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이 회사는 승용차, 밴 및 서비스의 개발, 생산 및 판매에 중점을 두었으며 미래 지향적인 혁신을 통해 [[연결성]], [[자율주행]] 및 대체 드라이브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자 한다. 제품 [[포트폴리오]]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와 메르세데스-AMG,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메르세데스 미(Mercedes me), 스마트 브랜드, 전기 모빌리티를 위한 EQ 제품 및 기술 브랜드로 구성된다. 벤츠 회사는 2개 사업부에서 4개 대륙 및 40여 개 생산현장과 함께 전 세계 생산망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전기 모빌리티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휴하고 있다. 동시에 3개 대륙에서 글로벌 배터리 생산망을 개발하며 지속 가능한 조치가 두 사업부 모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회사에게 지속가능성은 고객, 직원, 투자자, 비즈니스 파트너, 사회 전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근거는 기업 활동의 경제적·생태적·사회적 효과를 책임지고 가치 체인 전체를 바라보는 다임러의 지속 가능한 사업전략이다.<ref>인터비즈,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1698754851 'CEO 열전' 젊은 벤츠를 만든 주인공]〉, 《네이버블로그》, 2019-11-05</ref>
 
이 회사는 승용차, 밴 및 서비스의 개발, 생산 및 판매에 중점을 두었으며 미래 지향적인 혁신을 통해 [[연결성]], [[자율주행]] 및 대체 드라이브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자 한다. 제품 [[포트폴리오]]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와 메르세데스-AMG,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메르세데스 미(Mercedes me), 스마트 브랜드, 전기 모빌리티를 위한 EQ 제품 및 기술 브랜드로 구성된다. 벤츠 회사는 2개 사업부에서 4개 대륙 및 40여 개 생산현장과 함께 전 세계 생산망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전기 모빌리티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휴하고 있다. 동시에 3개 대륙에서 글로벌 배터리 생산망을 개발하며 지속 가능한 조치가 두 사업부 모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회사에게 지속가능성은 고객, 직원, 투자자, 비즈니스 파트너, 사회 전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근거는 기업 활동의 경제적·생태적·사회적 효과를 책임지고 가치 체인 전체를 바라보는 다임러의 지속 가능한 사업전략이다.<ref>인터비즈,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1698754851 'CEO 열전' 젊은 벤츠를 만든 주인공]〉, 《네이버블로그》, 2019-11-05</ref>
 +
 +
==자회사 및 제휴==
 +
다임러 AG의 일부인 메르세데스-벤츠 카(Mercedes-Benz Cars) 사업부는 메르세데스-벤츠와 스마트 카 생산이 포함된다.
 +
===메르세데스-AMG===
 +
[[메르세데스-AMG]](Mercedes-AMG)는 1999년 메르세데스-벤츠의 다수 지분을 소유한 사업부가 되었다. 이 회사는 1999년 [[다임러크라이슬러]](DaimlerChrysler)와 통합되어 1999년 1월 1일부터 메르세데스-벤츠 AMG가 되었다.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
[[메르세데스-마이바흐]](Mercedes-Maybach)는 다임러 AG의 최고급 마이바흐 브랜드이며 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 부문에 소속되어 2012년 12월까지 판매량 부진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현재 메르세데스-마이바흐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며, 모델은 2016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2016 Mercedes-Maybach S600)과 같은 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의 최고급 버전이다. 또한 2019년 11월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LS 600 SUV(Mercedes-Maybach GLS 600 SUV)가 처음 선 보였다.
 +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
대한민국에서의 메르세데스-벤츠는 [[한성자동차]]와 51대 49의 지분율로 합작 설립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를 통하여 유통하고 있으며, 공식 판매사를 선정하여 판매한다. 그리고, 쌍용자동차에 자동변속기를 공급한다. 1985년, 말레이시아 Hap Seng Group 계열인 레이싱홍그룹(利星行)은 한성자동차를 설립하여 한국에 진출하였다. 벤츠 코리아의 지분 49%를 보유하면서 최대 딜러로 자리매김했다. 벤츠 수입업과 판매를 겸하면서 서울 수도권 핵심지역의 유통망을 장악한 후, 벤츠 본사의 현지 판매법인 설립 당시 지분 투자를 함으로써 딜러로서의 기득권을 확보했다. 가격을 미리 높게 정하고 딜러 할인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등의 가격 통제 정책으로 인해 국민소득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판매되는 벤츠는 세계적으로 비싼 편이라는 비판이 있다. 전 딜러인 유진앤컴퍼니의 김유진 전 사장은 "이 모든 문제의 원인은 벤츠 코리아의 지분 49%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최대 딜러인 한성차를 소유한 말레이시아 화교 재벌인 레이싱홍 그룹"이라고 주장했다. 레이싱홍 그룹은 중국에서도 비슷한 논란에 휘말려 벤츠 독일 본사로부터 제재를 받은 바 있다. 2014년 9월 19일에는 키자니아 서울 내에 '오토모빌 센터' 체험관을 오픈하였다. 2019년 9월에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다음으로 국내 승용차 판매 3위로 등극하였다.<ref name="위키백과"></ref>
 +
===중국 협력===
 +
다임러는 [[비야디오토]](BYD Auto)와 협력하여 중국에서 [[덴자]](Denza)라는 배터리 전기차를 만들어 판매한다. 2016년 다임러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의 전기 배터리 자동차를 중국에서 판매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베이징 벤츠]](Beijing Benz, 北京奔驰)는 [[베이키신넝위안]](BAIC Group, 北汽集团)과 합작해 중국에서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 자동차를 생산한다.<ref name="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Mercedes-Benz Mercedes-Benz]", ''Wikipedia''</ref>
 +
 +
==주요 인물==
 +
[[파일:카를 벤츠.jpg|썸네일|200픽셀|'''[[카를 벤츠]]'''(Karl Benz)]]
 +
[[파일:고틀립 다임러.jpg|썸네일|200픽셀|'''[[고틀리프:메르세데스-벤츠 로고.png|썸네일|200픽셀|'''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
[[파일:메르세데스-벤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
[[파일:다임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다임러]]'''(Daimler AG)]]
 +
[[파일:메르세데스-마이바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르세데스-마이바흐]]'''(Mercedes-Maybach)]]
 +
[[파일:메르세데스-AMG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르세데스-AMG]]'''(Mercedes-AMG)]]
 +
 +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 벤츠, 메르세데스-벤츠 AG, 벤츠-->(Mercedes-Benz, 奔驰)<!--MercedesBenz, Mercedes Benz, Mercedes-Benz AG, Benz-->는 독일(Germany) 자동차 브랜드이며 독일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 회사인 '''[[다임러]]'''(Daimler AG)의 계열사이자 자동차 제조 기업이다. 중국어로는 뻔츠(奔驰, {{발음|奔驰}})라고 부른다. 이 회사는 고급 차량과 상용 차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승용차, 밴 및 서비스의 개발, 생산 및 판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독일]](Germany) [[바덴뷔르템베르크주]](Baden-Württemberg) [[슈투트가르트]](Stuttgart)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벤츠의 자회사로는 고성능 디비전인 [[메르세데스-AMG]](Mercedes-AMG)와 럭셔리 디비전인 [[메르세데스-마이바흐]](Mercedes-Maybach)가 있다. 회사 설립자는 독일의 기술자이자 기업인인 '''[[카를 벤츠]]'''(Karl Friedrich Benz, 카를 프리드리히 벤츠)와 독일의 기계 기술자 및 내연 기관의 발명가인 '''[[고틀리프 다임러]]'''(Gottlieb Daimler)이다.
 +
 +
회사는 1926년 6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2019년 말부터 다임러는 회사 브랜드였던 메르세데스-벤츠가 메르세데스-벤츠 AG라는 별도의 완전 소유 자회사로 분리하였다. 새 자회사가 메르세데스 벤츠의 자동차와 밴 사업을 관리하게 되었으며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표이사 및 회장은 다임러 AG(Daimler Truck AG) 이사회 의장 겸 메르세데스-벤츠 승용 부문 총괄을 맡았던 '''[[올라 칼레니우스]]'''(Ola Källenius)가 맡고 있다. 1985년 대한민국에 진출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한국 대표는 2020년 코로나 사태로 당분간 공석이 될 전망이다. 현재 [[김지섭]]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부사장이 당분간 대표이사 사장 직무대행으로 선임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프리미엄 승용차 제조업체 중 하나이며 2018년 벤츠는 231여만 대의 승용차를 판매하며 세계 최대의 프리미엄 승용차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19년에는 240여만 대의 승용차와 43만 8천여 대의 밴을 팔았다.
 +
 +
==개요==
 +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는 [[세단]](Sedan)과 [[컨버터블]](Convertible), [[스포츠카]](Sports Car), [[쿠페]](Coupé),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을 제조·판매하는 독일의 자동차 브랜드이다. 회사는 1885년 독일의 기술자이자 기업인인 카를 벤츠(카를 프리드리히 벤츠)가 부인인 베르타 벤츠(Bertha Benz)의 자금 지원으로 세계 최초의 휘발유 엔진 자동차인 [[벤츠 파텐트 모토바겐]](Benz Patent-Motorwagen) 3륜차를 개발하여 1886년 1월 특허 출원부터 시작되었다. 1926년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맞은 경기침체로 카를 벤츠가 1883년 설립한 [[벤츠 앤 시에]](Benz & Cie, Benz & Company)와 고틀리프 다임러가 1890년 설립한 [[다임러-모토른-게샬프트]](DMG·Daimler-Motoren-Gesellschaft, Daimler Motors Corporation)가 합병하여 다임러-벤츠 AG(Daimler-Benz AG)가 설립되었다. 다임러-벤츠 AG는 이후 출시되는 모든 자동차에 상표로 메르세데스-벤츠를 붙였으며 메르세데스는 DMG에서 1902년 공개하고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모델 메르세데스에서 따왔으며, 이는 스페인어로 우아함을 뜻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브랜드로, ‘최고가 아니면 만들지 않는다(The best or nothing)’는 창업 정신 아래 럭셔리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77145&cid=43168&categoryId=43168#TABLE_OF_CONTENT2 메르세데스-벤츠_세계 브랜드 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B%A9%94%EB%A5%B4%EC%84%B8%EB%8D%B0%EC%8A%A4-%EB%B2%A4%EC%B8%A0 메르세데스-벤츠]〉, 《위키백과》</ref>
 +
 +
메르세데스-벤츠는 전 세계적으로 17만 3천여 명의 직원을 둔 [[메르세데스-벤츠 카]](Mercedes-Benz Cars) 및 [[메르세데스-벤츠 밴]](Mercedes-Benz Vans)의 글로벌 비즈니스를 책임지고 있다. 다임러그룹에 엔지니어로 입사하여 30년 만에 회장직에 올라 10년이 넘도록 회사를 이끌었던 [[디터 제체]](Dieter Zetsche) 다임러 회장은 2019년 5월에 퇴임하면서 신임 대표이사 및 회장은 다임러 AG 이사회 의장 겸 메르세데스-벤츠 승용 부문 총괄을 맡았던 올라 칼레니우스(Ola Källenius)가 이어받았다.
 +
 +
이 회사는 승용차, 밴 및 서비스의 개발, 생산 및 판매에 중점을 두었으며 미래 지향적인 혁신을 통해 연결성, 자율 주행 및 대체 드라이브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자 한다. 제품 포트폴리오는 메르세데스-벤츠 브랜드와 메르세데스-AMG,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메르세데스 미(Mercedes me), 스마트 브랜드, 전기 모빌리티를 위한 EQ 제품 및 기술 브랜드로 구성된다. 벤츠 회사는 2개 사업부에서 4개 대륙 및 40여 개 생산현장과 함께 전 세계 생산망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전기 모빌리티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휴하고 있다. 동시에 3개 대륙에서 글로벌 배터리 생산망을 개발하며 지속 가능한 조치가 두 사업부 모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회사에게 지속가능성은 고객, 직원, 투자자, 비즈니스 파트너, 사회 전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근거는 기업 활동의 경제적·생태적·사회적 효과를 책임지고 가치 체인 전체를 바라보는 다임러의 지속 가능한 사업전략이다.<ref>인터비즈, 〈[https://blog.naver.com/businessinsight/221698754851 'CEO 열전' 젊은 벤츠를 만든 주인공]〉, 《네이버블로그》, 2019-11-05</ref>
  
 
==자회사 및 제휴==
 
==자회사 및 제휴==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