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박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비트박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박스'''(bitbox) 거래소]]
+
[[파일:비트박스 거래소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박스'''(bitbox) 로고]]
[[파일:비트박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박스'''(bitbox) 거래소]]
+
[[파일:비트박스.PNG|썸네일|300픽셀|'''비트박스''' 로고와 글자]]
 
+
[[파일:비트박스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트박스'''(bitbox) 로고와 글자]]
[[파일:링크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링크코인]]'''(Link Coin)]]
 
[[파일:라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라인㈜]]'''(LINE株式会社)]]
 
[[파일:네이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네이버]]'''(Naver)]]
 
  
 
[[비트박스]](bitbox)는 한국 네이버㈜의 자회사인 일본 [[라인]]㈜이 2018년 7월 16일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대표는 라인의 이데자와 다케시이다. 비트박스는 라인 주식회사(LINE Corporation)와 라인의 자회사인 LVC Corporation이 함께 설립한 라인 테크 플러스(LINE Tech Plus, 싱가포르 소재)에서 서비스를 운영한다. 또한 라인은 비트박스 출시와 함께 다양한 [[핀테크]](Fintech) 사업을 이어나가며 글로벌 테크 비즈니스를 선도하고 있다. 비트박스는 15개국 언어(영어, 한국어, 중국어 포함)지원이 가능하며 라인의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 및 UX를 제공한다. [[코인]]의 수는 30종 이상이 암호화폐 거래 시 지원된다. 이와 함께 비트박스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인 라인코인을 발행하였고 사용가능 지역은 일본, 미국 및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 전 세계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ref>남주현 기자,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37940 (가상화폐) 네이버 라인, 이달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연다]〉, 《이투데이》, 2018-07-04</ref> 이와 함께 비트박스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인 가칭 [[라인코인]]을 발행할 예정이다.<ref>김남규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9/2018062901938.html 라인, 블록체인 생태계 강화…거래소 열고 자체 코인 발행]〉, 《IT조선》, 2018-06-29</ref> 서비스 유형은 암호해독교환(Cryptocurrency-to-cryptocurrency)방식을 적용했다.<ref>〈[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8/2306 라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서비스 개시]〉, 《LINE》, 2018-07-18 </ref> 비트박스는 7월 오픈을 기념해, 운영 첫 달 가입한 모든 이용자에게 한달 간 거래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했다. 또한, 선착순 신규 가입자 200만 명을 대상으로 8월 중 1만 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하는 ‘서프라이즈 이벤트’도 진행되었다. <ref> 차지혜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3427 라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오픈]〉, 《토큰포스트》, 2018-07-16 </ref>
 
[[비트박스]](bitbox)는 한국 네이버㈜의 자회사인 일본 [[라인]]㈜이 2018년 7월 16일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대표는 라인의 이데자와 다케시이다. 비트박스는 라인 주식회사(LINE Corporation)와 라인의 자회사인 LVC Corporation이 함께 설립한 라인 테크 플러스(LINE Tech Plus, 싱가포르 소재)에서 서비스를 운영한다. 또한 라인은 비트박스 출시와 함께 다양한 [[핀테크]](Fintech) 사업을 이어나가며 글로벌 테크 비즈니스를 선도하고 있다. 비트박스는 15개국 언어(영어, 한국어, 중국어 포함)지원이 가능하며 라인의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 및 UX를 제공한다. [[코인]]의 수는 30종 이상이 암호화폐 거래 시 지원된다. 이와 함께 비트박스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인 라인코인을 발행하였고 사용가능 지역은 일본, 미국 및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 전 세계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ref>남주현 기자,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37940 (가상화폐) 네이버 라인, 이달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연다]〉, 《이투데이》, 2018-07-04</ref> 이와 함께 비트박스 거래소 자체의 암호화폐인 가칭 [[라인코인]]을 발행할 예정이다.<ref>김남규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9/2018062901938.html 라인, 블록체인 생태계 강화…거래소 열고 자체 코인 발행]〉, 《IT조선》, 2018-06-29</ref> 서비스 유형은 암호해독교환(Cryptocurrency-to-cryptocurrency)방식을 적용했다.<ref>〈[https://linepluscorp.com/pr/news/ko/2018/2306 라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서비스 개시]〉, 《LINE》, 2018-07-18 </ref> 비트박스는 7월 오픈을 기념해, 운영 첫 달 가입한 모든 이용자에게 한달 간 거래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했다. 또한, 선착순 신규 가입자 200만 명을 대상으로 8월 중 1만 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하는 ‘서프라이즈 이벤트’도 진행되었다. <ref> 차지혜 기자, 〈[https://tokenpost.kr/article-3427 라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오픈]〉, 《토큰포스트》, 2018-07-16 </ref>
45번째 줄: 42번째 줄:
 
* [[네이버㈜]]
 
* [[네이버㈜]]
 
* [[라인㈜]]
 
* [[라인㈜]]
* [[링크코인]]
+
* [[라인코인]]
  
{{암호화폐 거래소|검토 필요}}
+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