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민경환.jpg|썸네일|300픽셀|'''민경환'''(Mikey Min)]]
+
[[파일:스타시아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타시아]]'''(STASIA)]]
 
  
'''민경환''' 또는 '''마이키 민'''(Mikey Min)은 블록체인 기반의 아이돌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인 '''[[스타시아]]'''(STASIA)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2018년 8월 [[테드 오]](Ted Oh), [[제리 신]](Jerry Shin)과 함께 중국 [[홍콩]]에서 스타시아 회사를 창업했다.
+
 
 
== 생애 ==
 
민경환은 [[경희대학교]]에서 관광경영학을 전공했다. 그는 대학생 시절부터 창업에 남다른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대학교 3학년 때 세번째 사업으로 기업 교육과 강사를 중개해주는 플랫폼을 운영하다가, 여기서 쌓은 노하우를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확장시키면서 광고주와 소속사의 연예인을 중개하는 광고모델 캐스팅 플랫폼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 이후 떠오르는 케이팝(K-POP) 스타들을 전 세계 팬들과 연결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스타시아]](STASIA)를 개발 중이다. 그는 2018년까지 총 6개의 회사를 설립하였다. [[파인드강사]]<!--파인드 강사, 파인드 렉처러-->(Find Lecturer), [[엠케이아이]](MKI), [[미디어케이]](Media K), [[비트럼 벤티에 코리아]](Vitrum Ventiae Korea), [[아우터코리아]](Outer Korea), [[스타시아]](Stasia) 등이다. 그는 [[엔젤투자자]]로서 그 동안 [[파인드스타]]<!--파인드 스타-->(Find Star), [[가족 이엔티]](Family ENT), [[오퍼스 미디어]](Opus Media), [[카페 퍼플]](Café Purple) 등 10여 개가 넘는 [[스타트업]]에 투자하였다..
 
  
 
== 학력 ==
 
== 학력 ==
12번째 줄: 8번째 줄:
 
* 2018년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2018년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경력 ==
+
ㅁㅁ
* 2006년 ~ 2007년 : 한화투어몰
 
* 2007년 ~ 2008년 : Onward Beach Resort GUAM
 
* 2007년 ~ 2008년 : 이코스메디 대표
 
* 2008년 ~ 2011년 : 레플 대표
 
* 2009년 ~ 2011년 : 비트룸베네치애 대표
 
* 2011년 ~ 2016년 : ㈜엠케이아이 대표이사 (파인드강사, 디큐브아카데미)
 
* 2016년 ~ : [[㈜미디어케이홀딩스]] 대표이사
 
* 2017년 ~ : [[㈜아우터코리아]] 공동 대표이사 (자회사: 가족이엔티, 오퍼스미디어 / 관계사: 파인드모델, 씨앤씨스쿨 등)
 
* 2018년 ~ : [[스타시아]] 홍콩(STASIA Limited HongKong) 대표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