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어드바이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07번째 줄: 407번째 줄: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대한민국에서 로보어드바이저의 활성화와 연구, 규제 및 관리를 위해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를 운영 중이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의 운용 목적은 로보어드바이저의 분산투자, 투자자 성향 분석, 해킹 방지 체계 등 투자자문, 일임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며 운용 주체는 IT 기술 및 자본시장 관련 인프라 전문기업인 [[코스콤]]이다. 크게 4가지의 항목으로 목적을 구성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금융위원회">〈[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31358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게 될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 운영방안]〉, 《금융위원회》, 2016-08-29</ref>
+
대한민국에서 로보어드바이저의 활성화와 연구, 규제 및 관리를 위해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를 운영 중이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의 운용 목적은 로보어드바이저의 분산투자, 투자자 성향 분석, 해킹방지 체계 등 투자자문, 일임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율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며 운용 주체는 IT 기술 및 자본시장 관련 인프라 전문기업인 [[코스콤]]이다. 크게 4가지의 항목으로 목적을 구성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금융위원회">〈[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31358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게 될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 운영방안]〉, 《금융위원회》, 2016-08-29</ref>
  
 
금융위원회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운영방안을 〈[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31358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게 될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 운영방안]〉을 통해 공지하고 있으며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의 공식 홈페이지〈[http://www.ratestbed.kr/portal/main/main.do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를 통해 심사를 받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운영방안을 〈[https://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menu=7210100&bbsid=BBS0030&no=31358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게 될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기본 운영방안]〉을 통해 공지하고 있으며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의 공식 홈페이지〈[http://www.ratestbed.kr/portal/main/main.do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센터]〉를 통해 심사를 받을 수 있다.
448번째 줄: 448번째 줄:
 
'''2. 본심사(포트폴리오 운용 심사)'''
 
'''2. 본심사(포트폴리오 운용 심사)'''
  
과정에서 도출된 포트폴리오에 대해 일정 기간(최대 6개월) 동안 실제 자금을 운용하도록 하여 알고리즘의 안정성을 심사
+
과정에서 도출된 포트폴리오에 대해 일정기간(최대 6개월) 동안 실제 자금을 운용하도록 하여 알고리즘의 안정성을 심사
  
 
* 포트폴리오 유형 : 안정 추구ㆍ위험 중립ㆍ적극 투자형 등 3개 유형(펀드의 경우 1개 유형 선택)
 
* 포트폴리오 유형 : 안정 추구ㆍ위험 중립ㆍ적극 투자형 등 3개 유형(펀드의 경우 1개 유형 선택)
584번째 줄: 584번째 줄: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0.5%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0.5%
 
|align=center|없음
 
|align=center|없음
|align=center|월 1회 자문 무료, 3회 자문 이후 1년 무료
+
|align=center|한달에 한 번 자문 무료, 3회 자문 이후 1년 무료
 
|-
 
|-
 
|align=center|웰스프론트(Wealthfront)
 
|align=center|웰스프론트(Wealthfront)
591번째 줄: 591번째 줄: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align=center|500달러
 
|align=center|500달러
|align=center|총자산 1만 달러까지 무료, 각 5천 달러 이하의 어드바이저 무료.
+
|align=center|총 자산 1만 달러까지는 무료, 각 5천 달러 이하의 어드바이저 무료.
 
|-
 
|-
 
|align=center|퍼스널 캐피탈(Personal Capital)
 
|align=center|퍼스널 캐피탈(Personal Capital)
601번째 줄: 601번째 줄:
 
|-
 
|-
 
|align=center|블룸(Blooom)
 
|align=center|블룸(Blooom)
|align=center|7억 1,000만 달러
+
|align=center|7억 1000만 달러
 
|align=center|보험/연금 계획, 어드바이저 매칭
 
|align=center|보험/연금 계획, 어드바이저 매칭
 
|align=center|월 10달러
 
|align=center|월 10달러
608번째 줄: 608번째 줄:
 
|-
 
|-
 
|align=center|아콘즈(Acorns)
 
|align=center|아콘즈(Acorns)
|align=center|2억 5,700만 달러
+
|align=center|2억 5700만 달러
 
|align=center|밀레니엄 세대 중심, 비용별 다른 특수 투자 전략
 
|align=center|밀레니엄 세대 중심, 비용별 다른 특수 투자 전략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계좌 잔액이 5,000달러 이하일 경우 월 1달러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계좌 잔액이 5,000달러 이하일 경우 월 1달러
615번째 줄: 615번째 줄:
 
|-
 
|-
 
|align=center|시그피그(SigFig)
 
|align=center|시그피그(SigFig)
|align=center|1억 2,000만 달러
+
|align=center|1억 2000만 달러
 
|align=center|은퇴 계획, 어드바이저 매칭, 세무회계 서비스
 
|align=center|은퇴 계획, 어드바이저 매칭, 세무회계 서비스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계좌 잔액이 1만 달러 이하일 경우 무료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25%, 계좌 잔액이 1만 달러 이하일 경우 무료
 
|align=center|2,000달러
 
|align=center|2,000달러
|align=center|없움
+
|align=center|옶움
 
|-
 
|-
 
|align=center|와이즈반얀(WiseBanyan)
 
|align=center|와이즈반얀(WiseBanyan)
|align=center|8,000만 달러
+
|align=center|8000만 달러
 
|align=center|종합 자산 관리, 완전 무료 서비스
 
|align=center|종합 자산 관리, 완전 무료 서비스
 
|align=center|완전 무료 서비스
 
|align=center|완전 무료 서비스
629번째 줄: 629번째 줄:
 
|-
 
|-
 
|align=center|앨리 인베스트(Ally Invest)
 
|align=center|앨리 인베스트(Ally Invest)
|align=center|6,000만 달러
+
|align=center|6000만 달러
 
|align=center|목표 기반 계획 도구 제공, 저비용, 비독점 ETF
 
|align=center|목표 기반 계획 도구 제공, 저비용, 비독점 ETF
 
|align=center|연 0.003%
 
|align=center|연 0.003%
676번째 줄: 676번째 줄:
 
|align=center|TD 에머리트레이드 에센셜 포트폴리어(TD Ameritrade Essential Portfolios)
 
|align=center|TD 에머리트레이드 에센셜 포트폴리어(TD Ameritrade Essential Portfolios)
 
|align=center|자료 없음
 
|align=center|자료 없음
|align=center|밀레니얼 세대 중심, 모닝스타 후원 저비용 ETF  
+
|align=center|밀레니얼 세대 중심, 모닝스터 후원 저비용 ETF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3%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3%
 
|align=center|5,000달러
 
|align=center|5,000달러
683번째 줄: 683번째 줄:
 
|align=center|이트레이드 어댑티브 포트폴리오(E-Trade Adaptive Portfolio)
 
|align=center|이트레이드 어댑티브 포트폴리오(E-Trade Adaptive Portfolio)
 
|align=center|자료 없음
 
|align=center|자료 없음
|align=center|뮤추얼펀드/ETF, 세무회계 서비스, 어드바이저 매칭
+
|align=center|뮤츄얼펀드/ETF, 세무회계 서비스, 어드바이저 매칭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3%
 
|align=center|계좌 잔액의 0.3%
 
|align=center|10,000달러, 보험 서비스는 5,000달러
 
|align=center|10,000달러, 보험 서비스는 5,000달러
739번째 줄: 739번째 줄:
 
|align=center|세분화 포트폴리오, ISA 및 퇴직연금 특화
 
|align=center|세분화 포트폴리오, ISA 및 퇴직연금 특화
 
|align=center|일임형
 
|align=center|일임형
|align=center|일임 보수 0.1~0.5% + 판매보수
+
|align=center|일임보수 0.1~0.5% + 판매보수
 
|align=center|1~10만 원
 
|align=center|1~10만 원
 
|align=center|
 
|align=center|
769번째 줄: 769번째 줄:
 
|align=center|우리 로보-알파(WOORI ROBO-ALPHA)
 
|align=center|우리 로보-알파(WOORI ROBO-ALPHA)
 
|align=center|우리은행
 
|align=center|우리은행
|align=center|테스트베드 연평균 수익률 4.52% 기록
+
|align=center|테스트베드 연평균 수익룰 4.52% 기록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
785번째 줄: 785번째 줄:
  
 
==현황==
 
==현황==
미국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가 등장한 지 10년이 넘어갔고 제로 금리로 인해 은행 이외의 투자처를 원하는 고객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 과정에서 낮은 수수료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어드바이저의 고객이 늘어나게 되었다.
+
미국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가 등장한지 10년이 넘어갔고 제로 금리로 인해 은행 이외의 투자처를 원하는 고객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 과정에서 낮은 수수료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어드바이저의 고객이 늘어나게 되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인터넷에 연결되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금융 플랫폼으로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특정 계층의 인구를 많이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투자 가능한 자산을 벌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그러한 예다.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X세대(Generation X) 등으로 불리는 사람은 온라인으로 개인 정보를 공유하고 자산 관리와 같은 중요한 업무를 온라인 기술로 해결하는 것이 더 편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수많은 기업은 이 세대의 사람들을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마케팅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저 인베스토피디아"/>
+
로보어드바이저는 인터넷에 연결되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금융 플랫폼으로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은 특정 계층의 인구를 많이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투자 가능한 자산을 벌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그러한 예다.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X세대(Generation X) 등으로 불리는 사람은 온라인으로 개인 정보를 공유하고 자산 관리와 같은 중요한 업무를 온라인 기술로 해결하는 것이 더 편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수많은 기업들은 이 세대의 사람들을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마케팅을 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저 인베스토피디아"/>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고액순자산보유자(HNWI; High Net Worth Individuals)에게도 로보어드바이저는 매력적인 자산 투자 수단이다. 이들은 간단하게 부자를 말하는데, 부동산을 제외한 금융자산이 100만 달러 이상인 사람을 의미하며 이들 중 3천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사람은 초고액순자산보유자(Ultra High Net Worth Individuals)라고 한다. 이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어드바이저의 주 고객이다. 금융 데이터 분석회사인 하트앤월렛(Hearts & Wallets) 사의 연구에 따르면 53세에서 64세 사이의 투자자 중 절반과 64세 이상 은퇴자들의 1/3이 이들의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다고 밝혔다.<ref name="로보어드바저 인베스토피디아"/>
+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고액순자산보유자(HNWI; High Net Worth Individuals)에게도 로보어드바이저는 매력적인 자산 투자 수단이다. 이들은 간단하게 부자를 말하는데, 부동산을 제외한 금융자산이 100만 달러 이상인 사람을 의미하며 이들 중 3천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사람은 초고액순자산보유자(Ultra High Net Worth Individuals)라고 한다. 이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어드바이저의 주 고객이다. 금융 데이터 분석회사인 하트앤월렛(Hearts & Wallets) 사의 연구에 따르면 53세에서 64세 사이의 투자자들 중 절반과 64세 이상 은퇴자들의 1/3이 이들의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한다고 밝혔다.<ref name="로보어드바저 인베스토피디아"/>
  
IBK경제연구소의 보고서 〈[http://research.ibk.co.kr/research/board/finance/download/51315/1 로보어드바이저에 관한 오해와 진실]〉에 따르면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 기업과 기준 금융회사의 제휴가 증가하고 있다. 증권사 리서치 및 운용, 트레이딩 시스템 구축 등 증권 및 IT 경력자가 주축이 된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 기업이 많으며, 대부분 창업 1~2년 이내의 기업으로 기술력 및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업무 제휴 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
IBK경제연구소의 보고서 〈[http://research.ibk.co.kr/research/board/finance/download/51315/1 로보어드바이저에 관한 오해과 진실]〉에 따르면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아직 초기단계로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 기업과 기준 금융회사의 제휴가 증가하고 있다. 증권사 리서치 및 운용, 트레이딩 시스템 구축 등 증권 및 IT 경력자가 주축이 된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 기업이 많으며, 대부분 창업 1~2년 이내의 기업으로 기술력 및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업무 제휴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은행과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은 자체적으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준비하거나 관련 스타트업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증권은 가장 적극적으로 로보어드바이저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ETF 분할매매 전략 등 기존 트레이딩 서비스의 업그레이드 수준에 불과한 경우도 있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1, 2위를 다투고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 회사는 자산군별 ETF를 자동으로 자산 배분하는 자체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을 상당 부분 구축한 상태다. 두 업체는 증권사나 은행과 업무 제휴를 맺어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을 제공하고 투자일임이나 자문 수수료를 받거나, 온라인 펀드판매사를 통해 상장지수펀드(ETF)로 자산 배분을 하는 재간접펀드를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국거래소도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증권(ETN) 거래 활성화를 위해 증권업계와 손을 잡고,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운영한다. 은행은 신한 및 KEB하나은행이 그룹사와 연계하여 온라인 자산관리 서비스를 구축 중이며,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여부는 은행별로 다르다.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이 자문사 라이센스를 획득하고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자문사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다. 하나은행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 자산운용을 올해 본격 도입할 계획이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자산관리(WM)에 로보어드바이저 기능을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 외에도 에임(AIM), 디셈버앤컴퍼니, 쿼터백랩, 데이터앤애널리틱스(DNA) 등 핀테크 업체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추진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맺은 금융권이 늘어나면서 차츰 국내 시장에도 로보어드바이저가 본격 도입되는 분위기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
은행과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은 자체적으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준비하거나 관련 스타트업과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증권은 가장 적극적으로 로보어드바이저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ETF 분할매매 전략 등 기존 트레이딩 서비스의 업그레이드 수준에 불과한 경우도 있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1, 2위를 다투고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 회사는 자산군별 ETF를 자동으로 자산배분하는 자체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을 상당 부분 구축한 상태다. 두 업체는 증권사나 은행과 업무 제휴를 맺어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을 제공하고 투자일임이나 자문수수료를 받거나, 온라인 펀드판매사를 통해 상장지수펀드(ETF)로 자산배분을 하는 재간접펀드를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국거래소도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증권(ETN) 거래 활성화를 위해 증권업계와 손을 잡고,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운영한다. 은행은 신한 및 KEB하나은행이 그룹사와 연계하여 온라인 자산관리서비스를 구축 중에 있으며,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여부는 은행별로 상이하다.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로보어드바이저 관련 스타트업이 자문사 라이센스를 획득하고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자문사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다. 하나은행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 자산운용을 올해 본격 도입할 계획이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자산관리(WM)에 로보어드바이저 기능을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 외에도 에임(AIM), 디셈버앤컴퍼니, 쿼터백랩, 데이터앤애널리틱스(DNA) 등 핀테크 업체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추진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맺은 금융권이 늘어나면서 차츰 국내 시장에도 로보어드바이저가 본격 도입되는 분위기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대한민국에서 최초 [[핀테크]] 자산운용사로 이름을 올린 [[에임]](AIM; Automated Investment Management)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알고리즘(연산 규칙)을 이용한 자동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임은 자동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개인이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내려받은 뒤 앱에서 자산과 연봉부터 노후준비, 내 집 마련, 자녀교육 같은 미래 목표를 설정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목표와 위험 수용도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짜준다. 국내주식, 해외주식, 원자재 등의 투자 비율을 산출하고 2,500개의 상장지수펀드(ETF) 중 비용은 낮고 수익성과 유동성이 좋은 상장지수펀드(ETF)를 각 부문마다 한 개씩 골라준다. 밸류시스템투자자문의 아이로보는 미래에셋자산운용, 동부증권 등을 통하여 일임형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가입만 증권사에서 담당하고,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포트폴리오 선정 및 투자는 모두 자문사가 제공한다. 쿼터백자산운용에서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을 통하여 자문형 공모펀드, 자문형 랩 상품 등 다양한 로보 어드바이저 기반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공모펀드 상품은 가입 최소금액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뱅크샐러드"/>
+
대한민국에서 최초 [[핀테크]] 자산운용사로 이름을 올린 [[에임]](AIM; Automated Investment Management)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알고리즘(연산 규칙)을 이용한 자동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임은 자동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개인이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내려받은 뒤 앱에서 자산과 연봉부터 노후준비, 내 집 마련, 자녀교육 같은 미래 목표를 설정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목표와 위험 수용도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짜준다. 국내주식, 해외주식, 원자재 등의 투자 비율을 산출하고 2,500개의 상장지수펀드(ETF) 중 비용은 낮고 수익성과 유동성이 좋은 상장지수펀드(ETF)를 각 부문마다 한 개씩 골라준다. 밸류시스템투자자문의 아이로보는 미래에셋자산운용, 동부증권 등을 통하여 일임형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가입만 증권사에서 담당하고,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포트폴리오 선정 및 투자는 모두 자문사가 제공한다. 쿼터백자산운용에서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등을 통하여 자문형 공모펀드, 자문형 랩 상품 등 다양한 로보 어드바이저 기반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모펀드 상품은 가입 최소금액에 제한이 없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뱅크샐러드"/>
  
자본시장연구원에서 2019년 7월 16일 발표한 〈[http://www.ksri.org/common/downloadw.php?fid=23052&fgu=002001&fty=004003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현황과 시사점]〉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19년 6월 말 9개의 은행, 19개의 증권사, 2개의 자산운용사, 5개의 투자자문사가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해 투자자문 또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7개 이상의 기술회사가 로보어드바이저를 은행 또는 증권사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제공하는 은행과 증권사 중에는 로보어드바이저를 직접 개발한 곳도 있지만,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또는 기술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로보어드바이저를 제공한 곳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자본시장연구원">이성복 연구위원, 〈[http://www.ksri.org/common/downloadw.php?fid=23052&fgu=002001&fty=004003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2019-07-16</ref>
+
자본시장연구원에서 2019년 7월 16일 발표한 〈[http://www.ksri.org/common/downloadw.php?fid=23052&fgu=002001&fty=004003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현황과 시사점]〉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19년 6월말 9개의 은행, 19개의 증권사, 2개의 자산운용사, 5개의 투자자문사가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해 투자자문 또는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7개 이상의 기술회사가 로보어드바이저를 은행 또는 증권사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제공하는 은행과 증권사 중에는 로보어드바이저를 직접 개발한 곳도 있지만,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또는 기술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로보어드바이저를 제공한 곳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자본시장연구원">이성복 연구위원, 〈[http://www.ksri.org/common/downloadw.php?fid=23052&fgu=002001&fty=004003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도입 현황과 시사점]〉, 《자본시장연구원》, 2019-07-16</ref>
  
 
==전망==
 
==전망==
금융위원회는 2019년 5월 15일 로보어드바이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발표하였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금융위원회 2"/> 이는 당초 기대와는 달리 자산관리시장이 로보어드바이저에 의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고 풀이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자본시장연구원"/> 그러나 2019년 제도개선을 통한 규제 환경이 개선되며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하는 이유는 사람의 머리로 얻을 수 없는 백전백승의 완벽한 미래 예측을 위해서가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낮은 수수료 때문이다. 금융상품의 채널이 판매 수수료(Commission) 중심에서 자문(Fee)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독립투자자문업자(IFA: Independent Financial Advisor)의 로보어드바이저 활용 비중이 많이 늘어날 것이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코스콤 뉴스룸">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https://newsroom.koscom.co.kr/15550 “미래 자산관리는 로보어드바이저가 할 것”]〉, 《코스콤 뉴스룸》, 2019-05-17</ref>  
+
금융위원회는 2019년 5월 15일 로보어드바이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발표하였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금융위원회 2"/> 이는 당초 기대와는 달리 자산관리시장이 로보어드바이저에 의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고 풀이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자본시장연구원"/> 그러나 2019년 제도개선을 통한 규제 환경이 개선되며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하는 이유는 사람의 머리로 얻을 수 없는 백전백승의 완벽한 미래 예측을 위해서가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함과 낮은 수수료 때문이다. 금융상품의 채널이 판매 수수료(Commission) 중심에서 자문(Fee)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독립투자자문업자(IFA: Independent Financial Advisor)의 로보어드바이저 활용 비중이 많이 늘어날 것이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코스콤 뉴스룸">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https://newsroom.koscom.co.kr/15550 “미래 자산관리는 로보어드바이저가 할 것”]〉, 《코스콤 뉴스룸》, 2019-05-17</ref>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15 글로벌 자산관리 비즈니스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향후 5년 안에 18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보어드바이저 시장 규모는 2014년 140억 달러에서 2019년엔 2,550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2020년까지 로보어드바이저의 관리 자산이 2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추산하기도 했다. 하나은행이 발표한 '2018 대한민국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2018년 1조 원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1년에는 10조 원, 2025년에는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BI코리아">김동기 기자, 〈[http://www.bi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0213 KEB하나銀, ‘2018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 발간]〉, 《BI코리아》, 2018-05-17</ref>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15 글로벌 자산관리 비즈니스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향후 5년 안에 18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보어드바이저 시장 규모는 2014년 140억 달러에서 2019년엔 2,550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2020년까지 로보어드바이저의 관리 자산이 2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추산하기도 했다. 하나은행이 발표한 '2018 대한민국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2018년 1조 원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1년에는 10조 원, 2025년에는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BI코리아">김동기 기자, 〈[http://www.bi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0213 KEB하나銀, ‘2018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 발간]〉, 《BI코리아》, 2018-05-17</ref>
  
새로운 투자 방식에 대한 기대로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금융 관계자는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비용과 접근성 완화를 통해 자산관리 서비스가 대중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되겠지만, 동시에 수수료 구조 논란과 함께 기존 시장을 잠식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하듯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부유층 고객의 로보어드바이저 이용률은 약 6%에 지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경력이 짧은 투자자문가들이 로보어드바이저에게 고객을 빼앗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가 사람을 대체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 선두 주자 중 하나인 베터먼트(Betterment)의 경우 사람이 일절 관계하지 않는 완전 자동화 로보어드바이저다. 게다가 대부분 로보어드바이저 업체는 미국 증시 호황 국면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금융 위기를 경험하지 않아 위기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심지어 로보어드바이저 수익 모델이 자산관리 서비스 비용으로 보수를 지급하는 미국에서 발생한 사업 모델인 만큼, 판매 수수료를 지급하는 국내 시장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나무위키"/>
+
새로운 투자 방식에 대한 기대로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되나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 금융 관계자는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 비용과 접근성 완화를 통해 자산관리 서비스가 대중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되겠지만, 동시에 수수료 구조 논란과 함께 기존 시장을 잠식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하듯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부유층 고객의 로보어드바이저 이용률은 약 6%에 지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경력이 짧은 투자자문가들이 로보어드바이저에게 고객을 빼앗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가 사람을 대체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 선두 주자 중 하나인 베터먼트(Betterment)의 경우 사람이 일절 관계하지 않는 완전 자동화 로보어드바이저다. 게다가 대부분 로보어드바이저 업체는 미국 증시 호황 국면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금융 위기를 경험하지 않아 위기에 대한 검증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심지어 로보어드바이저 수익 모델이 자산관리 서비스 비용으로 보수를 지급하는 미국에서 발생한 사업 모델인 만큼, 판매수수료를 지급하는 국내 시장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나무위키"/>
  
현재 많은 수의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낮은 수익률로 인해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은 기존 휴먼어드바이저에 비해 낮은 수수료였으나, 이 낮은 수수료로 인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준의 자산을 운용해야 하나 많은 수의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그러지 못하고 있다. 낮은 수익률에 따른 평판 하락을 만회하고자 박리다매식 자문을 하고 있으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높은 고정 인건비로 인하여 서비스를 종료할 수도 있다. 최근 출시된 주요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들의 수익률은 3.87% 정도로 크게 인상적이지 않았다. 처음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어 장기적으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미국 로보어드바이저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160억 달러의 관리자산이 필요하나, 현재 선도 업체 중 하나인 모닝스타(Morningstar)는 1/5 수준에 불과하고 베터먼트(Batterment)는 연간 3,0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나 수수료 수익은 800만 달러에 불과하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시장 특성상 규모의 경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자문사보다는 기존 금융회사에서 주도권을 쥐게 될 가능성이 높다. 고객 기반을 보유한 대형 금융회사의 진출이 확대될 경우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자문사는 상위 몇 개 업체만 남고 도태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
+
현재 많은 수의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낮은 수익률로 인해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은 기존 휴먼어드바이저에 비해 낮은 수수료였으나, 이 낮은 수수료로 인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준의 자산을 운용해야하나 많은 수의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은 그러지 못하고 있다. 낮은 수익률에 따른 평판 하락을 만회하고자 박리다매식 자문을 하고 있으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높은 고정 인건비로 인하여 서비스를 종료할 수도 있다. 최근 출시된 주요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들의 수익률은 3.87% 정ㄷ고로 크게 인상적이지 않았다. 처음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어 장기적으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미국 로보어드바이저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160억 달러의 관리자산이 필요하나, 현재 선도 업체 중 하나인 모닝스타(Morningstar)는 1/5 수준에 불과하고 베터먼트(Batterment)는 연간 3,0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나 수수료 수익은 800만 달러에 불과하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시장 특성상 규모의 경제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자문사보다는 기존 금융회사에서 주도권을 쥐게 될 가능성이 높다. 고객 기반을 보유한 대형 금융회사의 진출이 확대될 경우 로보어드바이저 전문자문사는 상위 몇 개 업체만 남고 도태될 수 있다.<ref name="로보어드바이저 IBK경제연구소"/> ­
  
 
{{각주}}
 
{{각주}}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