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붕소.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붕소]]
+
'''붕소'''(Boron)은 원자번호 5의 원소로서 기호는 '''B'''이며 '''보론'''(boron)이라고도 부른다. 붕소는 붕사에서 얻어진 붕산을 분리해 생긴 원소로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반금속]]이다. 붕소의 홑원소 물질은 검은색 고체로 아주 단단하며 단일원소 중에서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 붕소는 실온에서 고체 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광물에서 발견되는 원소이다. 자연에서 천연 상태의 붕소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붕소의 [[화합물]]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오래전부터 특수유리 및 에나멜 도료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다. 철과 붕소의 합금인 페로붕소는 제철공장 등에서 용해된 금속이나 합금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첨가한 첨가제인 탈산제로 사용된다. 또, 유리의 원료를 비롯하여 붕산염으로서도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파일:붕소의 준위별 전자 수.png|썸네일|200픽셀|오른쪽|붕소의 준위별 전자 수(2, 3)]]
 
 
 
'''붕소'''(硼素, Boron)은 원자번호 5의 원소로서 기호는 '''B'''이며 '''보론'''(boron)이라고도 부른다. 붕소는 붕사에서 얻어진 붕산을 분리해 생긴 원소로 금속과 비금속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반금속]]이다. 붕소의 홑원소 물질은 검은색 고체로 아주 단단하며 단일원소 중에서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 붕소는 실온에서 고체 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광물에서 발견되는 원소이다. 자연에서 천연 상태의 붕소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붕소의 [[화합물]]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오래전부터 특수유리 및 에나멜 도료의 원료로 잘 알려져 있다. 철과 붕소의 합금인 페로붕소는 제철공장 등에서 용해된 금속이나 합금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첨가한 첨가제인 탈산제로 사용된다. 또, 유리의 원료를 비롯하여 붕산염으로서도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천연의 붕소에는 질량수 10과 11의 붕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질량수 10의 붕소(B-10)가 약 20% 존재한다. B-10의 열중성자 흡수단면적이 4,017 barn으로써 크기 때문에 카드뮴(Cd)나 하프늄(Hf)과 함께 봉형태로 가공하여 원자로에 장착하여 원자로의 반응도 제어에 사용된다. 가압경수로에서는 잉여반응도 제어 목적으로 수용성 붕산(H₃BO₃)으로 만들어 냉각재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또 B-10(n, α) 반응에 의해 생기는 α선을 이용하여 중성자를 계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다. 핵의료에서는 붕소의 화합물을 뇌종양 등의 병소(病巢) 내에 주입하여 원자로로부터 방출하는 열중성자선을 조사하여 병소 내에서 B-10(n, α) 핵반응에 의해 발생한 α선을 병소부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을 파괴하여 치료하는 방법(BNCT)이 있다.
 
천연의 붕소에는 질량수 10과 11의 붕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질량수 10의 붕소(B-10)가 약 20% 존재한다. B-10의 열중성자 흡수단면적이 4,017 barn으로써 크기 때문에 카드뮴(Cd)나 하프늄(Hf)과 함께 봉형태로 가공하여 원자로에 장착하여 원자로의 반응도 제어에 사용된다. 가압경수로에서는 잉여반응도 제어 목적으로 수용성 붕산(H₃BO₃)으로 만들어 냉각재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또 B-10(n, α) 반응에 의해 생기는 α선을 이용하여 중성자를 계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다. 핵의료에서는 붕소의 화합물을 뇌종양 등의 병소(病巢) 내에 주입하여 원자로로부터 방출하는 열중성자선을 조사하여 병소 내에서 B-10(n, α) 핵반응에 의해 발생한 α선을 병소부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을 파괴하여 치료하는 방법(BNCT)이 있다.
 
붕소는 [[하이니켈 배터리]]의 [[양극재]] 코팅물질로 쓰이고 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 연구팀은 미 MIT 대학 쥐 리(Ju Li)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저해하는 양극재 입자의 미세균열과 화학적 불안정성을 보호제인 '''[[코발트]]-붕소 화합물(CoxB, 코발트 보라이드)'''로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상온에서, 입자 표면뿐만 아니라 입자 내부까지 골고루 침투시켜 코팅할 수 있어 양극재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 개발한 코팅물질을 쓴 배터리 셀은 수백회의 충·방전 이후에도 재료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상용 양극재 대비 약 20%나 향상된 수명을 보였다고 밝혔다.<ref>최상국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346508 UNIST, 하이니켈 배터리 수명 20% 늘린 양극재 코팅 기술 개발]〉, 《아이뉴스24》, 2021-03-02</ref>
 
  
 
== 개요 ==
 
== 개요 ==
32번째 줄: 27번째 줄:
 
H₃BO₃(붕산) 붕소와 수소로만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 집단을 보레인(borane) 화합물이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보레인은 BH₃이다. 이 분자는 여섯 개의 원자가 전자만 갖는다. 따라서 팔전자 규칙의 예외이다. 결과적으로 BH₃은 자기 스스로 반응하여 다이보레인(diborane, B2H₆)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Lewis 산-염기 반응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각 BH₃에서 하나의 BH 결합 전자 쌍이 다른 분자에게 전자 주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다이보레인은 수소 원자가 두 개 결합을 생성하는 특이한 분자이다. 다리놓인 수소(bridging hydrogen)라고 하는 이러한 수소는 흥미로운 화학 반응성을 보인다. 두 개의 붕소 원자 간에 수소 원자의 공유는 각 붕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결핍을 다소 보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보레인은 격렬하게 반응하는 큰 분자이고, 공기 중에서 자발적 가연성이다. 산화 붕소나 탄화 붕소는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희귀하다는 이유로, 잘 쓰이지 않는다.
 
H₃BO₃(붕산) 붕소와 수소로만 구성되어 있는 화합물 집단을 보레인(borane) 화합물이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보레인은 BH₃이다. 이 분자는 여섯 개의 원자가 전자만 갖는다. 따라서 팔전자 규칙의 예외이다. 결과적으로 BH₃은 자기 스스로 반응하여 다이보레인(diborane, B2H₆)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Lewis 산-염기 반응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각 BH₃에서 하나의 BH 결합 전자 쌍이 다른 분자에게 전자 주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다이보레인은 수소 원자가 두 개 결합을 생성하는 특이한 분자이다. 다리놓인 수소(bridging hydrogen)라고 하는 이러한 수소는 흥미로운 화학 반응성을 보인다. 두 개의 붕소 원자 간에 수소 원자의 공유는 각 붕소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결핍을 다소 보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이보레인은 격렬하게 반응하는 큰 분자이고, 공기 중에서 자발적 가연성이다. 산화 붕소나 탄화 붕소는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희귀하다는 이유로, 잘 쓰이지 않는다.
  
== 용도 ==
 
=== 유리 ===
 
붕소의 색상은 흑회색이지만 유리(주로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됨)에 섞으면 투명해지며, 붕소를 포함한 유리는 열팽창률이 작아 내열유리, 조리용 주전자, 화학실험 플라스크, 비커 등에 사용된다. 붕산을 포함한 붕산수는 고속 중성자를 매우 잘 흡수하기 때문에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담구어 보관하거나 원자로의 비상냉각시스템에 쓰인다.
 
 
=== 약품 ===
 
붕산(H₃BO₃)은 살균작용이 있어 바퀴벌레약이나 눈 세정제 등의 약품에 널리 사용된다.
 
 
=== 원자력 ===
 
10B 동위원소는 열중성자를 아주 잘 포획하는데, 중성자의 에너지에 따라 다르지만, 그 능력은 11B의 대략 100만 배 정도이다. 이 때문에 10B 동위원소 화합물들은 원자력 산업에서 핵반응 조절제, 응급 핵반응 중지제, 그리고 핵연료 재충전을 위한 가동 정지제로 사용된다.
 
 
=== 초전도체 ===
 
2001년 일본 아오야마가쿠인(靑山學院) 대학의 아키미츠 준(秋光純) 교수팀이 이붕화 마그네슘(MgB₂)이 39K라는 비교적 고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재미 한국인 과학자인 최형준 박사가 그 초전도성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B%B6%95%EC%86%8C 붕소]〉,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B6%95%EC%86%8C 붕소]〉, 《위키백과》
51번째 줄: 32번째 줄:
 
* 〈[https://blog.lgchem.com/2019/09/04_boron/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056, 원자번호 5번 '붕소'를 소개합니다.]〉, 《LG케미토피아 블로그》, 2019-09-04
 
* 〈[https://blog.lgchem.com/2019/09/04_boron/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056, 원자번호 5번 '붕소'를 소개합니다.]〉, 《LG케미토피아 블로그》, 2019-09-04
 
* 〈[https://atomic.snu.ac.kr/index.php/%EB%B6%95%EC%86%8C 붕소]〉, ''Atomic Wiki''
 
* 〈[https://atomic.snu.ac.kr/index.php/%EB%B6%95%EC%86%8C 붕소]〉, ''Atomic Wiki''
* 최상국 기자, 〈[http://www.inews24.com/view/1346508 UNIST, 하이니켈 배터리 수명 20% 늘린 양극재 코팅 기술 개발]〉, 《아이뉴스24》, 2021-03-02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붕산리튬]]
 
* [[붕산리튬]]
  
{{원소|검토 필요}}
+
{{배터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