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프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파라메타 글자.png|썸네일|300픽셀|'''㈜파라메타'''(Parameta)]]
+
'''루프체인'''(Loopchain)<!--루프 체인, Loopchain, Loop chain-->은 [[㈜더루프]](theloop)가 독자 개발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엔진이다. 금융거래 지원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며, 추후 사물인터넷([[IoT]]) 환경 등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
 
 
'''루프체인'''(loopchain)<!--루프 체인, Loopchain, Loop chain-->은 '''[[㈜파라메타]]'''(구 ㈜아이콘루프)가 독자 개발한 블록체인 엔진이다. 금융거래 지원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며, 추후 사물인터넷([[IoT]]) 환경 등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엔진을 개발하고 있다.
 
  
 
==개요==
 
==개요==
 
루프체인은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이나 R3 코다(R3 Corda)보다 블록체인의 기본에 더욱 충실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컨센서스 서비스나 공증인(Notary)처럼 중앙에서 [[트랜잭션]] 순서를 정해주며, 체인은 이 내용을 검증해주는 구조와 달리, 기본 비트코인 블록체인처럼 이해관계자들의 트랜잭션 순서를 합의 보증 하는 방식으로 순서를 정해주고 있다.
 
루프체인은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이나 R3 코다(R3 Corda)보다 블록체인의 기본에 더욱 충실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컨센서스 서비스나 공증인(Notary)처럼 중앙에서 [[트랜잭션]] 순서를 정해주며, 체인은 이 내용을 검증해주는 구조와 달리, 기본 비트코인 블록체인처럼 이해관계자들의 트랜잭션 순서를 합의 보증 하는 방식으로 순서를 정해주고 있다.
  
[[㈜아이콘루프]]는 금융권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새로운 요구사항에 맞게 시스템을 변화하기 위해 루프체인을 유연한 구조로 만들고자 했다. 루프체인 모듈에서 [[어드민 레이어]]는 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노드]]의 장애 상황을 감독하고, [[스마트 계약]]의 버전을 관리하고, 각 노드의 권한을 감독한다. [[엔진 레이어]]는 블록체인 노드의 주 역할인 분산 합의, 원장 저장, 스마트 계약 실행을 담당하며, 특히 분산 합의를 위한 엔진 모듈인 블록체인과 실제 블록체인에 올라가는 서비스와 실행환경인 [[스코어]](Smart Contract on Reliable Environment; SCORE)가 분리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레이어는 다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ref name="블로터">더루프, 〈[http://www.bloter.net/archives/275305 (블록체인 톺아보기) 더루프, 루프체인]〉, 《블로터》, 2017-03-28</ref>
+
[[㈜더루프]]는 금융권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 새로운 요구사항에 맞게 시스템을 변화하기 위해 루프체인을 유연한 구조로 만들고자 했다. 루프체인 모듈에서 [[어드민 레이어]]는 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노드]]의 장애 상황을 감독하고, [[스마트 계약]]의 버전을 관리하고, 각 노드의 권한을 감독한다. [[엔진 레이어]]는 블록체인 노드의 주 역할인 분산 합의, 원장 저장, 스마트 계약 실행을 담당하며, 특히 분산 합의를 위한 엔진 모듈인 블록체인과 실제 블록체인에 올라가는 서비스와 실행환경인 [[스코어]](Smart Contract on Reliable Environment; SCORE)가 분리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레이어는 다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ref name="블로터">더루프, 〈[http://www.bloter.net/archives/275305 (블록체인 톺아보기) 더루프, 루프체인]〉, 《블로터》, 2017-03-28</ref>
  
 
==특징==
 
==특징==
15번째 줄: 13번째 줄:
 
루프체인에서는 높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방식과는 다른, 리더 중심의 분산 합의 방식과 리더 장애 극복 알고리즘을 통해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동작하는 부분(SCORE)과 합의 엔진을 완전히 분리했고, 합의 엔진 내에서도 모듈 및 가용성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세스를 여러 개 분리하는 방식으로 고성능 블록체인이 구현되었다.
 
루프체인에서는 높은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방식과는 다른, 리더 중심의 분산 합의 방식과 리더 장애 극복 알고리즘을 통해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동작하는 부분(SCORE)과 합의 엔진을 완전히 분리했고, 합의 엔진 내에서도 모듈 및 가용성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세스를 여러 개 분리하는 방식으로 고성능 블록체인이 구현되었다.
  
그 밖의 중요한 특징으로는 '[[포털]]'이라는 자체 개발한 프로토콜을 이용해 리더 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외부 데이터(외부 블록체인) 접근 및 분산 합의 방법, 스코어의 버전 방식과 마이그레이션 없이 동작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업데이트 및 하위 호환성 지원, 스코어 스토어를 통한 스마트 계약 배포 및 버전 관리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 내에서 인증서를 발급하는 독자 기술을 개발해 이번에 금융투자업권 컨소시움의 첫 번째 시범 모델로 사용할 예정이다.<ref name="블로터"></ref>
+
그 밖의 중요한 특징으로는 '[[포털]]'이라는 자체 개발한 프로토콜을 이용해 리더 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외부 데이터(외부 블록체인) 접근 및 분산 합의 방법, 스코어의 버전 방식과 마이그레이션 없이 동작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업데이트 및 하위 호환성 지원, 스코어 스토어를 통한 스마트 계약 배포 및 버전 관리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더루프는 블록체인 내에서 인증서를 발급하는 독자 기술을 개발해 이번에 금융투자업권 컨소시움의 첫 번째 시범 모델로 사용할 예정이다.<ref name="블로터"></ref>
  
 
===스코어===
 
===스코어===
56번째 줄: 54번째 줄:
  
 
===계층형 시스템===
 
===계층형 시스템===
 +
[[파일:루프체인 계층형 시스템 구조.png|썸네일|300픽셀|계층형 시스템 구조]]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를 위한 인증과 함께 거래 별로 PKI 기반 인증을 통해 거래내역 검증 및 보안이 이루어진다. 또한, 거래에 참여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거래 내역에 대한 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특정 노드에 부여하는 기능도 지원한다.<ref name="아이콘 백서"></ref>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를 위한 인증과 함께 거래 별로 PKI 기반 인증을 통해 거래내역 검증 및 보안이 이루어진다. 또한, 거래에 참여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거래 내역에 대한 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특정 노드에 부여하는 기능도 지원한다.<ref name="아이콘 백서"></ref>
  
[[파일:계층형 시스템 구조.png|썸네일|500픽셀|계층형 시스템 구조]]
+
* '''1계층 : 관리감독 단위(Supervision Unit)'''
* '''1계층''' : 관리감독 단위(Supervision Unit)로서, 관리와 감독을 총괄하고 전체 노드들의 활동을 관리 및 지원한다. 다음은 1계층의 예이다.
+
: 1계층은 관리와 감독을 총괄하는 단위로써, 전체 노드들의 활동을 관리 및 지원한다.
 +
:;(예시)
 
# 감독당국 각종 증권거래 관리/감독
 
# 감독당국 각종 증권거래 관리/감독
 
# 세금계산 및 소득공제 등의 1계층 서비스 제공
 
# 세금계산 및 소득공제 등의 1계층 서비스 제공
  
* '''2계층''' : 조율 단위(Adjustment Unit)로서, 1계층과 3계층을 연결 및 조율하며 협회/조합 등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2계층의 예이다.
+
* '''2계층 : 조율 단위(Adjustment Unit)'''
 +
: 2계층은 1계층과 3계층을 연결 및 조율하는 단위로서, 협회/조합 등으로 구성된다.
 +
:;(예시)
 
# 금융투자협회 등
 
# 금융투자협회 등
 
# 1계층의 관리감독 및 의사결정 지원
 
# 1계층의 관리감독 및 의사결정 지원
 
# 3계층 구성원들의 활동 지원 및 유관 서비스 창출
 
# 3계층 구성원들의 활동 지원 및 유관 서비스 창출
  
* '''3계층''' : 사업 단위(Business Unit)로서, 실질적인 사업기능을 보유한 노드로 구성된다. 다음은 3계층의 예이다.
+
* '''3계층 : 사업 단위(Business Unit)'''
 +
: 3계층은 실질적인 사업기능을 보유한 노드로 구성된다.
 +
:;(예시)
 
# 은행/증권사 등의 각 개별 금융사
 
# 은행/증권사 등의 각 개별 금융사
 
# 노드 간 블록 공유를 통한 인프라 비용 및 보안 리스크 감소 추구
 
# 노드 간 블록 공유를 통한 인프라 비용 및 보안 리스크 감소 추구
146번째 줄: 150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아이콘루프]]
 
 
* [[㈜더루프]]
 
* [[㈜더루프]]
 
* [[루프 장애 허용]]
 
* [[루프 장애 허용]]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