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오브레전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5번째 줄: 55번째 줄:
 
리그 오브 레전드는 2009년에 출시되었지만 2010년대에 와서야 제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게임의 최초 대규모 토너먼트는 IEM 이벤트 때 열렸는데, 2011년 DreamHack Winter에서 Season One 결승을 주최하며 자체적으로 프로 리그를 시작했으며 이듬해에는 직접 대회를 주관했다. 그때부터 자체적으로 대회를 주관하기 시작해 매해 시즌 동안 다양한 지역에서 두 개의 '분파'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하고, 연말에 월드 챔피언십이 열리게 되었다. 롤을 출시한 라이엇게임즈는 최근 자신들의 게임에 프랜차이즈를 도입해 유럽과 북미에 있는 리그에 장기 파트너들이 합류하도록 했다.<ref>김재석 기자, 〈[https://m.thisisgame.com/webzine/nboard/11/?n=98555 (기획) 어느덧 10주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역사를 돌아보다]〉, 《디스이즈게임》, 2019-10-15</ref>
 
리그 오브 레전드는 2009년에 출시되었지만 2010년대에 와서야 제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게임의 최초 대규모 토너먼트는 IEM 이벤트 때 열렸는데, 2011년 DreamHack Winter에서 Season One 결승을 주최하며 자체적으로 프로 리그를 시작했으며 이듬해에는 직접 대회를 주관했다. 그때부터 자체적으로 대회를 주관하기 시작해 매해 시즌 동안 다양한 지역에서 두 개의 '분파'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하고, 연말에 월드 챔피언십이 열리게 되었다. 롤을 출시한 라이엇게임즈는 최근 자신들의 게임에 프랜차이즈를 도입해 유럽과 북미에 있는 리그에 장기 파트너들이 합류하도록 했다.<ref>김재석 기자, 〈[https://m.thisisgame.com/webzine/nboard/11/?n=98555 (기획) 어느덧 10주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역사를 돌아보다]〉, 《디스이즈게임》, 2019-10-15</ref>
  
===리그===
+
;리그
각 국가나 특정 지역마다 [[리그]]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지역은 [[라이엇게임즈]]가 직접 운영하며 메이저와 마이너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기준은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직행 시드권 유무에 따라 나눈다.  
+
각 국가나 특정 지역마다 리그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지역은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운영하며 메이저와 마이너로 나눌수있는데 이 기준은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직행 시드권 유무에 따라 나눈다.  
  
 
;메이저 지역 리그
 
;메이저 지역 리그
국제적으로 가장 성적이 좋은 4개의 리그이다. 한국의 LCK, 북미의 LCS, 유럽의 LEC, 중국의 LPL이 있고 '4대 리그'라고도 불린다. 월드 챔피언십에서 리그당 3장의 시드권이 주어지며, 이 중 2년 내의 국제경기 무대에서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두 지역은 추가로 한장씩 시드를 더 얻게 된다. 4대 리그 중 월드 챔피언십 우승 회수가 가장 많은 리그는 한국의 LCK이다.
+
국제적으로 가장 성적이 좋은 4개의 리그. 한국의 LCK, 북미의 LCS, 유럽의 LEC, 중국의 LPL이 있고 4대 리그라고도 불린다. 월드 챔피언십에서 리그당 3장의 시드권이 주어지며, 이 중 2년 내의 국제경기 무대에서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두 지역은 추가로 한장씩 시드를 더 얻게 된다. 4대 리그 중 월드 챔피언십 우승 회수가 가장 많은 리그는 LCK이다.
  
 
;마이너 지역 리그
 
;마이너 지역 리그
일반적으로 [[롤드컵]]에서 한 개의 대표팀만 참가 가능한, 4대 리그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이다. 기본적으로 한 장의 플레이인 시드를 가지며 이들 지역 중 가장 높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두 지역은 그룹 스테이지 시드를 추가로 부여한다.
+
일반적으로 롤드컵에서 한 개의 대표팀만 참가 가능한, 4대리그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 기본적으로 한 장의 플레이인 시드를 가지며 이들 지역중 가장 높은 퍼포먼스를 보여준 두 지역은 그룹 스테이지 시드를 추가로 부여한다.
  
 
;리그오브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리그오브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