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블윔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0번째 줄: 20번째 줄:
 
== 티키타카 : 그린과 빔 ==
 
== 티키타카 : 그린과 빔 ==
 
흥미로운 밈블윔블의 백서는 두 명의 개발자에게 영감을 주었다. 한 명은 해리포터의 조상인 '''이그노투스피브렐'''의 익명에 기대어 기부금을 받아 개발을 진행하였고, 다른 한 명은 이스라엘에 영리법인을 세우고 재단을 만들어 개발을 진행했다. 각각, 뿌리는 같았으나 다른 열매로 익어가는 그린(Grin)과 빔(Beam)은 이전부터 지금 현재까지 서로는 열심히 티키타카 중이다.
 
흥미로운 밈블윔블의 백서는 두 명의 개발자에게 영감을 주었다. 한 명은 해리포터의 조상인 '''이그노투스피브렐'''의 익명에 기대어 기부금을 받아 개발을 진행하였고, 다른 한 명은 이스라엘에 영리법인을 세우고 재단을 만들어 개발을 진행했다. 각각, 뿌리는 같았으나 다른 열매로 익어가는 그린(Grin)과 빔(Beam)은 이전부터 지금 현재까지 서로는 열심히 티키타카 중이다.
* 2017.11 : 그린은 개발자 피브렐의 등장 이후 일 년 만에 테스트 넷을 통해 처음 밈블윔블을 구현했다.
+
* 2017.11 : 그린은 개발자 [[피브렐]] 등장 이후 일년 만에 테스트 넷을 통해 처음 밈블윔블을 구현하였다.
* 2018.03 : 빔이 처음 발표되며, 그린은 테스트 넷2를 공개했다.
 
* 2018.06 : 빔은 포지션 페이퍼와 함께 내부 [[PoC]]를 발표한다.
 
* 2018.09 : 그린은 커뮤니티에서 4만 달러를 모았으며, 빔은 테스트 넷과 지갑을 공개했다.
 
* 2019.01 : 그림은 메인 넷을 공개했다.
 
 
=== 그린(Grin) ===
 
=== 그린(Grin) ===
 
그린은 소수의 개발자가 자발적 기부금과 굿즈를 판매하여 개발하고 있다. 개발 속도는 느리지만 비트코인 지지자들에겐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사이트는 비트코인 이외의 지불 수단으로 그린을 추가하였으며, 도메인 소유자인 [[코브라]]는 연일 그린을 칭찬 중이다. [[페이팔]] 창업자의 투자를 받은 VC인 레이어 언 또한 그린의 채굴 풀에 동참한다. 강력한 지지를 받지만 그들은 가난하다. 모금을 받지도 않았으며 투자 또한 받지 않았다. 오로지 자발적 기부금과 굿즈 판매로만 개발비를 모으기에 개발자는 소수이며, 속도도 느릴 수 밖에 없다. 2년이 지나서야 겨우 메인 넷이 들어갔음이다.
 
그린은 소수의 개발자가 자발적 기부금과 굿즈를 판매하여 개발하고 있다. 개발 속도는 느리지만 비트코인 지지자들에겐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사이트는 비트코인 이외의 지불 수단으로 그린을 추가하였으며, 도메인 소유자인 [[코브라]]는 연일 그린을 칭찬 중이다. [[페이팔]] 창업자의 투자를 받은 VC인 레이어 언 또한 그린의 채굴 풀에 동참한다. 강력한 지지를 받지만 그들은 가난하다. 모금을 받지도 않았으며 투자 또한 받지 않았다. 오로지 자발적 기부금과 굿즈 판매로만 개발비를 모으기에 개발자는 소수이며, 속도도 느릴 수 밖에 없다. 2년이 지나서야 겨우 메인 넷이 들어갔음이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