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아이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산아이디'''<!--분산 아이디--> 또는 '''DID'''<!--디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는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분산신원확인'''<!--분산 신원 확인, 분산 신원확인--> 또는 '''탈중앙화 신원확인'''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분산아이디 서비스로는 한국의 주요 통신사와 은행들이 연합한 '''[[이니셜]]'''(Initial), [[아이콘루프]]를 중심으로 한 '''[[마이아이디]]'''(MyID) 서비스, [[심버스]]를 중심으로 한 '''[[DID포럼]]''', [[코인플러그]]를 중심으로 한  '''[[마이키핀]]'''(MyKeepin) 서비스, '''[[라온시큐어㈜]]'''를 중심으로 한 '''[[옴니원]]''' 등이 있다.
+
'''분산아이디'''<!--분산 아이디--> 또는 '''DID'''<!--디아이디-->(Decentralized Identity)는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분산신원확인'''<!--분산 신원 확인, 분산 신원확인--> 또는 '''탈중앙화 신원확인'''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분산아이디 서비스로는 한국의 주요 통신사와 은행들이 연합한 '''[[이니셜]]'''(Initial), [[아이콘루프]]를 중심으로 한 '''[[마이아이디]]'''(MyID) 서비스, [[심버스]]를 중심으로 한 '''[[DID포럼]]''', [[코인플러그]]를 중심으로 한  '''[[마이키핀]]'''(MyKeepin) 서비스, [[라온시큐어㈜]]를 중심으로 한 '''[[옴니원]]''' 등이 있다.
  
 
==개요==
 
==개요==
10번째 줄: 10번째 줄:
  
 
==특징==
 
==특징==
=== 신원관리 ===
+
===이용자가 신원 정보 통제===
분산아이디는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신원정보가 관리되지 않으므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운영 중지 등 외부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정보 유효성을 유지하고 지속해서 사용 가능하다(지속성). 그리고 피어(Peer) 기반으로 신원정보의 발행ㆍ검증은 특정 기관에 종속적이지 않고, 피어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운영, 누구나 필요한 신원 정보를 생성ㆍ이용 가능하며, 신원증명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 사용자는 스스로 신원정보를 선택 후 제공, 사용자의 휴대성을 위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모바일 아이디, 칩이 내장된 실물카드 형태의 아이디 카드 등으로 이용 가능하여 휴대성이 있다. 또한, 개인의 명시적인 동의 없이는 서비스제공자의 개인정보 활용 등이 제한, 사용자가 신원정보를 스스로 관리하므로, 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 이외의 개인정보 및 타 기관에서의 사용자 서비스 이용 내역 등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분산원장 기반의 신뢰된 아이디 저장소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신원정보는 암호화 등 조치를 수행하거나, 오프체인에 저장함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특징이 있다.
+
분산ID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신분증이다.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화된 신원관리 체계다. 우리가 지갑에 주민등록증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꺼내 나를 증명하는 것처럼, 개인 블록체인 월렛에 내 개인정보를 담아 필요한 때 [[개인키]]를 입력해 나를 증명하는 것이다. (개인)정보사용 및 제공의 주체가 기업에서 개인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산ID를 도입하면 개인이 특정 기관과 상호작용할 때, 신원주체가 그 흐름을 통제할 수 있어 신원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산아이디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신분증으로,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화된 신원관리 체계다. 우리가 지갑에 주민등록증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꺼내 나를 증명하는 것처럼, 개인 블록체인 지갑에 내 개인정보를 담아 필요한 때 [[개인키]]를 입력해 나를 증명하는 것이다. (개인)정보사용 및 제공의 주체가 기업에서 개인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산ID를 도입하면 개인이 특정 기관과 상호작용할 때, 신원주체가 그 흐름을 통제할 수 있어 신원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 신원정보 저장위치 ====
 
:{|class=wikitable width=1000
 
|-
 
|align=center|'''저장위치'''
 
|align=center|'''특징'''
 
|align=center|'''관련 업체'''
 
|-
 
|align=center|분산원장 내 암호화하여 저장
 
|align=center|분산원장 내 신원정보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며,<br>사용자는 복호화에 필요한 키를 관리한다.
 
|align=center|더키닷브이아피(thekey.vip)
 
|-
 
|align=center|사용자 모바일단말 내 저장
 
|align=center|사용자 모바일 내 신원정보가 저장되며,<br>사용자는 서비스제공자에게는 필요한 신원정보만 선택하여 제공이 가능하다.
 
|align=center|소브린(Soverin), 유포트(uPort)
 
|-
 
|align=center|발급기관 내 저장
 
|align=center|신원정보를 발급하는 기관에서 저장하며,<br>사용자가 동의한 경우에만 서비스제공자에게 신원정보를 제공한다.
 
|align=center|시큐어키(Securekey)
 
|}
 
=== 인증 ===
 
OAuth(Open Authorization, Open Authentication)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Third party앱에 제공 없이 인증, 인가를 할 수 있는 오픈 스탠다드 프로토콜이다. OAuth를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메커니즘은 여러 기업에 의해 사용되는데, 이를테면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가 있으며 사용자들이 타사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의 계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허용한다. OAuth가 사용되기 전에는 인증방식의 표준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기본인증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보안상 취약한 구조이다. 기본인증이 아닐 경우는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각자의 개발한 회사의 방법대로 사용자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구글의 AuthSub, AOL의 OpenAuth, 야후의 BBAuth, 아마존 웹서비스 API 등이 있다. OAuth는 이렇게 제각각인 인증방식을 표준화한 인증방식이다. OAuth를 이용하면 이 인증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끼리는 별도의 인증이 필요없다. 따라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듯 OAuth는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구글, 페이스북 등에서 발급한 아이디로 다른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웹이나 앱 접근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분산아이디에서도 이러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분산아이디의 체계는 쉽게 말하자면 분산아이디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은 채 스스로 분산아이디를 발급하는 개념이다. 사용자는 분산아이디를 발급한 이후에, 예를 들어 자신이 대학생이라는 자격증명(Verifiable Claim)을 자신이 재학중인 대학교를 통해서 발급받고 영화관이나 놀이동산에서 대학생임을 인증하여 할인가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체계가 구축되면 군인, 청소년, 직장인(피고용인)임을 인증할 수 있게 된다.
 
 
 
분산아이디인증 아키텍처는 Challenge(요청), Response(회신), Transports(전송)에 근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키텍처 구성시 참고사항은, 1) 요청 시점에서 Relying Party(Service Provider)의 분산아이디를 알고 있는지 여부, 2) 분산아이디인증 요청의 전송 메커니즘, 3) 인증자료의 저장위치, 4) 분산아이디인증 응답의 전송 메커니즘이다. 사용 사례를 보자면 아래와 같다.<ref> 베니, 〈[https://medium.com/@bennedict.jung/did-%EA%B8%B0%EC%88%A0-%EB%B6%84%EC%84%9D-did-auth-1-3c1b4d51c149 (DID 기술 분석)DID Auth-1]〉, 《미디엄》, 2019-07-29</ref>
 
 
 
* 사례 1
 
:1) 신뢰 당사자의 웹 페이지는 신원 소유자의 웹 브라우저에 QR코드(요청 포함)를 표시한다.
 
:2)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은 신원 소유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QR코드(요청 포함)를 스캔한다.
 
:3)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은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에 HTTP POST(회신 포함)를 보낸다.
 
:4)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는 신뢰 당사자의 웹 페이지를 통해 HTTP GET(회신 포함)으로 폴링된다.
 
* 사례 2
 
:1) 신뢰 당사자의 모바일 웹 페이지는 딥링크(요청 포함)를 통해 아이디 소유자의 모바일 앱으로 리디렉션된다.
 
:2) 아이디 소유자의 모바일 앱은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에 대한 응답과 함께 리턴 링크를 연다.
 
:3)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가 신뢰 당사자의 모바일 웹 페이지를 업데이트한다.
 
* 사례 3
 
:1) 신뢰 당사자 웹 페이지에는 신뢰 당사자 웹 서버를 호출하는 링크 또는 버튼이 있다.
 
:2)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는 자격 증명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에 HTTP POST(요청 포함)를 보낸다.
 
:3) 신원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는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에 푸시 알림(요청 포함)을 보낸다.
 
:4) 아이디 소유자의 모바일 앱은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에 HTTP POST(회신 포함)를 보낸다.
 
* 사례 4
 
:1) 신뢰 당사자가 웹 페이지에는 신뢰 당사자 웹 서버를 호출하는 링크 또는 버튼이 있다.
 
:2)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는 자격 증명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에 HTTP POST(요청 포함)를 보낸다.
 
:3) 신원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는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에 푸시 알림(요청 포함)을 보낸다.
 
:4)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은 신원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에 HTTP POST(회신 포함)를 보낸다.
 
:5) 아이디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서비스는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에 HTTP POST(회신 포함)를 보낸다.
 
:6) 신뢰 당사자의 웹서버는 신뢰 당사자의 웹 페이지에 의해 HTTP GET(회신 포함)으로 폴링된다.
 
* 사례 5
 
:1) 신뢰 당사자 웹 페이지에는 신뢰 당사자 웹 서버를 호출하는 링크 또는 버튼이 있다.
 
:2)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는 자격 증명 소유자의 웹 브라우저에 요청이 있는 HTTP 리디렉션을 보낸다.
 
:3) 신원 소유자의 웹 브라우저는 요청된 신원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웹 페이지로 HTTP 리디렉션을 따른다.
 
:4) 신원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웹 페이지는 신원 소유자의 모바일 앱 또는 다른 장치와 선택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5) 아이디 소유자의 분산아이디인증 웹 페이지는 HTTP 응답을 따라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로 이동한다.
 
:6) 신뢰 당사자의 웹 서버가 신뢰 당사자의 웹 페이지를 업데이트한다.
 
==== 성인인증 ====
 
주류나, 여타 성인이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인증이 필요하다. 실생활에서는 사용자가 신분증 발급 신청서와 확인 소명 자료를 주민센터에 제출하고 주민센터는 제출 서류로 신분증을 발급해준다. 사용자는 신분증을 수령하고 주류 구매 시 마트 직원에게 신분증을 직접 제시하여 성인인증이 가능하다. 온라인 인증의 경우 사용자가 공인인증서 발급기관 또는 등록 기관(은행/증권사) 방문 후 주민등록증을 제시하면 등록기관에서 공인인증서 발급을 신청하고 발급이 완료되면 기타 저장수단을 통해 공인인증서를 저장한다. 이후 온라인에서 공인인증서와 함께 주민등록번호를 제시함으로써 성인인증이 가능하다.
 
 
 
분산아이디인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인 증명 자료와 요청 정보를 Issuer에게 제출하면, Issuer는 증명 자료와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Verifiable Claim을 발급해준다. 사용자는 Verifiable Claim를 저장하고 온라인 마트에서 주류 구매 시 Verifiable Claim 제출하는 과정으로 성인인증을 한다.<ref name="분산아이디"></ref>
 
=== PPID ===
 
* PPID(Pairwise-pseudonymous DIDs) : 하나의 분산아이디만 있다면, 주민번호와 같이 그 아이디 하나로 개인의 모든 사항을 유추해 볼 수 있게 된다. 분산아이디는 수천개의 개인 분산아이디를 생성해서 각 서비스마다 별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있어, 개인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정보를 유추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 오프체인 개인 데이터(Off-chain private data) : 개인 정보가 아무리 암호화가 되었더라도 공개된 공간에 저장되는 것은 위험성이 크다. 분산아이디는 모든 개인정보를 오프체인으로 자신의 단말에만 저장하고,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만 암호화하여 필요한 곳에만 제공하여, 동의 없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 선택적 공개(Selective disclosure) : 암호학과 영지식증명(zero knowledge proof) 기술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만 노출할 수 있다.<ref name="분산아이디"> 류혁곤, 〈[https://drive.google.com/file/d/1w2pef4nYPyHDc1orfsyxelbZgYYlb-g_/view 류혁곤 아이콘루프 최고기술책임자 분산아이디 발표자료]〉, 《데브그라운드》, 2019-06-28</ref>
 
  
 
==활용==
 
==활용==
93번째 줄: 29번째 줄:
  
 
==== 라온시큐어㈜, 옴니원 ====
 
==== 라온시큐어㈜, 옴니원 ====
라온시큐어가 개발한 [[블록체인]]과 [[생체인증]]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신원 인증 플랫폼이다. [[옴니원]]은 [[DID]] 기술의 국제 표준화와 네트워크 간 거버넌스 표준을 준비하는 글로벌 연합체 ‘[[DID Alliance]]’의 기반 플랫폼이기도 하다.
+
핀테크 업체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과 생체인증을 이용해 개인 신원증명에 필요한 각종 금융거래 절차를 간소화한 애플리케이션(앱) 마이ID(my-ID) 서비스를 12월 중으로 선보인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실명확인징표와 통신사의 휴대폰 본인 인증 정보, 전자서명을 위한 각종 인증서, 금융회사별 계좌번호와 같은 각종 금융정보를 휴대전화 앱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아이콘루프의 이런 서비스를 포함한 총 5건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신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영국과 독일,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산I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ref>유근일기자, 〈[http://www.etnews.com/20190626000360 전자신분증 하나로 티몬에서 바로 물건산다...DID 규제특례 인정, 혁신금융서비스 5건 추가]〉, 《전자신문》, 2019-06-26</ref>
이미 업계에서는 [[옴니원]]을 기술 표준으로 적용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옴니원]]이 공공, 금융분야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블록체인 시범사업 중 하나로, 라온시큐어와 병무청은 2019년 12월에 관련 연구를 마치고 최근 병무청 모바일 앱 내 이용자 인증수단으로 '블록체인 인증'을 추가했다. 기존에는 병무청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때마다 휴대폰 본인인증 혹은 아이피 인증을 거치거나 공인인증서를 이용해야만 로그인을 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불편함이 컸다. 또 보훈처 제출을 위한 병적증명서는 이용자가 직접 종이 문서를 발급 받아야만 하는 구조로 진행됐다. [[DID]]와 간편인증이 도입되면 이용자들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인증과 문서발급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된다. 발급한 문서의 해시값이 블록체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쉽게 위변조 검증을 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정보는 보호된다. 경상남도 역시 지자체 최초로 DID 기반 ‘모바일 도민카드’ 발급을 준비 중이다. 지역 주민들이 도서관, 국립공원 등 지역 기반 시설을 이용할 때 추가적인 개인정보 노출 없이 간편한 신원확인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향후 공공시설 확인, 시험검사, 보조금 및 수당 지급, 공공기관 채용 등에도 DID 기반 비대면 온라인 원스톱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 에이치닥·㈜아이앤텍, 자기 주권 신원지갑 ====
 
==== 에이치닥·㈜아이앤텍, 자기 주권 신원지갑 ====
블록체인 기술 기업 [[에이치닥 테크놀로지㈜]]와 국내 대학 제증명 발급 서비스 기업 [[아이앤텍]]이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양사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서비스는 '자기 주권 신원지갑'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개인의 신원을 분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학(원) 신원 증명을 비롯한 관련 증명서들을 선택적으로 발급·제출 할 수 있다.<ref>황정빈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926160014 에이치닥,아이앤텍과 DID 플랫폼 공동 개발]〉, 《지디넷코리아》, 2019-09-26</ref>
+
블록체인 기술 기업 [[에이치닥 테크놀러지㈜]]와 국내 대학 제증명 발급 서비스 기업 [[아이앤텍]]이 블록체인 기반 DID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양사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서비스는 '자기 주권 신원지갑'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개인의 신원을 분산 저장하고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하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학(원) 신원 증명을 비롯한 관련 증명서들을 선택적으로 발급·제출 할 수 있다.<ref>황정빈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926160014 에이치닥,아이앤텍과 DID 플랫폼 공동 개발]〉, 《지디넷코리아》, 2019-09-26</ref>
  
 
==== ㈜아티프렌즈, 사슬 ====
 
==== ㈜아티프렌즈, 사슬 ====
109번째 줄: 44번째 줄:
  
 
==== ㈜FHL게임즈, 카이보 키핀 ====
 
==== ㈜FHL게임즈, 카이보 키핀 ====
중남미 대표 게임 및 퍼블리싱 플랫폼 사업자인 [[㈜FHL게임즈]]블록체인 관련 산업이 급성장 중인 중남미 지역에,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인 [[카이보닷컴]](Kaybo.com)과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라탐캐시]](Latam Cash)가 결합된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FHL게임즈는 2019년 12월 중 카이보닷컴의 중남미지역 2천만명 이상 유저 대상, DID 및 2 방향 인증시스템을 도입하며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비스를 준비 중이다.<ref>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111000264 ㈜FHL게임즈, 라탐캐시를 결합해 중남미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구축]〉, 《전자신문》, 2019-11-11</ref>
+
중남미 대표 게임 및 퍼블리싱 플랫폼 사업자인 [[㈜FHL게임즈]]블록체인 관련 산업이 급성장 중인 중남미 지역에,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인 [[카이보닷컴]](Kaybo.com)과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라탐캐시]](Latam Cash)가 결합된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FHL게임즈는 2019년 12우러 중 카이보닷컴의 중남미지역 2천만명 이상 유저 대상, DID 및 2 방향 인증시스템을 도입하며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비스를 준비 중이다.<ref>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111000264 ㈜FHL게임즈, 라탐캐시를 결합해 중남미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구축]〉, 《전자신문》, 2019-11-11</ref>
  
 
==== 에듀블록 ====
 
==== 에듀블록 ====
126번째 줄: 61번째 줄:
  
 
==== 후지쯔, 디지털신원교환기술 ====
 
==== 후지쯔, 디지털신원교환기술 ====
[[후지쯔]](Fujitsu)가 블록체인 기반 기술로 온라인 거래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른바 분산형 신원확인 ID 시스템으로 개인과 기업의 온라인 연결장치에 사용자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제공해 확인하는 방식이다. 우선 이들에게 각각 '공유할 수 없는 분산된 원본'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저장하게 한다. 그 후 DID는 위조의 위험정도를 분석해 도출한 사용자의 점수에 따라 부여된 등급평가로 신원여부를 가리게 된다. 후지쯔는 이 시스템으로 불량 에이전트가 제3자와 공모하여 등급평가를 높이는 경우 사용자가 허위임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f>정유림 기자, 〈[https://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5 후지쯔,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기술 개발]〉, 《더비체인》, 2019-07-05</ref>
+
[[후지쯔]](Fujitsu)가 블록체인 기반 기술로 온라인 거래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른바 분산형 신원확인 ID 시스템으로 개인과 기업의 온라인 연결장치에 사용장즤 신뢰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제공해 확인하는 방식이다. 우선 이들에게 각각 '공유할 수 없는 분산된 원본'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저장하게 한다. 그 후 DID는 위조의 위험정도를 분석해 도출한 사용자의 점수에 따라 부여된 등급평가로 신원여부를 가리게 된다. 후지쯔는 이 시스템으로 불량 에이전트가 제3자와 공모하여 등급평가를 높이는 경우 사용자가 허위임을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f>정유림 기자, 〈[https://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5 후지쯔,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기술 개발]〉, 《더비체인》, 2019-07-05</ref>
  
 
==== 시빅, 신원확인 자판기 ====
 
==== 시빅, 신원확인 자판기 ====
159번째 줄: 94번째 줄:
 
* jungho.park, 〈[https://kr.thenodist.com/articles/38421 마하,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온톨로지’와 손잡는다]〉, 《더노디스트》, 2019-08-26
 
* jungho.park, 〈[https://kr.thenodist.com/articles/38421 마하,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온톨로지’와 손잡는다]〉, 《더노디스트》, 2019-08-26
 
* 한치선 심버스 칼럼니스트,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131 (컬럼) DID, 블록체인 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인가? ]〉, 《CCTV뉴스》, 2020-02-03
 
* 한치선 심버스 칼럼니스트,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131 (컬럼) DID, 블록체인 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인가? ]〉, 《CCTV뉴스》, 2020-02-03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8917 (2019 결산-DID) 빅데이터에서 시작된 개인정보보호가 DID까지 나아가다]〉, 《[[비아이뉴스]]》, 2019-11-13
+
* 최규현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8917 [2019 결산-DID] 빅데이터에서 시작된 개인정보보호가 DID까지 나아가다]〉, 《[[비아이뉴스]]》, 2019-11-13
*  류혁곤, 〈[https://drive.google.com/file/d/1w2pef4nYPyHDc1orfsyxelbZgYYlb-g_/view 류혁곤 아이콘루프 최고기술책임자 분산아이디 발표자료]〉, 《데브그라운드》, 2019-06-28
 
* 베니, 〈[https://medium.com/@bennedict.jung/did-%EA%B8%B0%EC%88%A0-%EB%B6%84%EC%84%9D-did-auth-1-3c1b4d51c149 (DID 기술 분석)DID Auth-1]〉, 《미디엄》, 2019-07-29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라온시큐어]]
 
 
* [[이니셜]]
 
* [[이니셜]]
 
* [[마이아이디]]
 
* [[마이아이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