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시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메모리시트.jpg|썸네일|300픽셀|'''메모리시트'''(memory seat)]]
 
[[파일:메모리시트.jpg|썸네일|300픽셀|'''메모리시트'''(memory seat)]]
 +
'''메모리시트'''(memory seat)는 한 차량의 운전자가 한 명이 아닌 여러 사람일 때 각 운전자마다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시트의 위치와 각도 등을 설정해 놓고, 운전을 할 때마다 스위치로 조작만 하면 각자 자신이 설정해 놓은 위치와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시트이다.<ref> 〈[https://www.driveind.com/624 승차감을 결정 짓는 자동차 시트의 종류와 특징]〉, 《내 차 사랑 블로그》, 2014-09-16 </ref>
  
'''메모리시트'''<!--메모리 시트-->(memory seat)는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시트 (자동차)|시트]]의 [[위치]]와 [[각도]] 등을 미리 설정해 놓고, 운전할 때마다 [[스위치]]로 조작만 하면 자신이 설정해 놓은 위치와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시트 (자동차)|시트]]이다.<ref>DB손해보험, 〈[https://www.driveind.com/624 승차감을 결정 짓는 자동차 시트의 종류와 특징]〉, 《티스토리》, 2014-09-16</ref> 정확한 명칭은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Integrated Memory System)이지만, 간략히 '메모리시트'라고 한다. 메모리시트는 차량의 운전자가 한 명이 아닌 여러 사람일 때 특히 유용하다.
 
{{:자동차 배너|부품}}
 
  
 
== 개요 ==
 
== 개요 ==
메모리시트는 미국 [[포드]](Ford) 자동차 회사가 개발했다. 1957년 포드 [[썬더버드]](Thunderbird)와 [[머큐리 턴 파이크 크루저]](Mercury Turnpike Crusier)에 처음으로 적용되었으며, 높낮이 등을 설정한 후 숫자 또는 문자로 된 [[다이얼]]을 눌러 기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메모리시트를 간단히 표현하자면 내가 설정한 시트 포지션을 기억하고 설정한 시트 포지션으로 되돌아가도록 도와주는 편의 기능이다. 따라서 누군가 내 차를 운전해 시트 포지션이 바뀌었다면, 이 기능을 사용해 손쉽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안전 및 건강 측면에서도 메모리시트 기능이 유용하다. 건강 측면에서 보면, 누군가 내 차를 운전해 시트 포지션이 변경되었을 경우 다시 원상 복귀해야 하는데 같은 상태로 되돌리기 쉽지 않다. 이때 올바르지 않은 시트 포지션으로 인해 불편한 자세로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 허리에 많은 부담이 가게 되어 요통 발생 및 목 근육 긴장으로 운전 집중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안전 측면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데 적절하지 못한 시트 포지션은 잘못된 팔과 다리 각도로 운전에 임하게 되어 불편한 운전 환경이 되며, 제대로 된 시야 확보를 하기 어려워져 교통사고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하지만 메모리시트를 이용하며 기존에 설정한 시트 포지션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입장에서 건강, 안전, 편리를 챙길 수 있다. 요즘 출시되는 차량은 시트 포지션 외에 [[사이드미러]] 위치가 함께 설정되며, [[스티어링휠]]은 전동식 조절 기능이 적용된 차량일 경우에 메모리시트 조작으로 함께 조절할 수 있다.<ref name="다키"> 다키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046554&memberNo=23315462 유용한 메모리시트, 잘 활용하고 계시나요?]〉, 《네이버 포스트》, 2018-03-21 </ref>
 
 
== 특징 ==
 
메모리시트는 운전석과 실내 [[룸미러]], [[사이드미러]],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함께 조절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30가지 방향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과거 고급 [[수입차]]에서나 볼 수 있었으며 최근에는 [[소형승용차]]에도 적용되는 추세이며 [[앞좌석]]을 넘어 [[뒷좌석]]에도 적용되었고 운전자가 가장 편안하게 앉는 자세를 기억하는 형태로 진화되었다. 초기는 앞, 뒤 2방향에서 4방향을 넘어 제네시스 [[EQ900]]의 경우는 뒷좌석의 높이와 넓이가 22가지 방법으로 조절되고 설정한 좌석을 기억할 수 있으며 대부분 [[승용차]] 운전석은 설정에 따라 좌석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메모리시트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ref> 정선경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322&page=18 (오토저널) 자동차 시트의 감성적 진화]〉, 《글로벌오토뉴스》, 2017-05-16 </ref> 최근에는 [[IT]] 기술을 이용해서 적용되기도 한다.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친환경 카셰어링 시범사업에 활용되는 [[아이오닉]] 차량에 4가지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반 신기술을 시범 적용했다. 이번에 적용된 사물인터넷 신기술은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의 협업을 통해 미래 기술 연구 역량 강화를 추구하는 현대자동차㈜의 '프로젝트 아이오닉(Project IONIQ)'의 방향성 아래 현대자동차㈜의 사내벤처가 개발한 기술로, 고객들이 더 자유롭고 편리하게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차량에 적용된 기술 중 하나는 운전자가 최초 이용 시 저장한 시트 포지션과 사이드미러 위치를 추후 차량 이용 시 자동으로 적용하는 스마트 메모리 시스템이다. 아이오닉 [[전기차]]에 적용된 사물인터넷 신기술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은 누구나 [[모바일앱]] 또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ref> 이훈 기자,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1703060073 현대차, IoT 기술 선봬… 시트 메모리 설정 등 다수 편의 기능 장착]〉, 《쿠키뉴스》, 2017-03-06 </ref>
 
 
== 작동 방법 ==
 
메모리시트는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국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일부 제조사를 기준으로 보면 셋(SET) 버튼을 누른 뒤 번호 버튼을 누르면 세팅 완료다. 이후 원하는 번호 버튼을 누르면 지정한 시트 포지션으로 다시 설정된다. 그 밖에 셋 버튼이 없는 경우 번호를 꾹 누르고 있으면 설정이 된다.<ref name="다키"></ref>
 
 
# 시동을 켜고 변속레버를 P에 위치한다.
 
# 운전석 시트 및 사이드미러를 나에게 맞게 조절한다.
 
# 셋 버튼을 눌러 준다. '삐' 소리가 나면서 "설정을 저장하려면 버튼을 누르시오" 라는 문구가 [[클러스터]]에 표시된다. 이로부터 5초 이내에 버튼 1이나 2를 누른다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었으면 '삐' '삐' 2번 소리가 울리거나 클러스터에 "운전자 1 or 2 설정 저장되었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표시된다.<ref> john3209,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ohn3209&logNo=220836952990 현대자동차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IMS 셋팅 방법]〉, 《네이버 블로그》, 2016-10-15 </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DB손해보험, 〈[https://www.driveind.com/624 승차감을 결정 짓는 자동차 시트의 종류와 특징]〉, 《티스토리》, 2014-09-16
+
* 〈[https://www.driveind.com/624 승차감을 결정 짓는 자동차 시트의 종류와 특징]〉, 《내 차 사랑 블로그》, 2014-09-16
* 다키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046554&memberNo=23315462 유용한 메모리시트, 잘 활용하고 계시나요?]〉, 《네이버 포스트》, 2018-03-21
 
* 정선경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322&page=18 (오토저널) 자동차 시트의 감성적 진화]〉, 《글로벌오토뉴스》, 2017-05-16
 
* 이훈 기자,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1703060073 현대차, IoT 기술 선봬… 시트 메모리 설정 등 다수 편의 기능 장착]〉, 《쿠키뉴스》, 2017-03-06
 
* john3209,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ohn3209&logNo=220836952990 현대자동차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IMS 셋팅 방법]〉, 《네이버 블로그》, 2016-10-15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메모리]]
+
* [[자동차 시트]]
* [[시트 (자동차)|시트]]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 [[의자]]
 
* [[전동시트]]
 
* [[파워시트]]
 
 
 
{{자동차 내장|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