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7번째 줄: 217번째 줄:
 
2020년 3월 13일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E 300 등 23개 차종 2만1천760대는 앞좌석 안전띠 버클의 결함으로 사고 발생 시 좌석 안전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탑승자를 다치게 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GLC 350 e 4MATIC 등 5개 차종 2천567대는 운전석 햇빛 가리개에 부착된 에어백 경고 문구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리콜에 들어간다. 이는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ref>장하나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312173800003?input=1195m 벤츠 E300 등 안전띠 결함으로 부상 가능성…28종 2만4천대 리콜]〉, 《연합뉴스》, 2020-03-13</ref>
 
2020년 3월 13일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E 300 등 23개 차종 2만1천760대는 앞좌석 안전띠 버클의 결함으로 사고 발생 시 좌석 안전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탑승자를 다치게 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GLC 350 e 4MATIC 등 5개 차종 2천567대는 운전석 햇빛 가리개에 부착된 에어백 경고 문구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리콜에 들어간다. 이는 시정률 등을 감안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이다.<ref>장하나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312173800003?input=1195m 벤츠 E300 등 안전띠 결함으로 부상 가능성…28종 2만4천대 리콜]〉, 《연합뉴스》, 2020-03-13</ref>
  
2020년 9월 1일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E 220d 등 10개 차종 4만3,757대는 전기 버스바(Bus Bar·전류 통로 역할을 하는 막대형 전도체)에 빗물 등이 유입될 경우 전원 공급라인과 접지선에 부식이 생기거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어 리콜에 들어간다. 또 메르세데스-벤츠의 C 200 등 4개 차종 40대는 터보차저(Turbo Charger) 오일 호스 장착 불량으로 오일이 샐 가능성이 확인됐다.<ref>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P63NZPB 벤츠 E220d, 빗물 들어오면 합선 우려…8개사 8만여 대 리콜]〉, 《서울경제》, 2020-09-02</ref>
+
2020년 9월 1일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E 220d 등 10개 차종 4만3,757대는 전기 버스바(Bus Bar·전류 통로 역할을 하는 막대형 전도체)에 빗물 등이 유입될 경우 전원 공급라인과 접지선에 부식이 생기거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어 리콜에 들어간다. 또 메르세데스-벤츠의 C 200 등 4개 차종 40대는 터보차저(Turbo Charger) 오일 호스 장착 불량으로 오일이 샐 가능성이 확인됐다.<ref>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Z7P63NZPB 벤츠 E220d, 빗물 들어오면 합선 우려…8개사 8만여 대 리콜]〉, 《서울경제》, 2020-09-02
  
 
==혁신==
 
==혁신==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