, 《위키백과》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927 Registry 레지스트리]〉,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927 Registry 레지스트리]〉,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같이 보기 ==
 
* [[윈도우]]
 
 
{{소프트웨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