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인용문|"비트코인에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없지만 이더리움이나 다른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으로 연결하면 비트코인에서도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해 [[사물인터넷]](IoT)를 제어하거나 전자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
 
{{인용문|"비트코인에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없지만 이더리움이나 다른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으로 연결하면 비트코인에서도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해 [[사물인터넷]](IoT)를 제어하거나 전자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
  
사이드체인은 섬처럼 별개로 떨어져 존재하는 다른 블록체인 간에 다리를 놓는 기술로서 세컨드 레이어, [[오프체인 솔루션]]을 포괄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블록체인이 같은 사이드체인 기술을 통해 연결되면 둘은 사이드체인 관계에 있다고 표현한다.<ref name="사이드체인">강민승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1/20886/ 너와 나의 `블록체인` 연결 고리, 사이드 체인]〉, 《매일경제》, 2019-01-10 </ref> 사이드체인은 [[컬러드코인]](Coloredcoin), [[메타코인]](Metacoin), [[멀티시그]](Multi-sig) 기술 등의 유기적 결합물로, [[블록체인]] 상에서 신규자산 발행 및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핵심기술이다. 사이드체인 기법을 통해 서로 다른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자산들을 서로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 위에서 [[비트코인]]을 거래하고, 전혀 다른 텐더민트(Tendermint) 블록체인 위에서 비트코인과 이더(Ether)를 거래하는 것이 가능하다.<ref name="ASH">〈[http://reurl.kr/3254344FTQ 사이드체인]〉 ,  《한승환》 , 2016-07-21</ref>
+
사이드체인은 섬처럼 별개로 떨어져 존재하는 다른 블록체인 간에 다리를 놓는 기술로서 세컨드 레이어, [[오프체인 솔루션]]을 포괄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블록체인이 같은 사이드체인 기술을 통해 연결되면 둘은 사이드체인 관계에 있다고 표현한다. <ref name="사이드체인"> 강민승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1/20886/ 너와 나의 `블록체인` 연결 고리, 사이드 체인]〉, 《매일경제》, 2019-01-10 </ref>
  
 
==등장배경==
 
==등장배경==
27번째 줄: 27번째 줄:
  
 
;특성
 
;특성
사이드체인은 [[PoA]], [[PoS]], [[DPoS]], [[BFT]]계열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사이드체인은 저렴한 수수료, 빠른 트랜잭션 처리 시간으로 메인넷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체인은 각각 존재하는 서로 다른 암호화폐들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기술이다. 사이드체인 기술을 활용할 경우, 해당 암호화폐는 성능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블록체인에서 사이드체인 기술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토큰을 주고받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접근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중간에 [[브릿지 (블록체인)|브릿지]]를 만드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대방 블록체인에 맞게 코드 전체를 수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ref> 유성민 IT칼럼니스트,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C%80%EC%95%88-%EC%B2%B4%EC%9D%B8%EA%B3%BC-%EC%82%AC%EC%9D%B4%EB%93%9C-%EC%B2%B4%EC%9D%B8%EC%9D%80-%EB%AD%98%EA%B9%8C  대안 체인과 사이드 체인은 뭘까]〉,  《The Science Times》 개인 블로그, 2019-08-29</ref>
+
사이드체인은 [[PoA]], [[PoS]], [[DPoS]], [[BFT]]계열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사이드체인은 저렴한 수수료, 빠른 트랜잭션 처리 시간으로 메인넷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체인은 각각 존재하는 서로 다른 암호화폐들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기술이다. 사이드체인 기술을 활용할 경우, 해당 암호화폐는 성능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블록체인에서 사이드체인 기술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토큰을 주고받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접근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중간에 브릿지 만드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대방 블록체인에 맞게 코드 전체를 수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ref> 유성민 IT칼럼니스트,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8C%80%EC%95%88-%EC%B2%B4%EC%9D%B8%EA%B3%BC-%EC%82%AC%EC%9D%B4%EB%93%9C-%EC%B2%B4%EC%9D%B8%EC%9D%80-%EB%AD%98%EA%B9%8C  대안 체인과 사이드 체인은 뭘까]〉,  《The Science Times》 개인 블로그, 2019-08-29</ref>
  
 
===거래방식===
 
===거래방식===
블록체인에서 사이드체인 기술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토큰을 주고받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접근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중간에 [[브릿지 (블록체인)|브릿지]]를 만드는 방식을 사용한다. 브릿지 방식으로는 멀티시그 브릿지, 콜레트럴 브릿지가 많이 쓰이며 브릿지가 없이 작동하는 [[플라즈마]]도 있다. 해당 방식은 상대방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이 달라도 제약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
블록체인에서 사이드체인 기술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토큰을 주고받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접근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중간에 브릿지를 만드는 방식을 사용한다. 브릿지 방식으로는 멀티시그 브릿지, 콜레트럴 브릿지가 많이 쓰이며 브릿지가 없이 작동하는 플라즈마도 있다. 해당 방식은 상대방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이 달라도 제약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멀티시그
 
;멀티시그
36번째 줄: 36번째 줄:
  
 
;브릿지
 
;브릿지
[[브릿지 (블록체인)|브릿지]](bridge)에서는 멀티시그의 다중 서명을 통해 토큰의 출입을 허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토큰을 이동시키는 행위 외에도 검증을 위한 앵커링 작업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사이드체인이 브릿지로 연결되더라도 시스템에 별도의 거래 장부가 필요하지는 않다. 브릿지의 오퍼레이터가 각 체인에 상대방 체인 내역을 모았다가 주기적으로 병합하기 때문이다. 이를 [[앵커링]]이라고 한다. 앵커링 작업은 사이드체인의 스테이트를 검증하고 공유하는 작업이며, 사이드체인의 투명성을 암호학적으로 보장한다. 사이드체인 간 통신을 활발히 하려면 앵커링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브릿지]](bridge)에서는 멀티시그의 다중 서명을 통해 토큰의 출입을 허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토큰을 이동시키는 행위 외에도 검증을 위한 앵커링 작업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사이드체인이 브릿지로 연결되더라도 시스템에 별도의 거래 장부가 필요하지는 않다. 브릿지의 오퍼레이터가 각 체인에 상대방 체인 내역을 모았다가 주기적으로 병합하기 때문이다. 이를 [[앵커링]]이라고 한다. 앵커링 작업은 사이드체인의 스테이트를 검증하고 공유하는 작업이며, 사이드체인의 투명성을 암호학적으로 보장한다. 사이드체인 간 통신을 활발히 하려면 앵커링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멀티시그 브릿지
 
;멀티시그 브릿지
45번째 줄: 45번째 줄:
  
 
;플라즈마
 
;플라즈마
일반적으로 사이드체인의 거래는 브릿지 노드에 의존하면서 [[브릿지 (블록체인)|브릿지]] 문제에 집중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체인 거래에는 브릿지 노드가 필요하지 않다. 브릿지 방식이 아닌 수수료 경제모델에 기반해 오프체인에서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브릿지를 없앰으로써 사용자들이 코인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라즈마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과 블록 생성자를 다루는 정책에 따라 미니멀 바이어블 플라즈마(MVP), 모어 바이어블 플라즈마, 플라즈마캐시, 플라즈마 데빗, 플라즈마 캐시플로우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플라즈마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내부에 작은 블록체인을 만드는 방식이다. 플라즈마는 부모 체인인 이더리움 체인을 상속해 만든 자식 체인이기 때문에 내부에 별도의 합의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더리움 메인체인과 플라즈마는 평소에는 별개의 블록체인으로 존재하지만 필요시 사용자가 백도어를 통해 자발적으로 드나들 수 있다. 또한, 한 명의 오퍼레이터로도 잘 작동하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오퍼레이터의 수를 추가할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느려질 우려가 있다. <ref> Sherman Lee, 〈[https://www.forbes.com/sites/shermanlee/2018/02/07/explaining-side-chains-the-next-breakthrough-in-blockchain/#11bd96a352eb  Explaining Side Chains, The Next Breakthrough In Blockchain]〉,  《Quora》 2018-02-07 </ref>
+
일반적으로 사이드체인의 거래는 브릿지 노드에 의존하면서 브릿지 문제에 집중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체인 거래에는 브릿지 노드가 필요하지 않다. 브릿지 방식이 아닌 수수료 경제모델에 기반해 오프체인에서 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브릿지를 없앰으로써 사용자들이 코인을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라즈마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과 블록 생성자를 다루는 정책에 따라 미니멀 바이어블 플라즈마(MVP), 모어 바이어블 플라즈마, 플라즈마캐시, 플라즈마 데빗, 플라즈마 캐시플로우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 플라즈마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내부에 작은 블록체인을 만드는 방식이다. 플라즈마는 부모 체인인 이더리움 체인을 상속해 만든 자식 체인이기 때문에 내부에 별도의 합의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더리움 메인체인과 플라즈마는 평소에는 별개의 블록체인으로 존재하지만 필요시 사용자가 백도어를 통해 자발적으로 드나들 수 있다. 또한, 한 명의 오퍼레이터로도 잘 작동하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오퍼레이터의 수를 추가할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느려질 우려가 있다. <ref> Sherman Lee, 〈[https://www.forbes.com/sites/shermanlee/2018/02/07/explaining-side-chains-the-next-breakthrough-in-blockchain/#11bd96a352eb  Explaining Side Chains, The Next Breakthrough In Blockchain]〉,  《Quora》 2018-02-07 </ref>
  
==사이드체인 프로젝트==
+
==프로젝트==
{{로고블록150
+
[[파일:루트스탁.png|썸네일|200픽셀|'''루트스탁'''(Rootstock, RSK)]]
|루트스탁||코스모스코인|<!--|폴카닷|-->|아르고||}}
+
기능, 보안 정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드체인 프로젝트가 활동하고 있다.
  
기능, 보안 정도에 따라 다양한 사이드체인 프로젝트가 활동하고 있다.  
+
'''[[루트스탁]]'''(Rootstock)<br>
 +
비트코인에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추가하는 사이드체인 프로젝트다. 비트코인 코드를 개선한 자사의 사이드체인을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연결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다루는 레이어를 추가한다. 비트코인의 코드를 직접 수정하는 작업은 난이도가 높고 결과의 반영이 태생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개발이 어려워 비트코인에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해 기존 기능과 충돌점을 수정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사례가 많다. 이 중 하나가 바로 루트스탁(RSK)이다.
 +
 
 +
[[파일:Cosmos.png|썸네일|150픽셀|'''코스모스'''(Cosmos)]]
  
===루트스탁===
+
[[파일:Polkadot.png|썸네일|200픽셀|'''폴카닷'''(Polkadot)]]
[[루트스탁]](Rootstock)은 [[비트코인]]에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추가하는 사이드체인 프로젝트이다. 비트코인 코드를 개선한 자사의 사이드체인을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연결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다루는 레이어를 추가한다. 비트코인의 코드를 직접 수정하는 작업은 난이도가 높고 결과의 반영이 태생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개발이 어려워 비트코인에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해 기존 기능과 충돌점을 수정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사례가 많다. 이 중 하나가 바로 루트스탁(RSK)이다.
 
  
===코스모스코인===
+
'''[[코스모스]]'''(Cosmos)와 '''[[폴카닷]]'''(Polkadot) <br>
[[코스모스코인]](Cosmoscoin)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허브를 만드는 사이드체인 프로젝트이다. 지금까지 각 체인은 별개로 존재했지만 코스모스를 통하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토큰을 상호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체인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존재하는데 폴카닷의 [[릴레이체인]], 코스모스의 [[허브]] 이에 해당한다.
+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허브를 만드는 사이드체인 프로젝트다. 지금까지 각 체인은 별개로 존재했지만 코스모스를 통하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토큰을 상호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체인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존재하는데 폴카닷의 [[릴레이체인]], 코스모스의 [[허브]] 이에 해당한다. 코스모스, 폴카닷은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중간 신뢰기관 역할을 한다.
  
===폴카닷===
+
[[파일:aergo.png|썸네일|200픽셀|'''아르고'''(Aergo)]]
[[폴카닷]](Polkadot)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중간 신뢰기관 역할을 한다. 폴카닷은 기본 네트워크(릴레이 체인)와 사용자가 만든 네트워크(파라체인)으로 구성된다.
+
'''[[아르고]]'''(Aergo)<br> 
 +
아르고는 프라이빗 체인과 퍼블릭 체인을 연결하는 [[크로스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퍼블릭 아르고 체인과 기업용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으로 연결하려는 취지다. 아르고는 사이드 체인을 연결하는 기존 방식의 브릿지를 대체하기 위해 [[스테이트 루트]] 모델을 적용했다. 스테이트 루트는 모든 종류의 권한을 포함하는 자료구조인데 아르고의 머클 브릿지는 이를 응용한 방식이다. 아르고는 [[머클 트리]]를 통해 사이드체인의 앵커링을 검증하게 된다. 머클 트리에 의해 해시값이 검증되면 별도의 절차 없이 코인의 민팅 작업 등을 바로 할 수 있어 간편하다. 아르고는 특히 연결되는 블록체인이 이더리움 처럼 머클 트리 자료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르고===
+
한편 사이드 체인이 꼭 블록체인일 필요는 없다. 사이드 체인으로도 손색없는 세컨드 레이어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컨드 레이어 솔루션이란 블록체인 외부의 기능을 사용해 트랜잭션이나 발생한 이벤트를 블록에 기록하지 않는 방식을 말한다. 실제로 [[스나크]](zk-SNARK) [[영지식증명]] 레이어를 사이드체인으로 연결해 배치 [[트랜스퍼]] 기능을 사용해 트랜잭션 뭉치를 압축함으로써 서버 단에서 검증 작업의 부하를 줄이기도 한다. 효율적인 세컨드 레이어가 많지만 사이드체인에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주된 이유는 기록과 검증에 있어 블록체인이 갖춘 자료구조가 편리하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아르고]](Aergo)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크로스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퍼블릭 아르고 체인과 기업용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으로 연결하려는 취지다. 아르고는 사이드 체인을 연결하는 기존 방식의 [[브릿지 (블록체인)|브릿지]]를 대체하기 위해 [[스테이트 루트]] 모델을 적용했다.
 
  
 
==확장성==
 
==확장성==
76번째 줄: 78번째 줄:
 
브릿지 방식으로는 멀티시그 브릿지, 콜레트럴 브릿지가 많이 쓰이며 브릿지 없이 작동하는 플라즈마도 있다.<ref> Onur Deler, 〈[https://www.quora.com/What-exactly-are-sidechains-blockchain  What exactly are sidechains? (blockchain)]〉,  《Quora》 2017-07-18</ref>
 
브릿지 방식으로는 멀티시그 브릿지, 콜레트럴 브릿지가 많이 쓰이며 브릿지 없이 작동하는 플라즈마도 있다.<ref> Onur Deler, 〈[https://www.quora.com/What-exactly-are-sidechains-blockchain  What exactly are sidechains? (blockchain)]〉,  《Quora》 2017-07-18</ref>
  
===블록체인의 '확장성' 솔루션 리스트<ref name="한승환"></ref>===
+
'''블록체인의 '확장성' 솔루션 리스트'''<ref name="한승환"></ref>
:{|class=wikitable width=1100
+
:{|class=wikitable width=900
!align=center width=80|
+
!align=center|
 
!align=center|'''사이드체인'''
 
!align=center|'''사이드체인'''
 
!align=center|'''플라즈마'''
 
!align=center|'''플라즈마'''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