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 MX-5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7번째 줄: 37번째 줄:
 
[[파일:마쓰다 MX-5.png|썸네일|300픽셀|'''마쓰다 MX-5 RF'''(Mazda MX-5 RF)]]
 
[[파일:마쓰다 MX-5.png|썸네일|300픽셀|'''마쓰다 MX-5 RF'''(Mazda MX-5 RF)]]
  
마쓰다 MX-5 RF(Mazda MX-5 RF)는 마쓰다 MX-5 제품군의 일원으로, 이전 세대 모델보다 한층 인마일체에 가까워진 스포츠 주행 경험을 제공하는 마쓰다 MX-5의 4세대 모델을 바탕으로 한다. 리트랙터블 하드톱을 장비한 MX-5 RF는 MX-5가 자랑하는 운전의 즐거움과 리트랙터블 하드톱의 편의성, 그리고 독특한 스타일로 마무리한 매력적인 2인승 로드스터 모델로 태어났다. 마쓰다 MX-5 RF의 전자동 하드톱은 [[타르]]가 탑과 유사한 개념으로 제작되어 있다. 새롭게 개발된 [[루프]] 개폐 시스템 덕분에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는 톱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 하나면 개폐가 완료된다.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톱의 개폐 시간은 단 13초에 불과하다. 마쓰다의 발표에 따르면 이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루프 개폐 기록이라고 한다. 아울러 [[흡음재]]와 [[차음재]]를 고루 적용하여 일반 [[승용차]] 수준의 정숙성을 확보했다고 주장한다. 톱을 오픈하면 톱이 고스란히 트렁크로 수납되며, 타르가탑 로드스터와 같은 형태로 변신한다. 톱을 오픈한 상태에서의 트렁크 공간의 127L로, 기내용의 수트케이스 2개를 실을 수 있다. 뒷[[유리]]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미드십 스포츠카를 연상시키는 [[C필러]] 주변의 디자인이 특징적이다. MX-5 RF의 루프 디자인과 시스템은 같은 골격을 사용하는 [[피아트]](Fabbrica Italiana Automobili Torini, FIAT)의 124 로드스터 역시 그대로 탑재됐다. 일본에서 판매될 MX-5 RF는 1.5L 엔진을 사용하는 내수용 MX-5와 달리, 수출용 모델에 주로 탑재되었던 2.0L급 엔진을 심장으로 사용한다. MX-5 RF의 엔진은 스카이액티브-G 2.0 엔진으로 , 158마력/6,000rpm의 최고출력과 20.4kg/4,600rp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 혹은 6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일본 JC08 모드 기준 공인 연비는 수동과 자동 모두 15.6km/l로 동일하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륜 15인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후륜 15인치의 솔리드 디스크를 적용하며, 선택 사양으로 [[브렘보]](Brembo)의 시스템을 준비해 두고 있다. 아울러 서스펜션은 소프트톱 모델로 다른 전륜 더블 위시본, 후륜 멀티링크로 구성하고, 전용의 서스펜션 설정을 적용하여 부드러운 주행 질감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ref> 모토야,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5459699&memberNo=22197681&searchRank=27 마쯔다, MX-5의 하드톱 모델 MX-5 RF 공개]〉, 《네이버 포스트》, 2016-11-11 </ref>
+
마쓰다 MX-5 RF(Mazda MX-5 RF)는 마쓰다 MX-5 제품군의 일원으로, 이전 세대 모델보다 한층 인마일체에 가까워진 스포츠 주행 경험을 제공하는 마쓰다 MX-5의 4세대 모델을 바탕으로 한다. 리트랙터블 하드톱을 장비한 MX-5 RF는 MX-5가 자랑하는 운전의 즐거움과 리트랙터블 하드톱의 편의성, 그리고 독특한 스타일로 마무리한 매력적인 2인승 로드스터 모델로 태어났다. 마쓰다 MX_5 RF의 전자동 하드톱은 [[타르]]가 탑과 유사한 개념으로 제작되어 있다. 새롭게 개발된 [[루프]] 개폐 시스템 덕분에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는 톱의 잠금장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 하나면 개폐가 완료된다.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톱의 개폐 시간은 단 13초에 불과하다. 마쓰다의 발표에 따르면 이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루프 개폐 기록이라고 한다. 아울러 [[흡음재]]와 [[차음재]]를 고루 적용하여 일반 [[승용차]] 수준의 정숙성을 확보했다고 주장한다. 톱을 오픈하면 톱이 고스란히 트렁크로 수납되며, 타르가탑 로드스터와 같은 형태로 변신한다. 톱을 오픈한 상태에서의 트렁크 공간의 127L로, 기내용의 수트케이스 2개를 실을 수 있다. 뒷[[유리]]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며, 미드십 스포츠카를 연상시키는 [[C필러]] 주변의 디자인이 특징적이다. MX-5 RF의 루프 디자인과 시스템은 같은 골격을 사용하는 [[피아트]](Fabbrica Italiana Automobili Torini, FIAT)의 124 로드스터 역시 그대로 탑재됐다. 일본에서 판매될 MX-5 RF는 1.5L 엔진을 사용하는 내수용 MX-5와 달리, 수출용 모델에 주로 탑재되었던 2.0L급 엔진을 심장으로 사용한다. MX-5 RF의 엔진은 스카이액티브-G 2.0 엔진으로 , 158마력/6,000rpm의 최고출력과 20.4kg/4,600rp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변속기]]는 5단 수동변속기, 혹은 6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한다. 일본 JC08 모드 기준 공인 연비는 수동과 자동 모두 15.6km/l로 동일하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륜 15인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후륜 15인치의 솔리드 디스크를 적용하며, 선택 사양으로 [[브렘보]](Brembo)의 시스템을 준비해 두고 있다. 아울러 서스펜션은 소프트톱 모델로 다른 전륜 더블 위시본, 후륜 멀티링크로 구성하고, 전용의 서스펜션 설정을 적용하여 부드러운 주행 질감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ref> 모토야,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5459699&memberNo=22197681&searchRank=27 마쯔다, MX-5의 하드톱 모델 MX-5 RF 공개]〉, 《네이버 포스트》, 2016-11-11 </ref>
  
 
==장단점==
 
==장단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