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투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딜걀바구니.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분산투자의 기본 원칙]]
 
[[파일:딜걀바구니.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분산투자의 기본 원칙]]
  
'''분산투자'''<!--분산 투자-->(分散投資, diversified investments)는 [[투자]]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하여 여러 종목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는 투자 방법이다. 그런 점에서 소수의 종목에 투자하는 [[집중투자]]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
'''분산투자'''<!--분산 투자-->(分散投資, diversified investments)는 [[투자]] 위험을 적게 하기 위하여 여러 종목의 증권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는 투자방법이다. 그런 점에서 최고의 수익을 누리고 한 두 가지 종목 위주로 투자하는 [[집중투자]]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 개요 ==
 
== 개요 ==
7번째 줄: 7번째 줄:
  
 
== 상세 ==
 
== 상세 ==
분산투자에 관한 유명한 격언으로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는 말이 있다. 이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리스크를 줄이라는 뜻이 있다. 이 말은 포트폴리오 이론의 창시자 [[해리 마코위츠]]가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예일대 경제학과 교수인 [[제임스 토빈]]이 [[포트폴리오 이론]]을 정립하여 198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는데, 그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간단하게 설명해달라는 말에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아서는 안 됩니다. 바구니를 떨어뜨리면 모든 것이 끝장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대답했다. <ref> 금융감독원, 〈[https://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89288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 《위키트리》, 2012-10-16</ref> 또 다른 분산투자에 관련된 격언으로는‘금융시장의 유일한 공짜 점심은 분산투자’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분산투자는 다양한 투자수단으로 위험을 안정적으로 배분하기 때문에 지혜로운 투자 방식이라는 뜻이다. <ref> 이원재, 〈[http://weekly.donga.com/Main/3/all/11/1794586/1 경제 불안과 수익 격차 심해져 해외 분산투자에 눈 돌린다]〉, 《주간동아》, 2019-07-22</ref>  
+
분산투자에 관한 유명한 격언으로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는 말이 있다. 이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리스크를 줄이라는 뜻이 있다. 이 말은 포트폴리오 이론의 창시자 [[해리 마코위츠]]가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예일대 경제학과 교수인 [[제임스 토빈]]이 [[포트폴리오 이론]]을 정립하여 198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는데, 그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간단하게 설명해달라는 말에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아서는 안 됩니다. 바구니를 떨어뜨리면 모든 것이 끝장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대답했다. <ref> 금융감독원, 〈[https://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89288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 《위키트리》, 2012-10-16</ref> 또 다른 분산투자에 관련된 격언으로는‘금융시장의 유일한 공짜 점심은 분산투자’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분산투자는 다양한 투자수단으로 위험을 안정적으로 배분하기 때문에 지혜로운 투자 방식이라는 뜻이다. <ref> 이원재, 〈http://weekly.donga.com/Main/3/all/11/1794586/1 경제 불안과 수익 격차 심해져 해외 분산투자에 눈 돌린다]〉, 《주간동아》, 2019-07-22</ref>  
  
바로 이 말 안에 분산투자의 핵심적인 개념이 들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포트폴리오 이론에 대해 보충하자면, 이는 여러 종목에 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게 놓으면 그 전보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집중투자에 비해 위험 요소를 사방으로 분산시켜 놓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뜻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A%B8%ED%8F%B4%EB%A6%AC%EC%98%A4_%EC%9D%B4%EB%A1%A0 포트폴리오 이론]〉, 《위키백과》</ref>
+
바로 이 말 안에 분산투자의 핵심적인 개념이 들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포트폴리오]] 이론에 대해 보충하자면, 이는 여러 종목에 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게 놓으면 그 전보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집중투자에 비해 위험 요소를 사방으로 분산시켜 놓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뜻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8A%B8%ED%8F%B4%EB%A6%AC%EC%98%A4_%EC%9D%B4%EB%A1%A0 포트폴리오 이론]〉, 《위키백과》</ref>
  
 
[[파일:분산투자.gif]]  
 
[[파일:분산투자.gif]]  
17번째 줄: 17번째 줄:
 
반대로 체계적 위험도 있는데 이것은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료 경기변동, 물가상승, 정부정책, 이자율 상승 같은 것들이 있다. 체계적 위험 요인들은 주식투자에 있어서 대부분의 기업에 동시에 그리고 비슷한 영향을 미치면서 주가변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체계적 위험은 분산투자를 통해서 없앨 수 없다.
 
반대로 체계적 위험도 있는데 이것은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료 경기변동, 물가상승, 정부정책, 이자율 상승 같은 것들이 있다. 체계적 위험 요인들은 주식투자에 있어서 대부분의 기업에 동시에 그리고 비슷한 영향을 미치면서 주가변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체계적 위험은 분산투자를 통해서 없앨 수 없다.
  
반면, 비체계적 위험은 특정 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영성과, 재무구조, 노사분규, 연구개발, 소송발생 등에 따른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 요인은 일부 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며 개별종목 별로 서로 다른 주가변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위험 요소들을 잘 따져보고, 3~5개 정도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게 좋다. 그래야 비체계적 위험을 상당부문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를 하기 전에 이러한 비체계적 위험을 어떻게 회피할 것인가를 고민해야한다.<ref> 서기수,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9/08/20190806381639.html  주식투자의 체계적·비체계적 위험 이해하기]〉, 《조세일보》, 2019-08-06 </ref>
+
반면, 비체계적 위험은 특정 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영성과, 재무구조, 노사분규, 연구개발, 소송발생 등에 따른 위험이다. 이러한 위험 요인은 일부 기업에만 제한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별종목 별로 소로 다른 주가변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위험 요소들을 잘 따져보고, 3~5개 정도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게 좋다. 그래야 비체계적 위험을 상당부문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를 하기 전에 이러한 비체계적 위험을 어떻게 회피할 것인가를 고민해야한다.<ref> 서기수,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9/08/20190806381639.html  주식투자의 체계적·비체계적 위험 이해하기]〉, 《조세일보》, 2019-08-06 </ref>
  
 
== 장점 ==
 
== 장점 ==
34번째 줄: 34번째 줄:
 
* 여러 종목을 관리하는 데 따른 손실이 발생한다.  
 
* 여러 종목을 관리하는 데 따른 손실이 발생한다.  
 
*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 동영상 ==
 
<youtube>kRSipNZx7Bk</youtube>
 
  
 
{{각주}}
 
{{각주}}
43번째 줄: 40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81395&cid=42111&categoryId=42111 분산투자]〉,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81395&cid=42111&categoryId=42111 분산투자]〉, 《네이버 지식백과》
 
* NH투자증권, 〈[http://no1nhqv.com/221437903159 나눠 담느냐, 몰아넣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분산투자'vs'집중투자']〉, 《네이버 블로그》, 2019-01-11
 
* NH투자증권, 〈[http://no1nhqv.com/221437903159 나눠 담느냐, 몰아넣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분산투자'vs'집중투자']〉, 《네이버 블로그》, 2019-01-11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360&cid=58783&categoryId=58783 정글경제의 원리-달걀은 어떻게 나눠 담아야 하나?]〉, 《네이버 지식백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