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뮤직큐 로고.png|썸네일|200픽셀|'''뮤직큐'''(MusicQ)]]
 
[[파일:뮤직큐 로고.png|썸네일|200픽셀|'''뮤직큐'''(MusicQ)]]
 
[[파일:뮤직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뮤직큐'''(MusicQ)]]
 
[[파일:뮤직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뮤직큐'''(MusicQ)]]
 +
[[파일:이홍유.jpg|썸네일|200픽셀|'''[[이홍유]]'''(Ross Lee) [[뮤직큐플러스]](MusicQ Plus) 대표이사]]
  
'''뮤직큐'''<!--뮤직 큐-->(MUSIC Q)<!--MUSICQ, Music Q, MusicQ, Musicq, Music q-->는 각기 다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한데 모으는 최초의 글로벌 소셜 뮤직 플랫폼이다. '''미라클토큰'''(Miraqle toekn)은 뮤직큐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사용자가 미라클토큰을 사용하거나 보유하게 될 때 기적이 일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티커는 '''MQL'''이다. '''[[뮤직큐]]'''(MusicQ)는 뮤직큐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켜 토큰생태계를 구축하며 대표이사는 '''[[이홍유]]'''이다.  
+
'''뮤직큐'''<!--뮤직 큐-->(MUSIC Q)<!--MUSICQ, Music Q, MusicQ, Musicq, Music q-->는 각기 다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한데 모으는 최초의 글로벌 소셜 뮤직 플랫폼이다. '''미라클토큰'''(Miraqle toekn)은 뮤직플러스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사용자가 미라클토큰을 사용하거나 보유하게 될 때 기적이 일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티커는 '''MQL'''이다. '''[[뮤직큐플러스]]'''(MusicQ Plus)는 뮤직큐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켜 토큰생태계를 구축하며 대표이사는 '''[[이홍유]]'''이다.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뮤직큐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합니다.}}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뮤직큐가 2020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합니다.}}
  
12번째 줄: 13번째 줄:
 
[[미라클토큰]]은 뮤직플러스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통화이며, 유저가 본 토큰을 사용하거나 보유하게 될 때 기적이 일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는 약 3억 5백만 명의 유료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가 존재하며, 스포티파이와 애플 뮤직, 아마존 뮤직과 텐센트 뮤직이 세계시장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무료 사용자까지 포함한다면 이 숫자는 배로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해당 플랫폼들은 모두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포티파이의 유저인 A가 자신이 감명을 받은 노래를 친구인 애플 뮤직 사용자 B에게 추천해 주기 위해서는 메신저를 이용해 곡을 알려주거나 유튜브로 노래를 보내야 한다. 만약, 함께 공유하고 싶은 노래가 한 곡이 아닌 여러 곡으로 구성된 플레이리스트라면, 대부분의 유저는 공유하기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뮤직큐플러스는 이러한 장벽을 허물어 플랫폼 간의 상호 호환을 가능하게 하고, 소셜 미디어 기능을 강화시켜 음악 팬들 사이의 소통을 지원한다. 미라클토큰의 생태계는 이렇게 한 곳으로 집합된 유저 커뮤니티에 보다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프로슈머 활동을 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주고 활동에 대한 보상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 name="전시현">전시현 기자,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93 "기적을 가져오는 미라클 토큰" (MiraQle: MQL)]〉, 《블록체인투데이》, 2020-02-06</ref>
 
[[미라클토큰]]은 뮤직플러스 플랫폼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통화이며, 유저가 본 토큰을 사용하거나 보유하게 될 때 기적이 일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는 약 3억 5백만 명의 유료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가 존재하며, 스포티파이와 애플 뮤직, 아마존 뮤직과 텐센트 뮤직이 세계시장의 77%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무료 사용자까지 포함한다면 이 숫자는 배로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해당 플랫폼들은 모두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포티파이의 유저인 A가 자신이 감명을 받은 노래를 친구인 애플 뮤직 사용자 B에게 추천해 주기 위해서는 메신저를 이용해 곡을 알려주거나 유튜브로 노래를 보내야 한다. 만약, 함께 공유하고 싶은 노래가 한 곡이 아닌 여러 곡으로 구성된 플레이리스트라면, 대부분의 유저는 공유하기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뮤직큐플러스는 이러한 장벽을 허물어 플랫폼 간의 상호 호환을 가능하게 하고, 소셜 미디어 기능을 강화시켜 음악 팬들 사이의 소통을 지원한다. 미라클토큰의 생태계는 이렇게 한 곳으로 집합된 유저 커뮤니티에 보다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프로슈머 활동을 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주고 활동에 대한 보상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 name="전시현">전시현 기자,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93 "기적을 가져오는 미라클 토큰" (MiraQle: MQL)]〉, 《블록체인투데이》, 2020-02-06</ref>
  
뮤직큐는 미라클토큰의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 있으며,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일반 유저로, 뮤직플러스에 유입되는 모든 유저가 더욱 신선하고 즐겁고 쉽게 블록체인의 상용화를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
뮤직플러스는 미라클토큰의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 있으며,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일반 유저로, 뮤직플러스에 유입되는 모든 유저가 더욱 신선하고 즐겁고 쉽게 블록체인의 상용화를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등장배경==
 
==등장배경==
18번째 줄: 19번째 줄:
  
 
2020년 상반기 본 플랫폼의 출시가 미국과 유럽에서 우선 출시 예정되어 있다. 전 세계 각 곳의 음악 팬들과 음원 플랫폼 유저들이 모두 만족할 만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ref name="블록체인투데이"></ref>
 
2020년 상반기 본 플랫폼의 출시가 미국과 유럽에서 우선 출시 예정되어 있다. 전 세계 각 곳의 음악 팬들과 음원 플랫폼 유저들이 모두 만족할 만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ref name="블록체인투데이"></ref>
 +
 +
==주요 인물==
 +
* '''[[이홍유]]'''(Ross Lee) : [[뮤직큐]](MusicQ)의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SNU)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레인콤/아이리버에서 마케팅 기획과 해외 영업을 맡아 전 세계에 아이리버 판권 사업을 진행했다. 포스코 ICT에서는 글로벌 세일즈를 진행하며, [[유럽]], [[중국]], [[미국]] 지역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이후 루티즈코리아로 옮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커머셜 레지던스 비즈니스를 진행했고, 미주 사업 담당으로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했다. 769엔터테인먼트의 부사장으로 마이클 잭슨 헌정 앨범 '렛츠 셧업 앤 댄스(Let's Shut Up & Dance)'의 중국 판권 계약을 텐센트와 진행했다.
  
 
==특징==
 
==특징==
42번째 줄: 46번째 줄:
 
* 2020년 06월 : 사용자 편집 앨범 발행 모델 론칭, PR 기사 배포
 
* 2020년 06월 : 사용자 편집 앨범 발행 모델 론칭, PR 기사 배포
 
* 2020년 07월 : PR 기사 배포, 음원 플랫폼 추가
 
* 2020년 07월 : PR 기사 배포, 음원 플랫폼 추가
* 2021년 1분기 : 뮤직큐 오픈(아시아 6개국 런칭)
+
* 2021년 1분기 : 뮤직큐플러스 오픈
* 2021년 2분기 : 뮤직큐 유럽 4개국 추가 런칭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