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모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모건'''(Morgan)]]
 
[[파일:모건 로고.png|썸네일|200픽셀|'''모건'''(Morgan)]]
 
[[파일:모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모건'''(Morgan)]]
 
[[파일:모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모건'''(Morgan)]]
[[파일: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jpg|썸네일|200픽셀|'''[[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Henry Frederick Stanley Morgan)]]
 
  
'''모건'''(Morgan)은 [[영국]] 우스터셔주에 본사가 있는 자동차 제조 기업이다. 정식 명칭은 '''모건 모터 컴퍼니'''(Morgan Motor Company)이다. 1909년에 창업자인 [[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Henry Frederick Stanley Morgan)이 자동차를 제조한 것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1910년에 설립되었다. 모건은 고전 스타일의 [[스포츠카]]를 제조하며, 2021년 기준 [[맥라렌]](McLaren)과 함께 남은 순수 [[영국]] [[자동차 회사]]이다.
+
'''모건'''(Morgan)은 [[영국]] 우스터셔주에 본사가 있는 자동차 제조 기업이며, 정식 명칭은 '''모건 모터 컴퍼니'''(Morgan Motor Company)이다. 1909년에 창업자인 [[헨리 프레드릭 스탠리 모건]](Henry Frederick Stanley Morgan)이 자동차를 제조한 것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1910년에 설립되었다. 모건은 고전 스타일의 [[스포츠카]]를 제조하며, 2021년 기준 [[맥라렌]](McLaren)과 함께 남은 순수 [[영국]] [[자동차 회사]]이다.
{{:자동차 배너|유럽}}
 
  
 
== 개요 ==
 
== 개요 ==
모건은 1910년 설립된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이다. [[중국]], [[인도]], [[독일]]의 기업들에게 인수를 당하고 있는 영국 브랜드들의 불리한 상황속에서도 [[맥라렌]](McLaren)과 함께 버티고 있는 순수 영국 자동차 회사이다. 모건의 설립자는 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으로 1904년부터 영국 멜번에서 차량판매와 수리업을 한 인물이다. 1910년부터 본격적으로 자동차 제조회사를 만들었고, 이것이 모건이다. 영국 회사답게 오랫동안 가족경영의 원칙을 꾸준히 지켜왔는데, 헨리 모건이 1959년까지 회사를 경영하다 사망하였고, 이후 아들인 피터 모건(Peter Morgan)이 2003년까지 회사를 경영하다가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피터 모건의 죽음 이후 자녀들이 경영권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전문 경영인 체제로 변환을 하였다. 그 후 피터 모건의 아들 찰스 모건(Charles Morgan)이 사장에 오르기도 하였으나, 2013년 경영진에서 해임되고 다시 전문 경영인 체제로 돌아왔다. 전공정 수작업으로 차량을 제작하는데, 특히 목재 [[서브프레임]]을 활용하여 클래식 풍의 앤틱 [[스포츠카]]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공정 수작업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최종 출고 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6개월로 알려졌다. 회사 설립 초창기에는 [[삼륜차]]들을 주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당시 영국의 조세법상 삼륜차는 [[모터사이클]]로 취급되어 자동차세를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낮은 가격과 경제성, 편의성으로 승부를 보는 회사였다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1936년부터 [[사륜차]]도 제작을 하였는데 모델 명은 4-4이다. 이 차량은 1950년대까지 생산하다 단종되고, 이후 4+시리즈가 출시되며 사륜차의 명맥을 이어가게 되었다. 4+시리즈의 특징은 기존 4-4보다 더 큰 [[엔진]]을 장착했다는 것인데, 기존 4-4의 1267cc 엔진 대신, 4+는 2088cc 엔진을 장착하였다. 엔진은 직접 제조하지 못하고 타회사의 것을 사용하는데, 1954~1969년은 [[트라이엄프]](Triumph)의 TR2-TR4 엔진을 사용하다가, 1980년대에는 [[피아트]](Fiat), 그 후 2000년 까지는 [[로버]](Rover)의 4기통 엔진을 사용하였다. 2004년부터는 [[포드]](Ford)의 4기통 엔진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비엠더블유]](BMW)의 엔진 등, 주문자의 취향에 맞춘 엔진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은 4000만원부터 8천만원까지 다양하다.<ref>장희찬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8&wr_id=18 세계 자동차 업계의 숨은 보석들 - 마이너 브랜드 열전 (1)]〉, 《글로벌오토뉴스》, 2019-09-18</ref>
+
모건은 1910년 설립된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이다. [[중국]], [[인도]], [[독일]]의 기업들에게 인수를 당하고 있는 영국 브랜드들의 불리한 상황속에서도 [[맥라렌]](McLaren)과 함께 버티고 있는 순수 영국 자동차 회사이다. 모건의 설립자는 헨리 프레드릭 스텐리 모건으로 1904년부터 영국 멜번에서 차량판매와 수리업을 한 인물이다. 1910년부터 본격적으로 자동차 제조회사를 만들었고, 이것이 모건이다. 영국 회사답게 오랫동안 가족경영의 원칙을 꾸준히 지켜왔는데, 헨리 모건이 1959년까지 회사를 경영하다 사망하였고, 이후 아들인 피터 모건(Peter Morgan)이 2003년까지 회사를 경영하다가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피터 모건의 죽음 이후 자녀들이 경영권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전문 경영인 체제로 변환을 하였다. 그 후 피터 모건의 아들 찰스 모건(Charles Morgan)이 사장에 오르기도 하였으나, 2013년 경영진에서 해임되고 다시 전문 경영인 체제로 돌아왔다. 전공정 수작업으로 차량을 제작하는데, 특히 목재 [[서브프레임]]을 활용하여 클래식 풍의 앤틱 [[스포츠카]]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공정 수작업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최종 출고 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6개월로 알려졌다. 회사 설립 초창기에는 [[삼륜차]]들을 주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당시 영국의 조세법상 삼륜차는 [[모터사이클]]로 취급되어 자동차세를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낮은 가격과 경제성, 편의성으로 승부를 보는 회사였다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1936년부터 [[사륜차]]도 제작을 하였는데 모델 명은 4-4이다. 이 차량은 1950년대까지 생산하다 단종되고, 이후 4+시리즈가 출시되며 사륜차의 명맥을 이어가게 되었다. 4+시리즈의 특징은 기존 4-4보다 더 큰 [[엔진]]을 장착했다는 것인데, 기존 4-4의 1267cc 엔진 대신, 4+는 2088cc 엔진을 장착하였다. 엔진은 직접 제조하지 못하고 타회사의 것을 사용하는데, 1954~1969년은 [[트라이엄프]](Triumph)의 TR2-TR4 엔진을 사용하다가, 1980년대에는 [[피아트]](Fiat), 그 후 2000년 까지는 [[로버]](Rover)의 4기통 엔진을 사용하였다. 2004년부터는 [[포드]](Ford)의 4기통 엔진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비엠더블유]](BMW)의 엔진 등, 주문자의 취향에 맞춘 엔진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은 4000만원부터 8천만원까지 다양하다.<ref>장희찬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8&wr_id=18 세계 자동차 업계의 숨은 보석들 - 마이너 브랜드 열전 (1)]〉, 《글로벌오토뉴스》, 2019-09-18</ref>
  
 
== 역사 ==
 
== 역사 ==
모건 모터 컴퍼니의 창립자, [[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Henry Frederick Stanley Morgan)은 1881년 영국에서 태어나 크리스탈팰리스 공업학교(Crystal Palace School of Engineering)를 졸업하고 철도 회사에 취직하며 기술자의 삶을 본격적으로 살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철도 회사에서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지인들과 함께 말번 링크(Malvern Link)에 자리를 잡고 자동차 판매와 정비를 하는 사업체를 새롭게 마련했다. 이와 함께 소소한 규모로 [[삼륜차]]를 제작, 판매하며 자동차 브랜드의 기반을 쌓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헨리 모건은 1910년, 본격적인 자동차 제조업 시장에 뛰어들었고 그렇게 모건 모터 컴퍼니가 자동차 역사에 첫 등장하게 되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자연스럽게 말번에 거점을 두게 되었고, 헨리 모건은 창립자이자 경영자로 활동을 시작했다. 자동차 산업 초기에 등장한 만큼 모건 모터 컴퍼니는 당대의 여러 자동차 업체들이 그런 것처럼 다채로운 컨셉과 규정되는 않은 형태 속에서 자신들의 성격을 반영한 [[차량]]들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건의 특별한 감성, 그리고 고유한 매력이라 할 수 있는 [[삼륜차]]들이 먼저 등장하게 되었다. 실제 헨리 모건은 멜번 대학의 엔지니어링 총괄이자 친구의 아버지인 윌리엄 스티븐슨-피치(William Stephenson-Peach)의 도움으로 '런어바웃(Runabout)'을 시장에 내놓게 되었다. 모건 런어바웃은 독특한 형태, 그리고 모건의 우수한 엔지니어링을 바탕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1인승 차량으로 개발되었던 만큼 시장에서의 판매는 그리 만족스럽지 못했고, 헨리 모건은 곧바로 2인승 모델인 삼륜 구조의 확장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구조적인 특징, 소유 및 운영의 편의성이 높다는 부분에서 영국 내에서는 몇몇 브랜드들이 삼륜차량을 선보이긴 했지만 시장의 주류는 사륜 차량이었다. 그러나 모건은 삼륜차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꾸준히 삼륜 차량을 선보이게 되었다. 실제 1930년대에는 다양한 삼륜 차량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삼륜차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기 위해 '1935 슈퍼스포츠'를 [[모터스포츠]] 무대에 투입하며 가능성을 입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무렵에도 삼륜차의 계보를 꾸준히 이어가며 모건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했다. 실제 F 시리즈로 불리는 삼륜차가 1932년부터 1952년까지 꾸준히 개발, 출시되었고 참고로 이 시절 [[포드]](Ford)의 [[엔진]]을 탑재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 역시 잊지 않았다.<ref name='김학수'>김학수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70808040000805 (히스토리) 나무로 만드는 영국 자동차의 역사...모건 모터 컴퍼니 히스토리]〉, 《한국일보》, 2021-07-08</ref>
+
모건 모터 컴퍼니의 창립자, 헨리 프레드릭 스텐리 모건(Henry Frederick Stanley Morgan)은 1881년 영국에서 태어나 크리스탈팰리스 공업학교(Crystal Palace School of Engineering)를 졸업하고 철도 회사에 취직하며 기술자의 삶을 본격적으로 살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철도 회사에서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지인들과 함께 말번 링크(Malvern Link)에 자리를 잡고 자동차 판매와 정비를 하는 사업체를 새롭게 마련했다. 이와 함께 소소한 규모로 [[삼륜차]]를 제작, 판매하며 자동차 브랜드의 기반을 쌓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헨리 모건은 1910년, 본격적인 자동차 제조업 시장에 뛰어들었고 그렇게 모건 모터 컴퍼니가 자동차 역사에 첫 등장하게 되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자연스럽게 말번에 거점을 두게 되었고, 헨리 모건은 창립자이자 경영자로 활동을 시작했다. 자동차 산업 초기에 등장한 만큼 모건 모터 컴퍼니는 당대의 여러 자동차 업체들이 그런 것처럼 다채로운 컨셉과 규정되는 않은 형태 속에서 자신들의 성격을 반영한 [[차량]]들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건의 특별한 감성, 그리고 고유한 매력이라 할 수 있는 [[삼륜차]]들이 먼저 등장하게 되었다. 실제 헨리 모건은 멜번 대학의 엔지니어링 총괄이자 친구의 아버지인 윌리엄 스티븐슨-피치(William Stephenson-Peach)의 도움으로 '런어바웃(Runabout)'을 시장에 내놓게 되었다. 모건 런어바웃은 독특한 형태, 그리고 모건의 우수한 엔지니어링을 바탕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1인승 차량으로 개발되었던 만큼 시장에서의 판매는 그리 만족스럽지 못했고, 헨리 모건은 곧바로 2인승 모델인 삼륜 구조의 확장성을 부여하게 되었다. 구조적인 특징, 소유 및 운영의 편의성이 높다는 부분에서 영국 내에서는 몇몇 브랜드들이 삼륜차량을 선보이긴 했지만 시장의 주류는 사륜 차량이었다. 그러나 모건은 삼륜차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꾸준히 삼륜 차량을 선보이게 되었다. 실제 1930년대에는 다양한 삼륜 차량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이고 삼륜차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기 위해 '1935 슈퍼스포츠'를 [[모터스포츠]] 무대에 투입하며 가능성을 입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무렵에도 삼륜차의 계보를 꾸준히 이어가며 모건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했다. 실제 F 시리즈로 불리는 삼륜차가 1932년부터 1952년까지 꾸준히 개발, 출시되었고 참고로 이 시절 [[포드]](Ford)의 [[엔진]]을 탑재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 역시 잊지 않았다.<ref name='김학수'>김학수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70808040000805 (히스토리) 나무로 만드는 영국 자동차의 역사...모건 모터 컴퍼니 히스토리]〉, 《한국일보》, 2021-07-08</ref>
  
 
제2차 세계대전 후, 대다수의 자동차 브랜드들은 모두 [[사륜구동]] 차량으로 전화하게 되었고 모건 모터 컴퍼니 역시 이러한 흐름을 따르며 1952년 이후부터 [[사륜차]] 비중을 대거 높이기 시작했다. 한편 모건 모터 컴퍼니의 설립자이자 초대 경영자인 헨리 모건은 1959년, 77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게 되었고 그의 아들 피터 모건(Peter Morgan)이 회사를 이어 받아 2세대 경영을 시작하게 되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1950년, 2,088cc 엔진을 탑재해 이전의 모건 모터 컴퍼니 대비 더욱 우수한 성능을 뽐내는 '모건 +4'로 브랜드의 새로운 시대를 시작하게 되었다. 덧붙여 이후에는 [[트라이엄프]](Triumph) 사에서 엔진을 공급받아 차량에 적용하기도 했다. 한편 이 시기부터 모건 모터 컴퍼니는 말 그대로 무소식의 브랜드로 바뀌었다. 타 브랜드들이 자동화 설비를 기반으로 차량을 제작하는 것과 달리 수작업, 그리고 전통적인 차량 제조 방식을 고집한 배경이다. 실제 모건 모터 컴퍼니를 '나무로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로 기억하는 이유가 이러한 선택에 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수작업, 그리고 부분에 따라 물푸레나무를 활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이러한 방식은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안전 및 환경 규제를 모두 대응하고 있다. 자동화 공정 없이 수작업으로 차량을 생산하는 만큼 하나의 차량이 탄생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은 모건 모터 컴퍼니의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고, 이러한 생산력으로 인해 새로운 모델 역시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실제 모건 +4가 1950년 등장하고 새로운 모델 +4+가 등장하기 까지는 무려 14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고, +8으로 명명된 비교적 대형 모델은 1968년에 데뷔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차량들은 소소한 개선과 변화를 거치며 2000년대까지 그 명맥을 계승하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모건 모터 컴퍼니의 행보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수작업, 물푸레 나무를 사용하는 공정, 그리고 소수의 모델은 여전히 모건 모터 컴퍼니의 가치가 되었고, 소비자들은 느림의 미학을 즐기듯 이러한 브랜드의 행보를 꾸준히 지켜보았다. 이 와중에 모건 모터 컴퍼니는 새로운 부품 및 기술 등을 적용해 기존의 모건 차량들을 최신 규제에 맞춰 리뉴얼하는 건 물론이고 새로운 모델을 선보여 소비자들의 이목을 끄는 것 역시 잊지 않았다. 실제 2004년에는 [[로드스터]]로 명명된 차량이 등장해 최신의 디자인 속 50년 전의 자동차가 살아 숨쉬는 이채로운 모습을 연출했을 뿐 아니라 에어로 8, 에어로맥스, 에어로 슈퍼스포츠, 에어로 쿠페, 에어로 플러스 8은 물론이고 플러스 E, 에바 GT와 같은 다양한 차량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했다. 이후 모건 모터 컴퍼니는 여러 내부 이슈를 거쳤지만 굳건히 영국의 자동차 브랜드로 유지될 수 있었으며 2011년, 3-휠러라고 명명된 차량을 선보이며 모건 삼륜차의 아이덴티티를 계승하는 선택을 했다. 모건 3-휠러는 두 개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 구조를 갖춘 삼륜차로 모터사이클 차체에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의 엔진, [[마쓰다]](Mazda)의 수동 5단 [[변속기]]를 모건의 방식 위에 쌓아 올렸고, 이내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후로도 모건 SP1, 그리고 모건 플러스식스, 그리고 플러스 포(Plus Four) 등을 선보이며 전통적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최신의 [[엔진]]과 [[변속기]], 그리고 각종 기술을 적용한 고 비교적 고성능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ref name='김학수'/>
 
제2차 세계대전 후, 대다수의 자동차 브랜드들은 모두 [[사륜구동]] 차량으로 전화하게 되었고 모건 모터 컴퍼니 역시 이러한 흐름을 따르며 1952년 이후부터 [[사륜차]] 비중을 대거 높이기 시작했다. 한편 모건 모터 컴퍼니의 설립자이자 초대 경영자인 헨리 모건은 1959년, 77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게 되었고 그의 아들 피터 모건(Peter Morgan)이 회사를 이어 받아 2세대 경영을 시작하게 되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1950년, 2,088cc 엔진을 탑재해 이전의 모건 모터 컴퍼니 대비 더욱 우수한 성능을 뽐내는 '모건 +4'로 브랜드의 새로운 시대를 시작하게 되었다. 덧붙여 이후에는 [[트라이엄프]](Triumph) 사에서 엔진을 공급받아 차량에 적용하기도 했다. 한편 이 시기부터 모건 모터 컴퍼니는 말 그대로 무소식의 브랜드로 바뀌었다. 타 브랜드들이 자동화 설비를 기반으로 차량을 제작하는 것과 달리 수작업, 그리고 전통적인 차량 제조 방식을 고집한 배경이다. 실제 모건 모터 컴퍼니를 '나무로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로 기억하는 이유가 이러한 선택에 있다. 모건 모터 컴퍼니는 수작업, 그리고 부분에 따라 물푸레나무를 활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이러한 방식은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안전 및 환경 규제를 모두 대응하고 있다. 자동화 공정 없이 수작업으로 차량을 생산하는 만큼 하나의 차량이 탄생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은 모건 모터 컴퍼니의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고, 이러한 생산력으로 인해 새로운 모델 역시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실제 모건 +4가 1950년 등장하고 새로운 모델 +4+가 등장하기 까지는 무려 14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고, +8으로 명명된 비교적 대형 모델은 1968년에 데뷔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차량들은 소소한 개선과 변화를 거치며 2000년대까지 그 명맥을 계승하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도 모건 모터 컴퍼니의 행보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수작업, 물푸레 나무를 사용하는 공정, 그리고 소수의 모델은 여전히 모건 모터 컴퍼니의 가치가 되었고, 소비자들은 느림의 미학을 즐기듯 이러한 브랜드의 행보를 꾸준히 지켜보았다. 이 와중에 모건 모터 컴퍼니는 새로운 부품 및 기술 등을 적용해 기존의 모건 차량들을 최신 규제에 맞춰 리뉴얼하는 건 물론이고 새로운 모델을 선보여 소비자들의 이목을 끄는 것 역시 잊지 않았다. 실제 2004년에는 [[로드스터]]로 명명된 차량이 등장해 최신의 디자인 속 50년 전의 자동차가 살아 숨쉬는 이채로운 모습을 연출했을 뿐 아니라 에어로 8, 에어로맥스, 에어로 슈퍼스포츠, 에어로 쿠페, 에어로 플러스 8은 물론이고 플러스 E, 에바 GT와 같은 다양한 차량들을 지속적으로 제시했다. 이후 모건 모터 컴퍼니는 여러 내부 이슈를 거쳤지만 굳건히 영국의 자동차 브랜드로 유지될 수 있었으며 2011년, 3-휠러라고 명명된 차량을 선보이며 모건 삼륜차의 아이덴티티를 계승하는 선택을 했다. 모건 3-휠러는 두 개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 구조를 갖춘 삼륜차로 모터사이클 차체에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의 엔진, [[마쓰다]](Mazda)의 수동 5단 [[변속기]]를 모건의 방식 위에 쌓아 올렸고, 이내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후로도 모건 SP1, 그리고 모건 플러스식스, 그리고 플러스 포(Plus Four) 등을 선보이며 전통적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최신의 [[엔진]]과 [[변속기]], 그리고 각종 기술을 적용한 고 비교적 고성능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ref name='김학수'/>
93번째 줄: 91번째 줄:
 
* [[벤틀리]]
 
* [[벤틀리]]
 
* [[스포츠카]]
 
* [[스포츠카]]
* [[헨리 프레데릭 스탠리 모건]]
+
* [[헨리 스탠리 모건]]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