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3번째 줄: 33번째 줄:
 
* 칼라 베어링(collar bearing) - 칼라 베어링은 수평으로 된 축이 스러스트 하중을 받을 때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여러 단의 칼라가 배열되어 있어 베어링의 길이가 길어진다.
 
* 칼라 베어링(collar bearing) - 칼라 베어링은 수평으로 된 축이 스러스트 하중을 받을 때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여러 단의 칼라가 배열되어 있어 베어링의 길이가 길어진다.
  
미끄럼 베어링은 축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회전 중 유막이 불량한 상태에 처하게 되면 베어링 메탈과 축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마멸과 소손이 발생한다. 이에 비추어 베어링 재료는 마멸에 적고 면압 강도와 내식성이 커야 하며 녹아 붙음이 어려운 성질을 요구한다. 단, 이와 같은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재료는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는 금속재료 또는 비금속 재료를 선택 사용한다. 적용가능한 금속재료에는 주철/황동/청동, 화이트 메탈(White metal), 켈밋(Kelmet), 카드뮴 합금, 알루미늄 합금,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이 있으며 이 중에서 오일리스 베어링은 금속 분말을 가압/소결하여 성형한 뒤 윤활유를 입자사이의 공간에 스며들게 한 베어링이다. 비금속재료에는 흑연, 플라스틱, 고무 등이 있다. <ref>기계 공학 기술정보, 〈[https://mechengineering.tistory.com/317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티스토리》, 2016-07-15</ref>
+
미끄럼 베어링은 축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회전 중 유막이 불량한 상태에 처하게 되면 베어링 메탈과 축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마멸과 소손이 발생한다. 이에 비추어 베어링 재료는 마멸에 적고 면압 강도와 내식성이 커야 하며 녹아 붙음이 어려운 성질을 요구한다. 단, 이와 같은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재료는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는 금속재료 또는 비금속 재료를 선택 사용한다. 적용가능한 금속재료에는 주철/황동/청동, 화이트 메탈(White metal), 켈밋(Kelmet), 카드뮴 합금, 알루미늄 합금,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이 있으며 이 중에서 오일리스 베어링은 금속 분말을 가압/소결하여 성형한 뒤 윤활유를 입자사이의 공간에 스며들게 한 베어링이다. 비금속재료에는 흑연, 플라스틱, 고무 등이 있다.
  
 
===구름 베어링===
 
===구름 베어링===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