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바이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블루바이칼 로고.png|썸네일|200픽셀|'''블루바이칼'''(Blue Baikal)]]
+
[[파일:BBC_image.png|썸네일|200픽셀|오른쪽|'''블루바이칼코인(BBC) 로고''']]
[[파일:블루바이칼 글자.png|썸네일|300픽셀|'''블루바이칼'''(Blue Baikal)]]
+
[[파일:블루바이칼_로고와글자.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블루바이칼코인(BBC) 로고와글자''']]
 +
'''블루바이칼코인(BlueBaikalCoin)'''은 블록체인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SNS]] 플랫폼인 블루바이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BBC 또는 BBC Token이라고도 한다.
  
[[파일:루니버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루니버스]]'''(Luniverse)]]
+
== 개요 ==
 
 
'''블루바이칼'''<!--블루 바이칼-->(Blue Baikal)은 블록체인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블루바이칼코인'''<!--블루 바이칼 코인-->(Blue Baikal Coin)이라고도 한다. 영어 약자로 '''BBC''' 또는 '''BBC토큰'''<!--BBC 토큰-->이라고도 한다. 블루바이칼은 '''[[루니버스]]'''(Luniverse) 기반의 [[디앱]]이다.
 
  
== 개요 ==
+
블루바이칼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1인 미디어([[인플루언서]]), 콘텐츠 소비자를 연결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과 이익을 극대화 하고 이렇게 얻게 된 이익을 생태계 참여자들이 골고루 나눠 갖는 이상적인 생태계를 지향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치 사슬의 각 단계별(콘텐츠 기획 및 제작, 콘텐츠 배급 및 유통, 콘텐츠 소비)로 콘텐츠 소비자의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보고, 참여로 성장하여 얻게 된 이익을 투자자, 사용자, 공급자에게 기여도에 따라 정당하게 암호화폐(BBC)로 보상하는 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BBC Token은 이를 위해 투자자에게는 투자를 위한 재화로서, 사용자(소비자)에게는 자신의 노력 및 데이터 공유에 따른 보상 방법으로, 공급자(제작자)에게는 제작비 확보 및 직접 마케팅 방법으로 제공된다.  
블루바이칼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1인 미디어([[인플루언서]]), 콘텐츠 소비자를 연결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과 이익을 극대화하고 이렇게 얻게 된 이익을 생태계 참여자들이 골고루 나눠 갖는 이상적인 생태계를 지향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치 사슬의 각 단계별(콘텐츠 기획 및 제작, 콘텐츠 배급 및 유통, 콘텐츠 소비)로 콘텐츠 소비자의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보고, 참여로 성장하여 얻게 된 이익을 투자자, 사용자, 공급자에게 기여도에 따라 정당하게 암호화폐(BBC)로 보상하는 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BBC토큰은 이를 위해 투자자에게는 투자를 위한 재화로서, 사용자(소비자)에게는 자신의 노력 및 데이터 공유에 따른 보상 방법으로, 공급자(제작자)에게는 제작비 확보 및 직접 마케팅 방법으로 제공된다.  
 
  
 
== 서비스 특징 ==
 
== 서비스 특징 ==
13번째 줄: 11번째 줄: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주제 중심의 보상형 소셜 미디어
+
<ul>
* 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음악, 도서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리뷰 및 관련 영상 등을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
+
<li>엔터테인먼트 주제 중심의 보상형 소셜 미디어</li>
* 리뷰 및 영상 등을 올린 인플루언서에게는 크리에이션 보상을, 좋은 리뷰 및 영상 글을 추천하는 이에게는 큐레이션 보상을 제공
+
<li>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음악, 도서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리뷰 및 관련 영상 등을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li>
* 본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가 1인 미디어(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가능하도록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연동 오픈
+
<li>리뷰 및 영상 등을 올린 인플루언서에게는 크리에이션 보상을, 좋은 리뷰 및 영상 글을 추천하는 이에게는 큐레이션 보상을 제공</li>
* 블루 바이칼 서비스 운영자는 리뷰 콘테스트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
<li>본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가 1인 미디어(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가능하도록 마케팅 지원 서비스를 연동 오픈</li>
 
+
<li>블루 바이칼 서비스 운영자는 리뷰 콘테스트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li>
 +
</ul>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상품을 파는 스토어 서비스
+
<ul>
* 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음악, 도서 문 등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상품을 판매하는 스토어
+
<li>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상품을 파는 스토어 서비스</li>
* 사용자는 BBC Token을 활용해 관련 상품을 구매하고 즐길 수 있음
+
<li>영화, TV 프로그램, 게임, 음악, 도서 문 등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 상품을 판매하는 스토어</li>
 
+
<li>사용자는 BBC Token을 활용해 관련 상품을 구매하고 즐길 수 있음</li>
 +
</ul>
 
===인큐베이팅===  
 
===인큐베이팅===  
* 신규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
<ul>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자가 자신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투자에 대한 보상 정책을 제시하고 블루바이칼 사용자가 그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돕는 서비스
+
<li>신규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li>
* 각 프로젝트 투자는 BBC Token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음
+
<li>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자가 자신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투자에 대한 보상 정책을 제시하고 블루바이칼 사용자가 그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돕는 서비스</li>
 
+
<li>각 프로젝트 투자는 BBC Token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음</li>
 +
</ul>
 
== 적용기술 레이어 ==
 
== 적용기술 레이어 ==
[[파일:블루바이칼 적용기술레이어.PNG|썸네일|500픽셀|'''적용 기술 레이어''']]
+
[[파일:블루바이칼 적용기술레이어.PNG|썸네일|500픽셀|'''적용기술 레이어''']]
 +
=== Blockchain 레이어 ===
 +
블루바이칼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블록체인 부분의 레이어를 말한다. 본 블록체인 레이어는
 +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Side Chain]], [[스마트 컨트랙트]], [[POA]]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 블록체인 레이어 ===
+
=== Platform 레이어 ===
블루바이칼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블록체인 부분의 레이어를 말한다. 본 블록체인 레이어는 '''[[루니버스]]'''(Luniverse)가 제공하는 [[사이드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권위증명]](PoA)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
블록체인 레이어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
레이어이다. 블록체인 데이터와 일반 데이터를 통합 조회, 게시, 결제 등 사용자의 서비스
 +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다.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 및
 +
AI 지원 기능 등 경쟁력을 갖는 서비스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것이
 +
. 본 레이어는 루니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 외에 블루바이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성/
 +
운영하기 위한 별도 구조가 결합된 형태가 될 것이다.
  
=== 플랫폼 레이어 ===
+
=== Application 레이어 ===
블록체인 레이어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레이어이다. 블록체인 데이터와 일반 데이터를 통합 조회, 게시, 결제 등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다.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 및 AI 지원 기능 경쟁력을 갖는 서비스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것이다. 본 레이어는 루니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 외에 블루바이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성 운영하기 위한 별도 구조가 결합된 형태가 될 것이다.
+
블루바이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하는 애플리케이션 부분을 말하며 , 소셜 서비스, 콘텐츠 스토어, 인큐베이팅 서비스의 기본 화면 및 사용 환경과 관련된 모든 기능으로 구성된다. 월렛, Vault 서비스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편의 기능을 활용함과 동시에 독특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UX, 기능, 콘텐츠들을 본 레이어에 적용할 예정이다.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
 
블루바이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하는 애플리케이션 부분을 말하며 , 소셜 서비스, 콘텐츠 스토어, 인큐베이팅 서비스의 기본 화면 및 사용 환경과 관련된 모든 기능으로 구성된다. 월렛, Vault 서비스 등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편의 기능을 활용함과 동시에 독특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UX, 기능, 콘텐츠들을 본 레이어에 적용할 예정이다.
 
  
 
== 로드맵 ==
 
== 로드맵 ==
[[파일:04 roadmap.png|350픽셀|섬네일|오른쪽|'''블루바이칼 로드맵''']]
+
[[파일:bbc_roadmap.png|350픽셀|섬네일|오른쪽|'''블루바이칼 로드맵''']]
 +
블루바이칼의 주요 기능들은 약 2년의 기간에 걸쳐 개발될 예정이다. 2019년에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런칭을 시작으로 유저 모집 상황 및 서비스 성장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콘텐츠 스토어, 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오픈하고자 한다.콘텐츠 제작사와의 제휴 및 콘텐츠 수급 등의 사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이미 운영중인 소셜 서비스 알파 버전은 [[Steem]] 블록체인 기반의 [[Dapp]]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소셜 미디어 운영 방향을 탐색하는 테스트 버전이다. 소셜 서비스 베타 버전부터는 [[루니버스]] 기반으로 개발 및 출시된다.또한 BBC Token의 사용성 확장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와의 협력 관계 형성 및 토큰 이코노미 연동형 서비스 개발에 대한 전략을 준비중이다. 진행상황은 https://www.bluebaikal.io/kr/ 및 공식 채널을 통해 소개할 예정이다.
  
블루바이칼의 주요 기능들은 약 2년의 기간에 걸쳐 개발될 예정이다. 2019년에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런칭을 시작으로 유저 모집 상황 및 서비스 성장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콘텐츠 스토어, 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오픈하고자 한다.콘텐츠 제작사와의 제휴 및 콘텐츠 수급 등의 사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이미 운영중인 소셜 서비스 알파 버전은 [[Steem]] 블록체인 기반의 [[Dapp]]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소셜 미디어 운영 방향을 탐색하는 테스트 버전이다. 소셜 서비스 베타 버전부터는 [[루니버스]] 기반으로 개발 및 출시된다.또한 BBC Token의 사용성 확장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와의 협력 관계 형성 및 토큰 이코노미 연동형 서비스 개발에 대한 전략을 준비중이다. 진행상황은 https://www.bluebaikal.io/kr/ 및 공식 채널을 통해 소개할 예정이다.
 
  
 
== 전망 ==
 
== 전망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제작되고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지금까지의 과정은 최종적으로 그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팬)가 참여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또한 거대 자본을 중심으로 한 산업 구조로 인해 인디 콘텐츠들이 성장하는데 많은 제약이 존재하였다. 블록체인을 통해 콘텐츠 소비자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전체 가치 사슬에 능동적인 주체로서 그 역할을 활발히 할 수 있다면, 현재까지의 제약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 구조는 많은 긍정적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블루바이칼은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의 투자 부문, 콘텐츠 유통 단계 부문, 콘텐츠 출시 후 홍보, 마케팅 및 소비자 확보 단계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비자 및 1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참여 시키고 이들의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엔터테인먼트 산업구조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이다.또한, 지속적으로 국내 및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과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들과의 연동을 진행함으로써 글로벌 유저들에게 편안한 거래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제작되고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지금까지의 과정은 최종적으로 그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팬)가 참여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또한 거대 자본을 중심으로 한 산업 구조로 인해 인디 콘텐츠들이 성장하는데 많은 제약이 존재하였다. 블록체인을 통해 콘텐츠 소비자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전체 가치 사슬에 능동적인 주체로서 그 역할을 활발히 할 수 있다면, 현재까지의 제약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 구조는 많은 긍정적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블루바이칼은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의 투자 부문, 콘텐츠 유통 단계 부문, 콘텐츠 출시 후 홍보, 마케팅 및 소비자 확보 단계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콘텐츠 소비자 및 1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참여 시키고 이들의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엔터테인먼트 산업구조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이다. 현재 BBC Token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제스트]]”에 상장되어 있다. 또한, 간편 [[암호화폐 지갑]]인 ‘[[비트베리]]’에 탑재되어있으며 지속적으로 국내 및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과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들과의 연동을 진행함으로써 글로벌 유저들에게 편안한 거래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
 
 +
 
 +
 
 +
 
 +
 
 +
 
 +
 
 +
 
 +
 
 +
 
 +
 
 +
 
 +
 
 +
 
 +
 
 +
 
 +
 
 +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 블루바이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luebaikal.com
 
* 블루바이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luebaikal.com
* 이한수 기자, 〈[https://hkbnews.com/article/view/3849 블루바이칼, 블록체인 기반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서비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4-11
 
* 한지민 기자, 〈[http://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71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블루바이칼, 신규 이벤트 실행]〉, 《블록체인투데이》, 2019-07-25
 
* 온라인뉴스팀기자,
 
〈[http://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012802109923005009#_enliple 디코인(Dcoin) 거래소, 블루바이칼(Blue Baikal) 프로젝트 상장 및 글로벌 진출 협력 체결]〉, 《디지털타임즈》, 2020-01-28
 
  
== 같이 보기 ==
+
* 이한수 기자, <[https://hkbnews.com/article/view/3849 블루바이칼, 블록체인 기반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서비스]>,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4-11
* [[루니버스]]
+
 
* [[엔터테인먼트]]
+
* 장윤영 기자, <[http://www.etnews.com/20190625000272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소셜 플랫폼 ‘블루바이칼’ 코인제스트 상장]>, 《전자신문인터넷》, 2019-06-25
* [[디코인]]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 한지민 기자, <[http://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71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블루바이칼, 신규 이벤트 실행]>, 《블록체인투데이》, 2019-07-25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