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알미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롯데알미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롯데알미늄㈜'''(Lotte Aluminium)]]
 
[[파일:롯데알미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롯데알미늄㈜'''(Lotte Aluminium)]]
  
'''롯데알미늄㈜'''(Lotte Aluminium)는 [[롯데그룹]] 산하의 종합 포장 [[소재]] 기업 및 [[전기차]] [[2차전지]]용 [[양극박]] 제조업체이다. 1966년에 설립되었으며 2020년 기준 연간 매출은 7,391억 5천만 원에 달해 한국 동종업계 2위를 차지했다.<ref> 〈[https://www.jobkorea.co.kr/company/1938708 롯데알미늄㈜ 기업정보]〉, 《잡코리아》</ref> 본사는 서울 금천구 벚꽃로 104, 11-18층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대표이사는 '''[[조현철]]'''이다.  
+
'''롯데알미늄㈜'''(Lotte Aluminium)는 [[롯데그룹]]종합 포장 소개 기업이다. 1966년에 설립되었으며 2020년 기준 연간 매출은 7,391억 5천만 원에 달해 한국 동종업계 2위를 차지했다.<ref> 〈[https://www.jobkorea.co.kr/company/1938708 롯데알미늄㈜ 기업정보]〉, 《잡코리아》</ref> 본사는 서울 금천구 벚꽃로 104, 11-18층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대표이사는 [[조현철]]이다.  
  
롯데알미늄㈜는 주로 [[알루미늄박]] 및 인쇄 포장재, 골판지상자, 캔(CAN), 페트병(PET), 자판기, 쇼케이스,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ref> 〈[https://www.lotteal.co.kr 롯데알미늄]〉, 《롯데알미늄》 </ref> 특히 최고 품질의 [[알루미늄박]]과 이를 소재로 한 각종 [[필름]] 및 종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 코팅하여 식품과 생활, 산업, 제약용 포장재를 공급하는 전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ref>정호근, 〈[https://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5409 무역의날 2천만불 한국알미늄]〉, 《철강금속신문》, 2010-11-30</ref>  
+
롯데알미늄㈜'는 주로 [[알루미늄박]] 및 인쇄 포장재, 골판지상자, 캔(CAN), 페트병(PET), 자판기, 쇼케이스,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ref> 〈[https://www.lotteal.co.kr 롯데알미늄]〉, 《롯데알미늄》 </ref> 특히 최고 품질의 [[알루미늄박]]과 이를 소재로 한 각종 필름 및 종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 코팅하여 식품과 생활, 산업, 제약용 포장재를 공급하는 전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ref>정호근, 〈[https://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5409 무역의날 2천만불 한국알미늄]〉, 《철강금속신문》, 2010-11-30</ref> 최근에는 [[전기차]] [[2차전지]]용 [[양극박]] 생산규모를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 개요 ==
 
== 개요 ==
 
1966년 일본 롯데가 동방아루미공업㈜를 세웠는데 이것이 현재 롯데알미늄㈜의 시작이었다. 1970년 [[롯데물산㈜]]로 사명 변경했다가 1974년 [[롯데상사]]로 분리, 1980년 [[롯데알미늄㈜]]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 [[알루미늄 박]]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2010년대에는 [[알루미늄박]] 대표기업으로 성장하였고 2020년대에 들어서서는 친환경 포장재를 개발하면서 글로벌 신소재 기업으로 비상하며 최근 [[양극박]] 생산규모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금속/화학 소재 가공 전문 기업으로 재 도약하고 있다.
 
1966년 일본 롯데가 동방아루미공업㈜를 세웠는데 이것이 현재 롯데알미늄㈜의 시작이었다. 1970년 [[롯데물산㈜]]로 사명 변경했다가 1974년 [[롯데상사]]로 분리, 1980년 [[롯데알미늄㈜]]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 [[알루미늄 박]]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2010년대에는 [[알루미늄박]] 대표기업으로 성장하였고 2020년대에 들어서서는 친환경 포장재를 개발하면서 글로벌 신소재 기업으로 비상하며 최근 [[양극박]] 생산규모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금속/화학 소재 가공 전문 기업으로 재 도약하고 있다.
  
한국 국내에 안산 1공장, 안산 2공장, 진천공장, 평택공장, 오산공장, 인천공장을 비롯한 여러 공장이 있다. 해외로는 롯데 패키징(Lotte Packaging)이라는 인도네시아 법인이 있으며<ref> 〈[https://www.lotteal.co.kr/indonesia 롯데 패키징]〉, 《롯데알미늄》 </ref> 2020년 4월에 헝가리에 1100억 원을 투자하여 [[2차전지]]용 [[양극 박]] 생산공장을 증설하였다. 2020년 9월에는 280억 원을 들여 안산 1공장 [[양극박]] 생산라인 증설을 마쳤고 11월 헝가리 공장까지 완공되면 롯데알미늄의 [[양극박]] 생산능력은 연간 2만 9000톤이 된다. 또한 [[조일알미늄]]과 [[2차전지]]용 [[양극박]]의 원재료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양극박]]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ref>최근도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949480 롯데알미늄 2차전지 양극박 공장 증설]〉, 《매일경제》, 2020-09-14</ref><ref>박한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61446551 롯데, 그린소재·배터리…고부가가치 소재 '집중 투자']〉, 《한경닷컴》, 2021-06-14</ref><ref>원호섭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8/826677 롯데알미늄·조일알미늄, 2차전지용 양극박 원재료 소재 공급 MOU]〉, 《매일경제》, 2021-08-26</ref> <ref>김진희 기자, 〈[https://www.hellot.net/mobile/article.html?no=58280 신동빈 롯데 회장,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에 적극 투자”]〉, 《헬로티》, 2021-05-27</ref> 현재 롯데알미늄은 배터리 3사 중 [[삼성SDI]]에게 [[양극박]]을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LG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s)과 [[SK이노베이션]](SK innovation)에도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ref>권가림 기자,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82616048033042 양극박·피치도 '황금알'… 식지 않는 배터리 소재투자]〉, 《머니S》, 2021-08-27</ref>
+
한국 국내에 안산 1공장, 안산 2공장, 진천공장, 평택공장, 오산공장, 인천공장을 비롯한 여러 공장이 있다. 해외로는 롯데 패키징(Lotte Packaging)이라는 인도네시아 법인이 있으며<ref> 〈[https://www.lotteal.co.kr/indonesia 롯데 패키징]〉, 《롯데알미늄》 </ref> 2020년 4월부터 헝가리에 1100억 원을 투자하여 [[2차전지]]용 [[양극 박]] 생산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
 
 +
2020년 9월 280억 원을 들여 안산 1공장 [[양극박]] 생산라인 증설을 마쳤고 11월 헝가리 공장까지 완공되면 롯데알미늄의 [[양극박]] 생산능력은 연간 2만 9000톤이 된다. 또한 [[조일알미늄]]과 [[2차전지]]용 [[양극박]]의 원재료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양극박]]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ref>최근도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9/949480 롯데알미늄 2차전지 양극박 공장 증설]〉, 《매일경제》, 2020-09-14</ref><ref>박한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61446551 롯데, 그린소재·배터리…고부가가치 소재 '집중 투자']〉, 《한경닷컴》, 2021-06-14</ref><ref>원호섭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8/826677 롯데알미늄·조일알미늄, 2차전지용 양극박 원재료 소재 공급 MOU]〉, 《매일경제》, 2021-08-26</ref>
 +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도 안산 1공장을 방문하면서 그룹 차원에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ref>김진희 기자, 〈[https://www.hellot.net/mobile/article.html?no=58280 신동빈 롯데 회장,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에 적극 투자”]〉, 《헬로티》, 2021-05-27</ref> 현재 롯데알미늄은 배터리 3사 중 [[삼성SDI]]에게 [[양극박]]을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엘지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s)과 [[에스케이이노베이션]](SK innovation)에도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
<ref>권가림 기자,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82616048033042 양극박·피치도 '황금알'… 식지 않는 배터리 소재투자]〉, 《머니S》, 2021-08-27</ref>
  
 
== 주요 연혁 ==
 
== 주요 연혁 ==
49번째 줄: 53번째 줄:
 
[[파일:롯데알미늄 신규사업.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롯데알미늄 신규사업]]
 
[[파일:롯데알미늄 신규사업.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롯데알미늄 신규사업]]
 
*'''알루미늄박'''  
 
*'''알루미늄박'''  
: [[알루미늄박]] 사업은 40년 이상 축적된 최고의 기술과 최첨단 설비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4.3㎛ [[알루미늄박]]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였다. 식/약품 포장, [[2차전지]], 가전/자동차 부품, 전기 전자, 전선, 건축자재 등에 소재 되는  다양한 [[알루미늄박]] 제품이 있다. [[2차전지]]의 양극집 전체에 사용되는 [[알루미늄박]]은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모아서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전자를 공급하며 주요 특성으로는 전기 전도성과 기계적 성질(강도, 연신율 등)및 가공 적합성이 훌륭하며 [[양극박]]과 포장용 파우치(Pouch)가 있다.
+
: [[알루미늄박]] 사업은 40년 이상 축적된 최고의 기술과 최첨단 설비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4.3㎛ [[알루미늄박]]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였다. 식/약품 포장, [[2차전지]], 가전/자동차 부품, 전기 전자, 전선, 건축자재 등에 소재 되는  다양한 [[알루미늄박]] 제품이 있다.
 
 
:* [[양극박]] :  표면개질화를 통하여 [[활물질]]과의 밀착성을 향상하였으며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통한 게이지 다운(gauge down)으로 향상화하여 [[활물질]]의 양을 증대할 수 있다. 재질은 A1235, A1050, A3003, A1100이며 게이지는 12~20㎛로 최적화한다.
 
:* 파우치(Pouch)용 : [[2차전지]]를 보호하는 포장재로써 형상을 유지시키며 외부 전자파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재질은 A8021, A8079이며 게이지는 20~50㎛로 최적화한다.
 
  
 +
:특히 [[2차전지]]의 양극 집 전체에 사용되는 [[알루미늄박]]은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모아서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전자를 공급한다.
 
*'''인쇄 포장'''  
 
*'''인쇄 포장'''  
 
: 인쇄 포장 사업은 방습 및 가공성이 뛰어나고 제품 보호성이 우수한 포장재를 생산하며 특히 종이, 필름, [[알루미늄박]] 등을 인쇄, 접합하여 식/약품, 담배, 화학약품 및 건자재, 다층 용기, 컵(CAP)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장재가 있다.
 
: 인쇄 포장 사업은 방습 및 가공성이 뛰어나고 제품 보호성이 우수한 포장재를 생산하며 특히 종이, 필름, [[알루미늄박]] 등을 인쇄, 접합하여 식/약품, 담배, 화학약품 및 건자재, 다층 용기, 컵(CAP)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장재가 있다.
66번째 줄: 68번째 줄:
  
 
*'''신규 사업'''
 
*'''신규 사업'''
:신규 사업으로는 산소, 수분, 증기, 복사열, 정전기, 미생물  차단 등 고 차단성 및 여러 기능 향상 목적으로 웰팩류(Wellpak), 의료 및 산업 소재, 기능성 필름 등 신소재 개발에 주역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웰팩(Wellpak)이라는 신소재를 개발하여 식품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웰 팩은 고 차단성 잉크가 적용되여 소비자 제품의 경제성, 효율성, 고기능성을 모두 만족하여 웰팩 적용업체 포장재 원가 절감 연간 3천만 원 예상된다.<ref> 〈[http://slv.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328 롯데알미늄 패키지 통합 브랜드 ‘웰팩’으로 웰빙 트렌드 부응]〉, 《식품저널뉴스》, 2010-05-11</ref>
+
:신규 사업으로는 산소, 수분, 증기, 복사열, 정전기, 미생물  차단 등 고 차단성 및 여러 기능 향상 목적으로 웰팩류(Wellpak), 의료 및 산업 소재, 기능성 필름 등 신소재 개발에 주역하고 있다.:특히 2010년 웰팩(Wellpak)이라는 신소재를 개발하여 식품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웰 팩은 고 차단성 잉크가 적용되여 소비자 제품의 경제성, 효율성, 고기능성을 모두 만족하여 웰팩 적용업체 포장재 원가 절감 연간 3천만 원 예상된다.<ref> 〈[http://slv.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328 롯데알미늄 패키지 통합 브랜드 ‘웰팩’으로 웰빙 트렌드 부응]〉, 《식품저널뉴스》, 2010-05-11</ref>
  
 
{{각주}}
 
{{각주}}
88번째 줄: 90번째 줄:
 
* [[2차전지]]
 
* [[2차전지]]
 
* [[양극박]]
 
* [[양극박]]
* [[활물질]]
 
 
* [[전기차]]
 
* [[전기차]]
 
* [[배터리]]
 
* [[배터리]]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