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배기가스'''(exhaust gas)는 [[물질]]이 연소·합성·분해될 때 발생되는 기체성 물질이다. [[배출가스]]에 포함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는 [[내연기관]]이 배출하는 기체, 즉 [[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탄화수소]]·[[황산화물]]·[[황화수소]]·[[질소산화물]]·[[암모니아]]·[[오존]]·[[옥시던트]] 등을 말한다. 내연기관은 밀폐된 [[실린더]] 속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混合氣)를 가두고, 압축·점화하여 연료 속의 탄소를 급속히 연소시킨다. 연소 후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신선한 혼합기를 흡입하는데, 이 외부로 버리는 기체가 배기가스이다.
+
'''배기가스'''(exhaust gas)는 [[물질]]이 연소·합성·분해될 때 발생되는 기체성 물질이다. [[배출가스]]에 포함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 배출하는 기체, 즉 [[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탄화수소]]·[[황산화물]]·[[황화수소]]·[[질소산화물]]·[[암모니아]]·[[오존]]·[[옥시던트]] 등을 말한다. 내연기관은 밀폐된 [[실린더]] 속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混合氣)를 가두고, 압축·점화하여 연료 속의 탄소를 급속히 연소시킨다. 연소 후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신선한 혼합기를 흡입하는데, 이 외부로 버리는 기체가 배기가스이다.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많은 것은 자동차의 가솔린 기관이다. 자동차 배기가스 속에는, 대기를 오염시키고 인체에도 해로운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1950년대 미국에서 새로운 공해로 사회문제가 되었다. 배기가스를 규제하기 위한 머스키법이 1970년 9월에 제정되었으며, 한국에서도 1978년 6월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배기가스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배출되는 가스의 양이 많은 것은 자동차의 가솔린 기관이다. 자동차 배기가스 속에는, 대기를 오염시키고 인체에도 해로운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1950년대 미국에서 새로운 공해로 사회문제가 되었다. 배기가스를 규제하기 위한 머스키법이 1970년 9월에 제정되었으며, 한국에서도 1978년 6월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배기가스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