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훈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 한국씨아이오포럼 주관 '올해의 CIO'상
 
* 한국씨아이오포럼 주관 '올해의 CIO'상
  
==주요 활동==
+
==주요활동==
 
===통합 디지털 플랫폼 구축===
 
===통합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박훈기는 취임 이후 디지털 분야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비엔케이금융그룹은 2018년 5월 8일 ‘비엔케이 디지털 혁신센터’의 문을 열었다. 이는 그룹의 중·장기적인 디지털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실무조직으로, 그룹 차원의 디지털 사업모델과 금융 서비스를 연구·개발한다. 박훈기 부사장이 처음 맡은 과제는 비엔케이금융그룹의 통합 디지털플랫폼 구축이었다. 비엔케이금융그룹 내에는 계열사별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부산은행의 ‘썸뱅크’, ‘비엔케이굿뱅크’와 경남은행의 ‘투유뱅크’ 등이다. 박훈기 부사장은 “계열사마다 앱이 있지만,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시너지를 내기에는 제약사항이 많다”며 통합 디지털플랫폼 추진 배경에 관해 설명했다. 이어 “통합 디지털플랫폼이 구축되면 어느 계열사 고객이라도 BNK금융그룹의 전체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르면 내년 초 통합 디지털플랫폼을 고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훈기는 취임 이후 디지털 분야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비엔케이금융그룹은 2018년 5월 8일 ‘비엔케이 디지털 혁신센터’의 문을 열었다. 이는 그룹의 중·장기적인 디지털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실무조직으로, 그룹 차원의 디지털 사업모델과 금융 서비스를 연구·개발한다. 박훈기 부사장이 처음 맡은 과제는 비엔케이금융그룹의 통합 디지털플랫폼 구축이었다. 비엔케이금융그룹 내에는 계열사별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부산은행의 ‘썸뱅크’, ‘비엔케이굿뱅크’와 경남은행의 ‘투유뱅크’ 등이다. 박훈기 부사장은 “계열사마다 앱이 있지만,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시너지를 내기에는 제약사항이 많다”며 통합 디지털플랫폼 추진 배경에 관해 설명했다. 이어 “통합 디지털플랫폼이 구축되면 어느 계열사 고객이라도 BNK금융그룹의 전체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르면 내년 초 통합 디지털플랫폼을 고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