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투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블록체인 투표'''<!--블록체인투표-->(blockchain voting)란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투표]]를 말한다. 기존의 [[온라인투표]] 방식은 중앙화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사람이나 해커가 데이터를 위변조함으로써 투표 결과를 조작할 위험이 있었으나, 블록체인 투표 기술을 사용하면 이러한 위변조 가능성을 차단하고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코인플러그]]가 '''[[더폴]]'''(Thepol) 앱을 통해, 블록체인 투표와 [[분산아이디]](DID) 기술 기반 [[익명성]]을 실현하였다.
+
== 개요 ==
 
+
== 등장배경 ==
 
== 특징 ==
 
== 특징 ==
 
;블록체인 투표의 특징  
 
;블록체인 투표의 특징  
10번째 줄: 10번째 줄:
  
 
;블록체인 투표의 장점
 
;블록체인 투표의 장점
* 시간 및 비용 절감 :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선거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
* 시간 및 비용 절감 :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선거 스포세스를 간소화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 시민 참여 증대 : 직접투표는 모든 사람이 참여하기 힘들지만 투표방식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더 많은 사람들의 정책참여  
 
* 시민 참여 증대 : 직접투표는 모든 사람이 참여하기 힘들지만 투표방식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더 많은 사람들의 정책참여  
 
* 보안성 및 신뢰성 확보 : 투표의 비밀보장 및 개인정보 보안 문제, 투표권의 남용과 조작과 우려가 존재한다.
 
* 보안성 및 신뢰성 확보 : 투표의 비밀보장 및 개인정보 보안 문제, 투표권의 남용과 조작과 우려가 존재한다.
59번째 줄: 59번째 줄:
 
=== 스페인 ===
 
=== 스페인 ===
 
;아고라 보팅  
 
;아고라 보팅  
스페인의 신생정당 '포데모스'가 당내 의사결정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를 도입했다. ‘아고라보팅(Agora Voting)’ 이라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웹을 통해 편리하게 유권자 등록 및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유권자의 컴퓨터에서만 투표 전 과정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개의 잠금 장치와 키 암호로 투표 내용을 보호하게 되며 포데모스 집행부 26명은 아고라 투표(Agora Voting)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 시스템을 통해 모두 선출됐다. 이를 2014년 창당한 정당 ‘포데모스’ 에서 당내 의사결정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
스페인의 신생정당 '포데모스'가 당내 의사결정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를 도입했다.‘아고라보팅(Agora Voting)’이라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웹을 통해 편리하게 유권자 등록 및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유권자의 컴퓨터에서만 투표 전 과정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개의 잠금 장치와 키 암호로 투표 내용을 보호하게 되며 포데모스 집행부 26명은 아고라 투표(Agora Voting)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 시스템을 통해 모두 선출됐다. 이를 2014년 창당한 정당 ‘포데모스’ 에서 당내 의사결정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아고라 투표 특징  
 
;아고라 투표 특징  
101번째 줄: 101번째 줄:
  
 
=== 일본 ===
 
=== 일본 ===
일본 이바라키현의 쓰쿠바시가 블록체인 기술 기반 투표 시스템을 시범 운용했다. 일본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 투표 시스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2015년에 처음 소개된 마이 넘버 카드(My Number Card)라는 신분증이 필요하다. 쓰쿠바 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선거가 사회정책을 위해 이행됐다고 전했다. 거주민들은 암 진단 기술 개발, 실외 스포츠 인프라 구축 등 13개의 제안된 사회정책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번 선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ref>이동혁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8566 일본 연구 및 교육도시, 블록체인 기술로 선거 진행]〉,  《블록인프레스》, 2018-09-04</ref>
+
일본 이바라키현의 쓰쿠바 시가 블록체인 기술 기반 투표 시스템을 시범 운용했다. 일본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 투표 시스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2015년에 처음 소개된 마이넘버카드(My Number Card)라는 신분증이 필요하다. 쓰쿠바 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선거가 사회정책을 위해 이행됐다고 전했다. 거주민들은 암 진단 기술 개발, 실외 스포츠 인프라 구축 등 13개의 제안된 사회정책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번 선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ref>이동혁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8566 일본 연구 및 교육도시, 블록체인 기술로 선거 진행]〉,  《블록인프레스》, 2018-09-04</ref>
  
 
=== 러시아 ===
 
=== 러시아 ===
 
2017년 12월 전자투표 시스템 Active Citizen(2004년 출시)을 블록 체인으로 구현하는 파일럿 프로젝트 발표 <ref>〈[http://www.election.go.kr/cmm/dozen/viewDetail.do?atchFileId=4683b12a34b9b44dee57b1be25b920f9686f1a0b951366ad84d367673f9b548e&fileSn=1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04-22</ref>
 
2017년 12월 전자투표 시스템 Active Citizen(2004년 출시)을 블록 체인으로 구현하는 파일럿 프로젝트 발표 <ref>〈[http://www.election.go.kr/cmm/dozen/viewDetail.do?atchFileId=4683b12a34b9b44dee57b1be25b920f9686f1a0b951366ad84d367673f9b548e&fileSn=1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04-22</ref>
 
러시아 사라토프주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투표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암호화폐 매체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12월 12일 러시아 남부 사라토프 주는 청소년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에 카스퍼스키랩이 개발한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 ‘폴리스(Polys)’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ref>김수찬 기자, 〈[https://www.hkbnews.com/article/view/1456 러시아서도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실전 투입]〉,  《한국블록체인뉴스》 2018-12-19</ref>
 
  
 
{{각주}}
 
{{각주}}
126번째 줄: 124번째 줄:
 
* [[투표]]
 
* [[투표]]
 
* [[온라인투표]]
 
* [[온라인투표]]
* [[더폴]]
 
  
 
{{블록체인 서비스|검토 필요}}
 
{{블록체인 서비스|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