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손잡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문손잡이'''<!--문 손잡이-->(door knob)는 [[문]]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문고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
'''문손잡이'''(door knob)는 [[문]]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문고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 개요 ==
 
== 개요 ==
문손잡이는 문을 열 거나 닫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손잡이를 돌리거나 누르거나 밀면 고정되어 있던 부분이 풀려서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문손잡이는 주거 및 상업용 건물의 문 또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ref name="wiki"> 〈[https://en.wikipedia.org/wiki/Door_handle Door handle]〉, 《위키피디아》</ref>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원형 고리 형식의 문손잡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문고리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오래된 옛날 문의 경우 커다란 쇠고리가 달린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부정을 쫓는 수호신 같은 의미로 도깨비나 사자처럼 무섭게 생긴 형상이 그 고리를 입으로 물고 있는 디자인도 있다. 과거에는 이 고리를 문에 부딪혀서 초인종처럼 주인을 부르기도 했다. 문을 닫은 다음 고리를 문틀 쪽으로 꺾어 잡아둔 채로 문틀에 달린 구멍 난 쇳조각에 숟가락 등을 꽂는 식으로 잠금장치 역할을 했다. 오늘날 일반적인 유형의 문손잡이는 원통형 손잡이와 레버형 손잡이다. 문손잡이는 황동, 유리, 나무, 청동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ref name="나무"> 〈[https://namu.wiki/w/%EB%AC%B8%EA%B3%A0%EB%A6%AC 문고리]〉, 《나무위키》 </ref>
+
문손잡이는 문을 열 거나 닫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손잡이를 돌리거나 누르거나 밀면 고정되어 있던 부분이 풀려서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문손잡이는 주거 및 상업용 건물의 문 또는 자동차의 [[도어핸들]]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ref name="wiki"> 〈[https://en.wikipedia.org/wiki/Door_handle Door handle]〉, 《위키피디아》</ref>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원형 고리 형식의 문손잡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문고리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오래된 옛날 문의 경우 커다란 쇠고리가 달린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부정을 쫓는 수호신 같은 의미로 도깨비나 사자처럼 무섭게 생긴 형상이 그 고리를 입으로 물고 있는 디자인도 있다. 과거에는 이 고리를 문에 부딪혀서 초인종처럼 주인을 부르기도 했다. 문을 닫은 다음 고리를 문틀 쪽으로 꺾어 잡아둔 채로 문틀에 달린 구멍 난 쇳조각에 숟가락 등을 꽂는 식으로 잠금장치 역할을 했다. 오늘날 일반적인 유형의 문손잡이는 원통형 손잡이와 레버형 손잡이다. 문손잡이는 황동, 유리, 나무 , 청동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ref name="나무"> 〈[https://namu.wiki/w/%EB%AC%B8%EA%B3%A0%EB%A6%AC 문고리]〉, 《나무위키》 </ref>
  
 
== 역사 ==
 
== 역사 ==
9번째 줄: 9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원통형 손잡이 ===
 
=== 원통형 손잡이 ===
원통형 손잡이는 손잡이를 손으로 감싸 쥔 채 손에 힘을 주어 시계 방향으로 돌려 문을 여는 방식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친숙하다. 하지만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장애인이 원통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캐나다 [[밴쿠버]]는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문을 열기 쉽도록 2014년부터 모든 건축물 내에서 원통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ref> 이준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1418441 밴쿠버, 돌리는 둥근 문손잡이 '영구 퇴출'…왜?]〉, 《뉴스원》, 2013-11-22 </ref>
+
원통형 손잡이는 손잡이를 손으로 감싸 쥔 채 손에 힘을 주어 시계 방향으로 돌려 문을 여는 방식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친숙하다. 하지만 악력이 약한 노약자나 장애인이 원통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캐나다 벤쿠버 시는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문을 열기 쉽도록 2014년부터 모든 건축물 내에서 원통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ref> 이준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1418441 밴쿠버, 돌리는 둥근 문손잡이 '영구 퇴출'…왜?]〉, 《뉴스원》, 2013-11-22 </ref>
  
 
=== 레버형 손잡이 ===
 
=== 레버형 손잡이 ===
레버형 손잡이는 가볍게 아래로 눌러주기만 하면 문을 여닫는 형태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원통형 손잡이보다 간편하긴 하지만 원형 손잡이보다 보안에 취약하다. 쇠지렛대를 끼워 넣고 발로 밟으면 힘없이 부서져 버리기 때문에 2000년대 중후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가택침입 절도 범죄가 기승을 부렸다.<ref name="나무"></ref>
+
레버형 손잡이는 가볍게 아래로 눌러주기만 하면 문을 여닫는 형태의 손잡이를 의미한다. 원통형 손잡이보다 간편하긴 하지만 원형 손잡이보다 보안에 취약하다. 빠루를 끼워 넣고 발로 밟으면 힘없이 부서져 버리기 때문에 2000년대 중후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가택침입 절도 범죄가 기승을 부렸다.<ref name="나무"></ref>
  
 
=== 푸쉬 풀 손잡이 ===
 
=== 푸쉬 풀 손잡이 ===
18번째 줄: 18번째 줄:
  
 
== 사용 ==
 
== 사용 ==
문의 수평축을 따라 문손잡이의 위치는 문화, 장식 스타일 또는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문의 가장자리에서 문의 중앙까지 몇 인치 또는 몇 센티미터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문의 가장자리에서 손잡이 중앙까지의 거리를 백셋이라고 한다. 문의 수직축을 따라 문손잡이의 위치는 34~48인치(860 ~ 1,220mm)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문손잡이는 어린이 또는 노인이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미국 건물과 많은 가정에서 문손잡이는 비틀어서 사용하는 원통형 손잡이가 아닌 누르는 형식의 레버형 손잡이를 사용한다. 레버는 또한 백셋이 감소하여 문손잡이를 편안하게 돌리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좁은 문에도 유용하다. 대부분의 가정용 문손잡이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면이 도어 지거를 통과하여 손잡이가 부착된 문의 양쪽에 어느 정도의 길이가 노출되도록 하는 나사식 축(스핀들)이 있는 간단한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손잡이의 스핀들을 조여서 양쪽에 부착한 후 스핀들 평면에 수직으로 1개 이상의 고정 스크루를 손잡이로 고정한다. 트랙션이 상실된 손잡이는 스핀들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 스크루를 교체하거나 조정하여 자주 수리할 수 있다.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손잡이는 스핀들 위로 미끄러지지만 고정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문 자체에만 부착된다.<ref name="wiki"></ref>
+
문의 수평축을 따라 문손잡이의 위치는 문화, 장식 스타일 또는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문의 가장자리에서 문의 중앙까지 몇 인치 또는 몇 센티미터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문의 가장자리에서 손잡이 중앙까지의 거리를 백셋이라고 한다. 문의 수직축을 따라 문손잡이의 위치는 34 ~ 48인치(860 ~ 1,220mm)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문손잡이는 어린이 또는 노인이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미국 건물과 많은 가정에서 문손잡이는 비틀어서 사용하는 원통형 손잡이가 아닌 누르는 형식의 레버형 손잡이를 사용한다. 레버는 또한 백셋이 감소하여 문손잡이를 편안하게 돌리기 위한 공간이 부족한 좁은 문에도 유용하다. 대부분의 가정용 문손잡이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면이 도어 지거를 통과하여 손잡이가 부착된 문의 양쪽에 어느 정도의 길이가 노출되도록 하는 나사식 축(스핀들)이 있는 간단한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핸들은 스핀들을 조여서 양쪽에 부착한 후 스핀들 평면에 수직으로 1개 이상의 고정 스크루를 노브로 고정합니다. 트랙션이 상실된 손잡이는 스핀들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 스크루를 교체하거나 조정하여 자주 수리할 수 있다.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손잡이는 스핀들 위로 미끄러지지만 고정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문 자체에만 부착된다.<ref name="wiki"></ref>
 
 
== 교체 방법 ==
 
문손잡이가 덜렁이거나 삐걱거려 제 기능을 못 하고, 자꾸 문이 스스로 잠겨 열쇠를 찾는 일이 잦아진다면 손잡이를 교체할 시기가 온 것이다. 이사를 하거나 인테리어를 새로 했을 경우도 집안 분위기에 맞춰 색이나 재질, 디자인에 따라 새로운 손잡이로 바꿔줄 때가 생긴다. 이전에는 손으로 돌려 힘을 쓰는 원통형 손잡이를 주로 썼는데, 요즘은 레버를 살짝 내리면 열리는 레버형 손잡이가 주로 쓰인다. 원통형 손잡이보다 레버형 손잡이는 설치 방법도 훨씬 간단해져서 집안 분위기 전환을 위해 직접 도전해 볼 수 있다.<ref name="교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6863&cid=58881&categoryId=58889 방문 손잡이 교체]〉, 《네이버 지식백과》</ref>
 
=== 원통형 손잡이 해체 ===
 
# 손잡이 해체 준비 : 방문의 안과 밖 어느 쪽에서 작업해도 상관없다. 우선 작은 구멍에 들어갈 뾰족한 공구를 준비한다. 새로 마련한 손잡이에 동봉된 잠금 해체 핀을 쓰거나 송곳, 클립, 이쑤시개 등을 활용해도 된다.
 
# 손잡이 돌려보기 : 손잡이를 쥐고 돌리다 보면 작은 홈 안에 내부 축이 보일 때가 있다. 단순히 보면 송곳이 들어갈 구멍이 나타날 때까지 이리저리 돌려보면 된다.
 
# 손잡이 제거하기 : 홈에 맞춰 송곳을 누른 채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그대로 빠진다. 반대편 손잡이도 같은 방법으로 빼낸다.
 
# 부분 해체하기 : 원형 덮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뺀다. 반대쪽 손잡이는 덮개를 따로 빼지 않아도 된다.
 
# 레치 제거하기 : 레치 고정판의 나사못을 드라이버를 이용해 풀어 제거한다.<ref name="교체"></ref>
 
 
 
=== 레버형 손잡이 해체 ===
 
# 나사못과 잠금장치 제거 : 손잡이 덮개의 위와 아래 나사못을 수동 혹은 전동 드라이버를 이용해 풀어주고, 잠금장치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뺀다. 양쪽 손잡이를 잡아 빼면 자연스럽게 해체된다.
 
# 레치 고정판 빼기 : 레치 고정판의 나사못을 빼고 십자드라이버나 송곳 등을 이용해 지렛대 원리로 고정판을 벗긴다.
 
# 레버형 손잡이 해체 완료 : 고정판을 벗기면 그 안의 레치는 손으로 잡아 뺀다.<ref name="교체"></ref>
 
 
 
=== 손잡이 조립  ===
 
새로운 손잡이를 다는 방법은 손잡이를 해체하는 방법의 역순으로 생각하고 조립하면 된다. 단, 회전축과 잠금장치 방향, 문을 어느 쪽으로 여닫는지 방향을 생각해 착오 없게 작업해야 한다.
 
# 레치 삽입하기 : 방향에 맞춰 레치를 삽입하고 레치 고정판을 덮는다. 고정판 위아래 구멍에 나사못을 박는다. 잠금장치 뒷면(왼쪽, 일자 홈)과 잠금장치 삽입 면(오른쪽, 원형 홈)의 모습으로 이 제품은 각 방향을 금색과 은색으로 구분해 회전축이 끼워질 방향을 알려준다. 잠금장치가 있는 쪽(원형 홈)이 대부분 방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아이가 있는 집이나 애완동물이 있는 집 등 방 밖에 잠금장치를 하기도 한다. 레치에는 잠금장치가 고정될 원형 홈이 나 있다. 방문을 어디에서 잠글 것인지 결정하고, 잠그는 쪽(여기서는 방문 안쪽)에 원형 홈이 향하도록 레치를 삽입한다.
 
# 손잡이와 회전축 준비하기 : 손잡이와 회전축을 준비한다. 회전축에는 안과 밖(IN 또는 OUT)이라고 방향 표기가 나 있다. 손잡이는 잠금장치 구멍과 위아래 나사못 구멍이 있는 쪽을 잠그는 쪽으로 구분한다.
 
# 회전축 삽입과 나사못 고정 : 회전축을 방향에 맞춰 끼우고 양쪽 손잡이를 동시에 끼워 넣는다. 방문 잠그는 쪽 손잡이 덮개에 나사못을 박으면 반대쪽 손잡이도 함께 고정된다.
 
# 잠금장치 끼우고 완성 : 잠금장치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끼우면 새로운 방문 손잡이가 장착된다.<ref name="교체"></ref>
 
  
 
{{각주}}
 
{{각주}}
47번째 줄: 26번째 줄:
 
* 〈[https://namu.wiki/w/%EB%AC%B8%EA%B3%A0%EB%A6%AC 문고리]〉,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AC%B8%EA%B3%A0%EB%A6%AC 문고리]〉,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68851&cid=59926&categoryId=59926 문손잡이]〉,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68851&cid=59926&categoryId=59926 문손잡이]〉,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76863&cid=58881&categoryId=58889 방문 손잡이 교체]〉, 《네이버 지식백과》
 
 
* 이준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1418441 밴쿠버, 돌리는 둥근 문손잡이 '영구 퇴출'…왜?]〉, 《뉴스원》, 2013-11-22
 
* 이준규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1418441 밴쿠버, 돌리는 둥근 문손잡이 '영구 퇴출'…왜?]〉, 《뉴스원》, 2013-11-2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문]]
 
 
* [[손잡이]]
 
* [[손잡이]]
* [[도어]]
 
* [[도어핸들]]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건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