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GBP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바이낸스GBP 로고.png|썸네일|200픽셀|'''바이낸스GBP'''(BGBP)]]
+
'''BGBP는 '''<!--BGBP-->(Binance GBP Stable Coin)'''[[바이낸스]]의'''(Binance)의 첫 [[스테이블코인]]으로 가격이 1BGBP = 1GBP(British Pound)의 비율로 [[GBP]]에 고정된다. BGBP는 항상 은행 계좌에서 바이낸스가 보유한 동일한 금액의 GBP로 100% 지원된다. 즉, 영국 파운드화(GBP)와 1:1로 연동되는 코인이며 [[바이낸스 체인]]을 사용한다. 해당 코인은 2019년 7월 23일 상장을 마쳤다. 바이낸스GBP는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Tether)와 같이 법정화폐의 금리로 수익을 창출한다.
[[파일:바이낸스GBP 글자.png|썸네일|300픽셀|'''바이낸스GBP'''(BGBP)]]
+
 
[[파일:바이낸스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바이낸스]]'''(Binance) 거래소]]
 
  
'''바이낸스GBP''''(Binance GBP) 또는 '''비지비피'''(BGBP)는 "Binance GBP Stablecoin"의 약자로서, 중국 홍콩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가 영국 [[파운드]]화(GBP)에 가치를 연동한 [[스테이블코인]]이다. '''바이낸스 GBP'''<!--바이낸스GBP-->라고도 한다. 바이낸스GBP의 가격은 1BGBP = 1GBP(British Pound)의 비율로 고정되어 있다.<ref> 바이낸스, 〈[https://www.binance.com/en/support/articles/360030827252 “바이낸스 GBP 스테이블코인(BGBP) 상장”]〉, 《바이낸스》, 2019-07-22</ref> BGBP는 항상 은행 계좌에서 바이낸스가 보유한 동일한 금액의 GBP로 100% 지원된다. 즉, BGBP는 영국 [[파운드]]화(GBP)와 1:1로 연동되는 코인이며 [[바이낸스체인]]을 사용한다. 해당 코인은 2019년 7월 23일 상장을 마쳤다. 바이낸스GBP는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Tether)와 같이 법정화폐의 금리로 수익을 창출한다.
 
  
 
==개요==
 
==개요==
바이낸스는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실물화폐 예치금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얻을 전망이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대표격인 [[테더]]가 현재 미국 달러화 예치금에서 이자를 얻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
 
 +
바이낸스는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실물화폐 예치금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을 얻을 전망이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대표격인 테더가 현재 미국 달러화 예치금에서 이자를 얻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배경===
 
===배경===
 +
*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이란?'''
  
;스테이블코인이란?
+
스테이블코인은 불안정한 시세를 보이는 암호화폐에 재화나 다른 FIAT,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코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기존의 화폐 또는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다.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적인 코인의 발행과 가치 보증을 위해 중앙화된 운영기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암호화폐의 시세변동성에 관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기존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빠르고 저렴한 수수료로 해외송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현재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스테이블코인으로는 달러와 1:1로 연동되는 테더(Tether)가 있으며 이외에도 종류별로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이 존재한다.
 
 
 
;의미
 
[[블룸버그]]는 [[바이낸스]]가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면 [[테더]](USDT)에 악재가 될 것으로 봤다. 테더는 미국 달러와 1대1 비율로 가치가 연동되는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이다. 전 세계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 용도로 쓰이면서 '암호화폐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발행량의 74%만을 현금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신뢰를 잃고 있다. 2019년 6월에 발표된 암호화폐 연구기업 DIAR가 출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가 전 세계 테더 거래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낸스가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면 테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바이낸스의 BGBP의 등장으로 테더의 시장 지배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다.<ref>신용수 기자, 〈[https://hkbnews.com/article/view/3341  “바이낸스, 파운드 기반 암호화폐 출시”…바이낸스 GBP]〉,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6-07</ref>
 
 
 
==특징==
 
'''바이낸스 BGBP의 정보'''
 
 
 
해당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info.binance.com/en/currencies/binance-gbp-stable-coin  BGBP코인 정보]
 
  
'''거래 수수료'''
+
*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  
* 기본: 0.1% 거래 수수료.
 
* 계정에 [[BNB]]를 가지고 있다면 거래 수수료는 BNB 잔액에서  자동으로 차감된다. 거래 수수료를 BNB로 지급하면 25% 할인된다.
 
* 거래 수수료는 30일 거래량 (BTC 환산) 과 BNB 잔액으로 결정된다.
 
* 매일 00:00AM(UTC) 최근 30일 거래량과 현재의 BNB 잔액이 계산된다. 계정 등급과 그에 따른 메이커/테이커 수수료는 1시간 뒤에 갱신된다.
 
  
'''거래 규칙'''
+
'''1. 법정화폐 담보형''': 회사 또는 기관이 본인 계좌에 법정화폐(달러, 파운드 등)를 담보로 예치한 후, 그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1:1의 비율로 환전할 수 있다. ex)Tether(USDT), True USD(TUSD)
* 해당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binance.com/en/support/articles/115000594711 BGBP코인 거래 규칙]
 
  
{{각주}}
+
'''2. 암호화폐 담보형''': 법정화폐 담보형과 동일하지만 법정화폐가 아닌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가치를 담보로 삼는 것을 뜻한다. ex)BitShare(BTS), MakerDAO(DAI)
  
==참고자료==
+
'''3. 무담보형''': 아무 담보도 없지만 대신 코인의 가격 즉, 페그(peg)된 자산과의 교환비율이 변동됨에 따라 알고리즘이나 시스템에 의해 오로지 코인의 유통량이 조절됨으로써 코인의 가격이 유지되는 안정적인 암호화폐 ex)Basis(Basecoin)
* 바이낸스GBP 공식 사이트(Binance Jersey 거래소) : https://www.binance.je/ko
 
* 바이낸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inance.com/en
 
* 바이낸스 카카오톡 : https://open.kakao.com/o/gB1Zeunb
 
* 바이낸스 텔레그램 : https://t.me/BinanceKorean
 
* 바이낸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BinanceKorean
 
* 바이낸스 트위터: https://twitter.com/binance
 
* 바이낸스 인스타:https://www.instagram.com/binance
 
  
==같이 보기==
+
'''의미'''
* [[바이낸스]]
 
* [[스테이블코인]]
 
* [[테더]]
 
* [[바이낸스USD]]
 
  
{{암호화폐 종류|토막글}}
+
블룸버그는 바이낸스가 다양한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하면 테더(USDT)에 악재가 될 것으로 봤다.테더는 미국 달러와 1대1 비율로 가치가 연동되는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다. 전 세계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 용도로 쓰이면서 ‘암호화폐 기축통화’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발행량의 74%만을 현금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신뢰를 잃고 있다. 2019년 6월에 발표된 암호화폐 연구기업 DIAR가 출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가 전 세계 테더 거래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낸스가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하면 테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바이낸스의 BGBP의 등장으로 테더의 시장 지배력이 크게 약화할 수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