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바이텀 로고.png|썸네일|200픽셀|'''바이텀'''(Bytom)]]
+
[[파일:바이텀 로고.png|썸네일|200픽셀|'''바이텀'''(Bytom) 로고]]
[[파일:바이텀 글자.png|썸네일|300픽셀|'''바이텀'''(Bytom)]]
+
[[파일:바이텀 글자.png|썸네일|300픽셀|'''바이텀'''(Bytom) 로고]]
  
[[파일:장지아.jpg|썸네일|200픽셀|'''[[장지아]]'''(长铗, Chang Jia) 창시자]]
+
'''바이텀'''(Bytom)은 자산의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바이텀 [[코인]]의 [[화폐]] 단위는 BTM로, 2017년 6월 20일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파일:두안신싱.jpg|썸네일|200픽셀|'''[[두안신싱]]'''(Duan Xinxing) 대표]]
 
[[파일:랑위.jpg|썸네일|200픽셀|'''[[랑위]]'''(朗豫) 최고기술책임자(CTO)]]
 
[[파일:제임스 주.jpg|썸네일|200픽셀|'''[[제임스 주]]'''(James Zhu)]]
 
 
 
'''바이텀'''(Bytom, 比原链)은 자산의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바이텀 [[코인]]의 [[화폐]] 단위는 BTM로, 2017년 6월 20일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바이텀의 창시자는 '''[[장지아]]'''(长铗, Chang Jia)이고, 공동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두안신싱]]'''(段新星, Duan Xinxing)이다.
 
  
 
== 소개 ==
 
== 소개 ==
바이텀은 현실과 가상의 자산 이동을 목표로 개발된 암호화폐 [[플랫폼]]이며,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시켜 모든 자산의 거래를 가능케 하는 쌍방향 [[프로토콜]]이다. 바이텀의 목적은 실물 자산을 디지털 세계에서 관리함으로써 현실의 [[주식채권]], [[지적재산권]] 등을 [[디지털화]]하여 보관, 거래, 교환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보유중인 다양한 실물 자산들, 현금, 부동산, 미술품, 기타 [[코인]] 등을 바이텀 플랫폼에서 [[토큰화]]하거나 동시에 토큰을 실물 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다.<ref>강인귀 기자,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081710508093717 중화권 퍼블릭체인 바이텀, "한국시장 홍보 박차 가할 터"]〉, 《머니에스》, 2018-08-17</ref> 다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다른 [[블록체인]]과 비교했을 때 바이텀은 ‘자산 등록 및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구조 및 UTXO 모델과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고 빠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바이텀의 설립자는 [[우지한]]과 함께 중국 최대 코인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인 8btc를 공동 설립한 [[장 지아]]이다.<ref>나동빈 기자,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78 바이텀]〉, 《비트웹》, 2018-03-12</ref>
+
[[파일:바이텀-01.jpg|썸네일|400픽셀|'''바이텀'''(Bytom)]]
 +
바이텀은 현실과 가상의 자산 이동을 목표로 개발된 암호화폐 [[플랫폼]]이며,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시켜 모든 자산의 거래를 가능케 하는 쌍방향 [[프로토콜]]이다. 바이텀의 목적은 실물 자산을 디지털 세계에서 관리함으로써 현실의 [[주식채권]], [[지적재산권]] 등을 [[디지털화]]하여 보관, 거래, 교환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보유중인 다양한 실물 자산들, 현금, 부동산, 미술품, 기타 [[코인]] 등을 바이텀 플랫폼에서 [[토큰화]]하거나 동시에 토큰을 실물 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다.<ref>강인귀 기자,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081710508093717 중화권 퍼블릭체인 바이텀, "한국시장 홍보 박차 가할 터"]〉, 《MoneyS》, 2018-8-17</ref> 다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다른 [[블록체인]]과 비교했을 때 바이텀은 ‘자산 등록 및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구조 및 UTXO 모델과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고 빠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바이텀의 설립자는 [[우지한]]과 함께 중국 최대 코인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인 8btc를 공동 설립한 [[장 지아]]이다.<ref>나동빈 기자,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78 바이텀]〉, 《Bit Web》, 2018-3-12</ref>
  
 
바이텀 코인의 시세는 다음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이텀 코인의 시세는 다음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16번째 줄: 12번째 줄:
  
 
==등장 배경==
 
==등장 배경==
바이텀을 이해하려면 [[8BTC]]라는 비트코인 [[콘텐츠]] 플랫폼을 먼저 알아야 한다. 8BTC는 2011년에 비트코인 [[온라인]] 매거진으로, 당시 비트코인 [[백서]]를 중국어로 번역하고 비트코인에 대한 소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당시 이 사이트를 만든 사람은 장 지아와 우지한이었다. 그들은 비트코인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8BTC를 2014년에 공식 법인을 [[항저우]]에 설립하며 현존하는 중국의 블록체인 포털사이트로 발전시켰다. 지금은 영역을 확대하여 온라인 매거진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커뮤니티]], [[포럼]], [[아카데미]] 등등 블록체인에 관계된 거의 모든 정보 및 업계 교류를 선도하는 초대형 플랫폼이 되었다.
+
바이텀을 이해하려면 [[8BTC]]라는 비트코인 [[컨텐츠]] 플랫폼을 먼저 알아야 한다. 8BTC는 2011년에 비트코인 [[온라인]] 매거진으로, 당시 비트코인 [[백서]]를 중국어로 번역하고 비트코인에 대한 소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당시 이 사이트를 만든 사람은 장 지아와 우지한이었다. 그들은 비트코인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8BTC를 2014년에 공식 법인을 [[항저우]]에 설립하며 현존하는 중국의 블록체인 포털사이트로 발전시켰다. 지금은 영역을 확대하여 온라인 매거진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커뮤니티]], [[포럼]], [[아카데미]] 등등 블록체인에 관계된 거의 모든 정보 및 업계 교류를 선도하는 초대형 플랫폼이 되었다.
 
설립자 장 지아는 [[공상과학]] 작가였는데, 본래 직업은 토지 공학 연구원이었다. 컴퓨터 공학은 아니지만 공학 연구원이었기 때문에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었다. 작가로써 뛰어난 글쓰기 능력과 IT에 대한 관심 등으로 8BTC라는 비트코인 매거진을 운영했다.
 
설립자 장 지아는 [[공상과학]] 작가였는데, 본래 직업은 토지 공학 연구원이었다. 컴퓨터 공학은 아니지만 공학 연구원이었기 때문에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었다. 작가로써 뛰어난 글쓰기 능력과 IT에 대한 관심 등으로 8BTC라는 비트코인 매거진을 운영했다.
 
이를 바탕으로 8BTC는 2017년 자체 암호화폐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바이텀 이다.<ref>코인 매니저, 〈[https://blog.naver.com/yunho85/221361024543 바이텀 (BTM) - 개념, 특징, 투자가치]〉, 《네이버 블로그》,  2018-9-18</ref>
 
이를 바탕으로 8BTC는 2017년 자체 암호화폐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바이텀 이다.<ref>코인 매니저, 〈[https://blog.naver.com/yunho85/221361024543 바이텀 (BTM) - 개념, 특징, 투자가치]〉, 《네이버 블로그》,  2018-9-18</ref>
27번째 줄: 23번째 줄:
 
*2018년 7월 9일 메인 넷 개선
 
*2018년 7월 9일 메인 넷 개선
 
*2018년 7월 26일 [[스마트 계약]] 체결<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 "[https://bytom.io/ BYTOM]"</ref>
 
*2018년 7월 26일 [[스마트 계약]] 체결<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 "[https://bytom.io/ BYTOM]"</ref>
 
== 주요 인물 ==
 
* '''[[장지아]]'''(长铗, Chang Jia, {{발음|长铗}}) : 바이텀의 창시자이다.
 
* '''[[두안신싱]]'''(段新星, Duan Xinxing, {{발음|段新星}}) : 바이텀의 공동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특징==
 
==특징==
[[파일:바이텀-01.jpg|썸네일|400픽셀|'''바이텀'''(Bytom)]]
 
 
 
===AI가 적용된 작업증명 방식(POW)===
 
===AI가 적용된 작업증명 방식(POW)===
  
43번째 줄: 33번째 줄:
 
===일반 주소 형식===
 
===일반 주소 형식===
 
[[BIP32]], [[BIP43]] 및 [[BIP441]]은 바이텀 지갑 설계에 사용되어 다중 [[통화]], 다중 [[계정]], 다중 [[주소]] 및 [[다중 키]]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개인키]] 하나를 저장하여 모든 자산의 지갑을 제어할 수 있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BIP32]], [[BIP43]] 및 [[BIP441]]은 바이텀 지갑 설계에 사용되어 다중 [[통화]], 다중 [[계정]], 다중 [[주소]] 및 [[다중 키]]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개인키]] 하나를 저장하여 모든 자산의 지갑을 제어할 수 있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국가 암호화 표준과 호환===
+
===국가 [[암호화]] 표준과 호환===
 
바이텀의 자산 관리 및 운영에는 [[개인키]], [[공용키]] 및 주소 시스템이 포함된다. 키 시스템은 [[ESCDA]] 암호화 및 비트코인 설계에서 [[SHA256]] 해시를 통해 달성된다. 바이텀은 공용키 암호화 알고리즘 SM2를 지원한다. SM2는 RSA 및 DSA보다 개인키를 처리하는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암호화 효율성이 향상된다. SM3 알고리즘의 압축 기능은 SHA-256의 구조와 유사하나, 알고리즘의 설계는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압축 기능의 각 라운드에 두 개의 메시지 단어가 사용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바이텀의 자산 관리 및 운영에는 [[개인키]], [[공용키]] 및 주소 시스템이 포함된다. 키 시스템은 [[ESCDA]] 암호화 및 비트코인 설계에서 [[SHA256]] 해시를 통해 달성된다. 바이텀은 공용키 암호화 알고리즘 SM2를 지원한다. SM2는 RSA 및 DSA보다 개인키를 처리하는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암호화 효율성이 향상된다. SM3 알고리즘의 압축 기능은 SHA-256의 구조와 유사하나, 알고리즘의 설계는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압축 기능의 각 라운드에 두 개의 메시지 단어가 사용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ODIN을 사용한 자산 이름 지정===
 
===ODIN을 사용한 자산 이름 지정===
 
자산 이름 지정은 전체 네트워크와 블록체인 전반에서 자산의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ODIN(Open Data Index Name) 표준을 따른다. 다른 블록체인 기반 식별 [[솔루션]]과 달리 ODIN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다중 레벨을 통한 다른 블록체인(공공 블록체인, 컨소시엄 블록체인, 사설 블록체인)의 도입을 지원한다. ODIN은 블록체인 높이를 문자열 등록 대신 명명 인덱스로 사용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자산 이름 지정은 전체 네트워크와 블록체인 전반에서 자산의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ODIN(Open Data Index Name) 표준을 따른다. 다른 블록체인 기반 식별 [[솔루션]]과 달리 ODIN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다중 레벨을 통한 다른 블록체인(공공 블록체인, 컨소시엄 블록체인, 사설 블록체인)의 도입을 지원한다. ODIN은 블록체인 높이를 문자열 등록 대신 명명 인덱스로 사용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트랜잭션의 나머지 데이터와 트랜잭션 서명 분리===
 
===트랜잭션의 나머지 데이터와 트랜잭션 서명 분리===
 
바이텀의 설계에는 다양한 자산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DLT]] [[프로토콜]]이 있다. 동일한 프로토콜을 채택하는 여러 블록체인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교차 체인]] 방식으로 거래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운영자가 동일한 형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바이텀은 자산 관리와 [[동기화]]된 분산 책임자를 분리하기 위한 설계에서 트랜잭션의 나머지 데이터와 트랜잭션 서명을 구분한다. 이러한 설계는 더 나은 프로그래밍 가능성과 계약 지원을 달성하고 향후 바이패스 채널을 위한 예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바이텀의 설계에는 다양한 자산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DLT]] [[프로토콜]]이 있다. 동일한 프로토콜을 채택하는 여러 블록체인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교차 체인]] 방식으로 거래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운영자가 동일한 형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바이텀은 자산 관리와 [[동기화]]된 분산 책임자를 분리하기 위한 설계에서 트랜잭션의 나머지 데이터와 트랜잭션 서명을 구분한다. 이러한 설계는 더 나은 프로그래밍 가능성과 계약 지원을 달성하고 향후 바이패스 채널을 위한 예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사이드체인을 통한 교차 체인 자산 배당 분배===
+
===사이드체인을 통한 교차 체인 [[자산]] 배당 분배===
 
개발자는 바이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X 체인(기타 블록체인) 또는 Xrelay의 작은 버전을 만들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을 통해 API 호출을 수행하여 X 블록체인에 대한 네트워크 활동을 검증함으로써 크로스체인을 달성할 수 있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개발자는 바이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X 체인(기타 블록체인) 또는 Xrelay의 작은 버전을 만들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을 통해 API 호출을 수행하여 X 블록체인에 대한 네트워크 활동을 검증함으로써 크로스체인을 달성할 수 있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거래 유연성 향상===
 
===거래 유연성 향상===
 
이더리움 계정 모델과 달리, BUTXO는 각 미사용 출력물을 하나의 거래로만 인용할 수 있도록 트랜잭션을 [[병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텀은 거래 자체가 다른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미사용 결과만 기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래 이더리움보다 가볍다. 또 다른 특징은, 발신인이 서명한 금액을 신뢰함으로써 블록 내의 모든 트랜잭션이 아니라 관련 트랜잭션만 확인할 수 있는 검증이다. 전체 과정은 [[머클 증거]]를 통해 실현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이더리움 계정 모델과 달리, BUTXO는 각 미사용 출력물을 하나의 거래로만 인용할 수 있도록 트랜잭션을 [[병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텀은 거래 자체가 다른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미사용 결과만 기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래 이더리움보다 가볍다. 또 다른 특징은, 발신인이 서명한 금액을 신뢰함으로써 블록 내의 모든 트랜잭션이 아니라 관련 트랜잭션만 확인할 수 있는 검증이다. 전체 과정은 [[머클 증거]]를 통해 실현된다.<ref name = "바이텀 홈페이지"></ref>
65번째 줄: 53번째 줄:
  
 
장부층(데이터 층)은 허가 필요 없는 공유체인, POW 프로토콜이다. 장부 및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바이텀은 공유체인 상의 비교적 성숙된 [[POW메커니즘]]을 채용 했고 더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인공지능 ASIC칩에 적합한 산법을 채택했다.<ref>byt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ytombtm&logNo=221145300808&navType=tl 바이텀(Bytom), 기술 백서.]〉, 《네이버 블로그》,  2017-11-21</ref>
 
장부층(데이터 층)은 허가 필요 없는 공유체인, POW 프로토콜이다. 장부 및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바이텀은 공유체인 상의 비교적 성숙된 [[POW메커니즘]]을 채용 했고 더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인공지능 ASIC칩에 적합한 산법을 채택했다.<ref>byt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ytombtm&logNo=221145300808&navType=tl 바이텀(Bytom), 기술 백서.]〉, 《네이버 블로그》,  2017-11-21</ref>
 
== 채굴 ==
 
[[파일:앤트마이너 B3.jpg|썸네일|300픽셀|[[비트메인]]의 '''[[앤트마이너 B3]]''' 바이텀 [[채굴기]]]]
 
 
바이텀 코인 전용 채굴기로는 중국 [[비트메인]] 회사가 제조한 [[앤트마이너 B3]] 채굴기가 있다.
 
  
 
==현황==
 
==현황==
88번째 줄: 71번째 줄:
 
* 스팀잇 drunkenjack, 〈[https://steemit.com/kr/@drunkenjack/btm-bytom (BTM) Bytom 바이텀 코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스팀잇》, 2017-09-01
 
* 스팀잇 drunkenjack, 〈[https://steemit.com/kr/@drunkenjack/btm-bytom (BTM) Bytom 바이텀 코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스팀잇》, 2017-09-01
 
* 안승현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3120915161372 지닉스, 새 가상화폐 바이텀 한국 소개..글로벌 밋업 참가]〉, 《파이낸셜뉴스》, 2018-03-12
 
* 안승현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803120915161372 지닉스, 새 가상화폐 바이텀 한국 소개..글로벌 밋업 참가]〉, 《파이낸셜뉴스》, 2018-03-12
* 강인귀 기자,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081710508093717 중화권 퍼블릭체인 바이텀, "한국시장 홍보 박차 가할 터"]〉, 《머니에스》, 2018-08-17
+
* 강인귀 기자, 〈[http://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8081710508093717 중화권 퍼블릭체인 바이텀, "한국시장 홍보 박차 가할 터"]〉, 《MoneyS》, 2018-8-17
* 나동빈 기자,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78 바이텀]〉, 《비트웹》, 2018-03-12
+
* 나동빈 기자,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78 바이텀]〉, 《Bit Web》, 2018-3-12
 
* byt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ytombtm&logNo=221145300808&navType=tl 바이텀(Bytom), 기술 백서.]〉, 《네이버 블로그》,  2017-11-21
 
* byt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ytombtm&logNo=221145300808&navType=tl 바이텀(Bytom), 기술 백서.]〉, 《네이버 블로그》,  2017-11-2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장지아]]
+
* [[암호화폐]]
* [[두안신싱]]
+
* [[암호화폐 종류]]
* [[증권형 토큰]]
 
* [[텐서리티]]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검토 필요}}
 +
{{암호화폐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