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해주고, 컴퓨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모든 구성품을 장착하는 모체라 하여 마더보드라고 하기도 하고 컴퓨터의 기반을 이루는 주기판이라고도 한다.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등이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한다면, 메인보드는 이들 구성품 간의 호환성이나 차후 기능 확장의 범위를 정하며, 최종적인 목적으로는 컴퓨터 전반의 안정적인 동작 여부를 좌우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품질의 메인보드를 사용하면 나머지 구성품의 사양이 높아도 그 컴퓨터는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사용 중에 각종 오류나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 [[자동차]]로 비유하자면, 고출력 엔진과 실력 좋은 운전자가 있다 하더라도 차체가 부실하다면 제 성능을 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ref name="지식">〈[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77&cid=59088&categoryId=59096 메인보드]〉, 《네이버 지식백과》</ref>   
+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해주고, 컴퓨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메인보드는 컴퓨터의 모든 구성품을 장착하는 모체라 하여 마더보드라고 하기도 하고 컴퓨터의 기반을 이루는 주기판이라고도 한다.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등이 컴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라고 한다면, 메인보드는 이들 구성품 간의 호환성이나 차후 기능 확장의 범위를 정하며, 최종적인 목적으로는 컴퓨터 전반의 안정적인 동작 여부를 좌우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품질의 메인보드를 사용하면 나머지 구성품의 사양이 높아도 그 컴퓨터는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사용 중에 각종 오류나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 [[자동차]]로 비유하자면, 고출력 엔진과 실력 좋은 운전자가 있다 하더라도 차체가 부실하다면 제 성능을 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ref name="지식">〈[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77&cid=59088&categoryId=59096 메인보드]〉, 《지식백과》</ref>   
  
 
==  역사  ==
 
==  역사  ==
50번째 줄: 50번째 줄:
  
 
=== 칩셋 ===
 
=== 칩셋 ===
[[칩셋]](chipset)은 메인보드 전반의 기능을 제어하는 핵심 칩이다. 컴퓨터 부품들은 서로 인식하지도, 알아서 조절되지도 않는다. 당연히 이 역할을 맡을 부품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칩셋이다. 칩셋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때문에 발열도 심해서 방열판이나 냉각팬에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메인 보드에는 CPU, 메모리 등을 제어하는 노스브리지(Northbridge)와 [[입출력장치]] 제어에 주로 쓰이는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의 2가지 칩셋을 동시에 탑재한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두 가지 기능을 하나의 칩셋으로 합치거나 노스브리지의 기능을 CPU로 옮겨 사우스브리지만 남겨두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1개의 칩셋만 달려 나오는 메인보드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칩셋은 CPU 소켓과 마찬가지로 CPU 제조사마다 다른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CPU 소켓 규격이 같더라도 칩셋이 달라지면 호환되는 CPU의 종류 및 메인보드의 전반적인 기능과 성능에 차이가 나기도 한다.<ref name="지식"></ref>
+
[[칩셋]](chipset)은 메인보드 전반의 기능을 제어하는 핵심 칩이다. 컴퓨터 부품들은 서로 인식하지도, 알아서 조절되지도 않는다. 당연히 이 역할을 맡을 부품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칩셋이다. 칩셋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때문에 발열도 심해서 방열판이나 냉각팬에 덮여있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메인 보드에는 CPU, 메모리 등을 제어하는 노스브리지(Northbridge)와 입출력장치 제어에 주로 쓰이는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의 2가지 칩셋을 동시에 탑재한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두 가지 기능을 하나의 칩셋으로 합치거나노스브리지의 기능을 CPU로 옮겨 사우스브리지만 남겨두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1개의 칩셋만 달려 나오는 메인보드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칩셋은 CPU 소켓과 마찬가지로 CPU 제조사마다 다른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CPU 소켓 규격이 같더라도 칩셋이 달라지면 호환되는 CPU의 종류 및 메인보드의 전반적인 기능과 성리능에 차이가 나기도 한다.
  
 
=== 메모리 슬롯 ===
 
=== 메모리 슬롯 ===
[[메모리 슬롯]]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인 메모리 모듈을 꽂는 슬롯이다.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 소켓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컴퓨터 메인보드는 4개의 메모리 슬롯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보급형의 경우 2개나 1개만 가질 때가 있다. 일부 고성능 메인보드는 여섯 개에서 여덟 개의 메모리 슬롯을 가지기도 한다. 메모리 슬롯의 수가 많을수록 당연히 더 많은 메모리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다만, 메인보드가 최대로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의 합계 용량은 메인보드 칩셋이나 CPU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메인보드에는 이 같은 규격의 메모리 모듈을 두 개, 혹은 세 개에서 네 개씩 꽂으면 대역폭이 배로 향상되는 기술도 지원한다. 이를 형태에 따라 이중 채널(Dual-channel), 삼중 채널(Triple-Channel) 4중 채널(Quad-Channel) 등으로 나눈다.<ref name="지식"></ref>
+
[[메모리 슬롯]]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인 메모리 모듈을 꽂는 슬롯이다.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 소켓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컴퓨터 메인보드는 4개의 메모리 슬롯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보급형의 경우 2개나 1개만 가질 때가 있다. 일부 고성능 메인보드는 여섯개에서 여덟 개의 메모리 슬롯을 가지기도 한다. 메모리 슬롯의 수가 많을수록 당연히 더 많은 메모리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다만, 메인보드가 최대로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의 합계 용량은 메인보드 칩셋이나 CPU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메인보드에는 이 같은 규격의 메모리 모듈을 두 개, 혹은 세 개에서 네 개씩 꽂으면 대역폭이 배로 향상되는 기술도 지원한다. 이를 형태에 따라 이중 채널(Dual-channel), 삼중 채널(Triple-Channel) 4중 채널(Quad-Channel) 등으로 나눈다.
  
 
=== 확장카드 슬롯 ===
 
=== 확장카드 슬롯 ===
[[확장카드 슬롯]]이란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음향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카드, 네트워크망에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랜(LAN) 카드, 저장장치 및 특정 확장 단자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카드 등이 컴퓨터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확장카드이다. 메인보드 상에는 이런 확장카드를 설치하는 확장카드 슬롯이 여러 개 있다. 확장카드 슬롯은 쓰임새 및 데이터 전달 속도에 따라 몇 가지로 나뉜다. 슬롯과 확장카드의 규격이 서로 다르면 장착이 되지 않음으로 확장카드를 구매하기 전에 현재 가진 메인보드에 있는 슬롯이 무엇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사운드카드나 랜카드 등의 다양한 확장카드를 꽂는 범용 슬롯인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와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인 AGP(Accelerated Graphics Port)를 갖춘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04년에 범용 슬롯이나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범용 슬롯인 PCI-익스프레스(Express)가 개발되면서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은 사라졌고, 범용 슬롯 역시 수가 줄어들거나 삭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PCI 익스프레스 슬롯은 슬롯의 너비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몇 가지 규격이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그래픽카드를 꽂을 때 주로 쓰는 PCI 익스프레스 x16 슬롯이다.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그래픽카드나 사운드카드, 랜카드 등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어 확장카드의 쓰임새가 줄어든 것이 사실이지만, 내장형 장치들은 별도로 장착하는 확장카드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높은 수준의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내장형 장치가 있어도 별도의 확장카드를 장착하곤 한다.<ref name="지식"></ref><ref name = "위키"></ref><ref name ="나무"></ref>
+
[[확장카드 슬롯]]이란 모니터로 화면을 출력하는 그래픽카드, 음향을 스피커로 전달하는 사운드카드, 네트워크망에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랜(LAN)카드, 저장장치 및 특정 확장 단자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카드 등이 컴퓨터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확장카드이다. 메인보드 상에는 이런 확장카드를 설치하는 확장카드 슬롯이 여러 개 있다. 확장카드 슬롯은 쓰임새 및 데이터 전달 속도에 따라 몇 가지로 나뉜다. 슬롯과 확장카드의 규격이 서로 다르면 장착이 되지 않음으로 확장카드를 구매하기 전에 현재 가진 메인보드에 있는 슬롯이 무엇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사운드카드나 랜카드 등의 다양한 확장카드를 꽂는 범용 슬롯인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와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인 AGP(Accelerated Graphics Port)를 갖춘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04년에 범용 슬롯이나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범용 슬롯인 PCI-익스프레스(Express)가 개발되면서 그래픽카드 전용 슬롯은 사라졌고, 범용 슬롯 역시 수가 줄어들거나 삭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PCI 익스프레스 슬롯은 슬롯의 너비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몇 가지 규격이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그래픽카드를 꽂을 때 주로 쓰는 PCI 익스프레스 x16 슬롯이다.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그래픽카드나 사운드카드, 랜카드 등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하고 있어 확장카드의 쓰임새가 줄어든 것이 사실이지만, 내장형 장치들은 별도로 장착하는 확장카드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높은 수준의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내장형 장치가 있어도 별도의 확장카드를 장착하곤 한다.<ref name="지식"></ref><ref name = "위키"></ref><ref name ="나무"></ref>
  
 
=== 저장장치 포트 ===
 
=== 저장장치 포트 ===
[[저장장치 포트]]는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ODD; Optical Disc Drive) 등의 저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꽂는 포트이다. 포트의 수가 많을수록 더욱 많은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대개 고급형 메인보드일수록 많은 포트를 가지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폭이 넓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병렬 ATA(PATA, IDE) 방식의 포트를 주로 사용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케이블의 폭이 가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된 직렬 ATA(SATA) 방식의 포트로 바뀌는 추세다. 이제는 특수한 메인보드가 아니라면 일반 메인보드에서 PATA, IDE 포트를 찾아보기 어렵다.<ref name="지식"></ref>  
+
저장장치 포트는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ODD; Optical Disc Drive) 등의 저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꽂는 포트이다. 포트의 수가 많을수록 더욱 많은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대개 고급형 메인보드일수록 많은 포트를 가지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폭이 넓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병렬 ATA(PATA, IDE) 방식의 포트를 주로 사용했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케이블의 폭이 가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된 직렬 ATA(SATA) 방식의 포트로 바뀌는 추세다. 이제는 특수한 메인보드가 아니라면 일반 메인보드에서 PATA, IDE 포트를 찾아보기 어렵다.<ref name="지식"></ref>  
  
 
=== 후면포트 ===
 
=== 후면포트 ===
[[후면포트]]는 케이스 장착 시에 본체 후면을 향하게 되는 것으로, 이것 역시 일정한 기준이 있다. 메인보드의 브랜드나 등급에 따라 약간씩 구성이 달라지긴 하지만 대동소이한 수준이다. 최근의 메인보드 후면포트는 범용성이 높은 USB 포트가 늘어나는 추세인 반면, PS/2나 직렬 포트, 병렬 포트와 같은 구형 주변기기용 포트는 수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고 있다. 또한, 별도의 사운드카드 없이도 입체 음향을 직접 출력할 수 있는 5.1 채널이나 7.1 채널 아날로그 음성 출력 포트가 거의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으며, 고급형 제품에는 별도의 앰프와 연결해 본격적인 홈시어터(Home theater)를 꾸밀 수 있는 S/PDIF 방식의 디지털 음성 출력 포트도 탑재되는 추세에 있다.<ref name="지식"></ref>  
+
후면포트는 케이스 장착 시에 본체 후면을 향하게 되는 것으로, 이것 역시 일정한 기준이 있다. 메인보드의 브랜드나 등급에 따라 약간씩 구성이 달라지긴 하지만 대동소이한 수준이다. 최근의 메인보드 후면포트는 범용성이 높은 USB 포트가 늘어나는 추세인 반면, PS/2나 직렬 포트, 병렬 포트와 같은 구형 주변기기용 포트는 수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고 있다. 또한, 별도의 사운드카드 없이도 입체 음향을 직접 출력할 수 있는 5.1 채널이나 7.1 채널 아날로그 음성 출력 포트가 거의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으며, 고급형 제품에는 별도의 앰프와 연결해 본격적인 홈시어터(Home theater)를 꾸밀 수 있는 S/PDIF 방식의 디지털 음성 출력 포트도 탑재되는 추세에 있다.<ref name="지식"></ref>  
  
 
==종류==
 
==종류==
78번째 줄: 78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77&cid=59088&categoryId=59096 메인보드]〉,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4077&cid=59088&categoryId=59096 메인보드]〉, 《지식백과》
 
*〈[https://namu.wiki/w/%EB%A9%94%EC%9D%B8%EB%B3%B4%EB%93%9C 메인보드]〉,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9%94%EC%9D%B8%EB%B3%B4%EB%93%9C 메인보드]〉, 《나무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EB%A9%94%EC%9D%B8%EB%B3%B4%EB%93%9C 메인보드]〉,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A9%94%EC%9D%B8%EB%B3%B4%EB%93%9C 메인보드]〉, 《위키백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