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제작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부품제작'''<!--부품 제작-->[[기구]], [[기계]]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품]]을 진공주형, [[프레스]] 가공, 절삭가공 등 방식으로 제작화는 과정을 말한다. 부품제작은 조립 라인 등을 통하여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대량생산]] 방식으로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제품의 표준화와 품질보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
'''부품제작'''은 기구, [[기계]]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품]]을 진공주형, [[프레스]] 가공, 절삭가공 등 방식으로 제작화는 과정을 말한다. 부품제작은 조립 라인 등을 통하여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대량생산]] 방식으로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제품의 표준화와 품질보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자동차 배너|제조}}
+
 
  
 
==개요==
 
==개요==
54번째 줄: 54번째 줄:
 
[[압출]](押出, Extrusion)은 재료를 용기에 넣고 가열 또는 가열하지 않은 상태로 특정한 모양의 구멍이 있는 다이를 통해 밀어내 일정하고 긴 모양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다.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주로 사용하며 음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국수나 파스타, 냉면의 면이 길게 뽑아져 나오는 것도 압출을 이용한 것이다. 보급형 [[3D 프린터]]도 필라멘트를 녹여서 얇게 뽑아내는 압출 방식이다. 최종 제품보다는 부품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
 
[[압출]](押出, Extrusion)은 재료를 용기에 넣고 가열 또는 가열하지 않은 상태로 특정한 모양의 구멍이 있는 다이를 통해 밀어내 일정하고 긴 모양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다.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주로 사용하며 음식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국수나 파스타, 냉면의 면이 길게 뽑아져 나오는 것도 압출을 이용한 것이다. 보급형 [[3D 프린터]]도 필라멘트를 녹여서 얇게 뽑아내는 압출 방식이다. 최종 제품보다는 부품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한다.
 
===정밀가공===
 
===정밀가공===
정밀가공(精密加工)은 이름과 같이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기계 부품이나 제품을 만들 때 사용한다. CNC 밀링머신 같은 기계로 정밀하게 깎아서 만든다. 오차가 나면 안 되는 측정 도구, 카메라, 휴대전화 등을 만들 때 사용한다. 정밀가공은 금형 없이 바로 깎아서 만들기 때문에 초기 투자 비용이 적습니다. 금형이 없으니 수정이 쉽고, 수정 자체도 어렵지 않다. 정밀가공은 하나씩 깎아서 만들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싸다.<ref>송혜원, 〈[https://blog.rocketpunch.com/2018/04/05/creatable6/ (제조 가이드) 양산 준비 1. 어떤 제작 방법으로 만들까?]〉, 《로켓펀치 공식 블로그》, 2018-04-05</ref>
+
정밀가공(精密加工)은 이름과 같이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기계 부품이나 제품을 만들 때 사용한다. CNC 밀링머신 같은 기계로 정밀하게 깎아서 만든다. 오차가 나면 안 되는 측정 도구, 카메라, 휴대전화 등을 만들 때 사용한다. 정밀가공은 금형 없이 바로 깎아서 만들기 때문에 초기 투자 비용이 적습니다. 금형이 없으니 수정이 쉽고, 수정 자체도 어렵지 않다. 정밀가공은 하나씩 깎아서 만들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싸다.<ref>송혜원, 〈[https://blog.rocketpunch.com/2018/04/05/creatable6/ [제조 가이드] 양산 준비 1. 어떤 제작 방법으로 만들까?]〉, 《로켓펀치 공식 블로그》, 2018-04-05</ref>
 
 
==동영상==
 
<youtube>2zoCgKWXtJU</youtube>
 
<youtube>b4zDkGNo6sk</youtube>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김영명 기자, 〈[https://www.koreapost.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31 경남도, 자동차부품 제조공정 개선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The Korea Post'', 2020-12-27
+
*  
* 〈[https://www.investkorea.org/ik-kr/cntnts/i-120/web.do 자동차부품]〉, 《인베스트코리아》
 
* 〈[http://www.rating.co.kr/pds/research_link/Rating_Methodology_2014213.pdf 자동차부품]〉, 《한국기업평가》
 
* 송혜원, 〈[https://blog.rocketpunch.com/2018/04/05/creatable6/ (제조 가이드) 양산 준비 1. 어떤 제작 방법으로 만들까?]〉, 《로켓펀치 공식 블로그》, 2018-04-0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기계]]
+
* [[가공]]
* [[부품]]
 
* [[프레스]]
 
* [[제품]]
 
* [[생산]]
 
* [[대량생산]]
 
* [[자동차]]
 
* [[전자]]
 
* [[타이어]]
 
* [[조향장치]]
 
* [[제동장치]]
 
* [[현가장치]]
 
* [[사출]]
 
* [[금형]]
 
* [[금속]]
 
* [[압출]]
 
* [[3D 프린터]]
 
  
 
{{자동차 제조|검토 필요}}
 
{{자동차 제조|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