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삼성증권㈜ 로고.png|썸네일|200픽셀|'''삼성증권㈜''']]
+
'''삼성증권'''(三星證券, Samsung Securities Co., Ltd.) 또는 '''삼성증권 주식회사'''는 대한민국의 금융 기업으로 삼성그룹 계열의 증권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장석훈]]이다.
[[파일:삼성증권㈜ 글자.png|썸네일|300픽셀|'''삼성증권㈜''']]
 
 
 
'''삼성증권㈜'''<!--삼성증권, 삼성 증권-->(三星證券, Samsung Securities Co., Ltd.)대한민국의 금융 기업으로 [[삼성그룹]] 계열의 증권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장석훈]]이다.
 
{{:자동차 배너}}
 
 
 
== 개요 ==
 
삼성증권㈜의 전신은 1982년 10월 세워진 '''한일투자금융'''이다. 1988년 3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1991년 2월 국제증권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2년 11월 삼성그룹으로 편입되면서 현재의 상호로 변경했다. 1997년 4월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애니넷을 열었다. 1998년 10월 증권카드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은행 서비스 업무를 시작했다. 1998년 12월 국내 최초로 뮤추얼펀드를 판매했으며, 1999년 1월 국내 증권업계 최초로 4대 PC통신을 통한 홈트레이딩시스템을 시작했다. 2000년 12월 삼성투자신탁증권을 흡수 합병했다. 2004년 국내최초의 CMA계좌인 SMA(Samsung Cash Management Account)를 출시했으며, 2005년 PB서비스 브랜드 Fn Honors Club을 런칭했다. 2009년 선진 자산관리 브랜드 ‘POP’을 런칭하고, 세종대로 삼성본관빌딩으로 본사 사옥을 이전했다.
 
 
 
2010년, 국내 금융사 최초로 DJSI(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 World에 편입된 이후 2014년까지 5년 연속 DJSI World에 편입되었다. 2015년 고객중심 경영을 경영철학으로 도입해 고객보호헌장을 선포하고, 각종 제도를 고객중심으로 혁신했다. 2014년 1:1 맞춤형 랩 서비스인 'POP UMA'를 출시했고, 2015년 중국 최대증권사인 중신증권과 사업 전 부문에 걸친 전략적 업무제휴를 맺은바 있다. 삼성증권㈜은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투자자문업, 투자일임업, 집합투자업, 신탁업 등의 사업을 통해 증권중개 및 자산관리, 기업금융과 자금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금융투자회사다.
 
 
 
삼성증권㈜은 뉴욕, 런던, 홍콩 등 주요 금융도시에 현지법인을 두고 있으며, 국내 증권사 중 가장 우수한 네트워크를 보유한 기업 중 하나다.<ref name="n"></ref>
 
  
 
== 연혁 ==
 
== 연혁 ==
* 1982년 : [[한일투자금융]] 설립
+
* 1982년 : 한일투자금융 설립
* 1991년 : [[국제증권]]으로 상호 변경
+
* 1991년 : 국제증권으로 상호 변경
 
* 1988년 : [[증권거래소]] 상장
 
* 1988년 : [[증권거래소]] 상장
* 1992년 : [[삼성그룹]] 편입, 삼성증권㈜로 상호 변경
+
* 1992년 : [[삼성그룹]] 편입, 삼성증권으로 상호 변경
 
* 1997년 : 홈 트레이딩 시스템 '애니넷' 가동
 
* 1997년 : 홈 트레이딩 시스템 '애니넷' 가동
 
* 1998년 : 증권카드로 [[현금인출기]] 등 은행 서비스 제공
 
* 1998년 : 증권카드로 [[현금인출기]] 등 은행 서비스 제공
52번째 줄: 41번째 줄:
  
 
* '''포트폴리오전략 수립을 통한 투자대안 제시'''
 
* '''포트폴리오전략 수립을 통한 투자대안 제시'''
: 고객의 투자목적에 맞는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개발해 개인/법인 고객에게 경쟁력 높은 투자대안과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는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삼성증권㈜의 차별화된 서비스이다.
+
: 고객의 투자목적에 맞는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개발해 개인/법인 고객에게 경쟁력 높은 투자대안과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는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삼성증권의 차별화된 서비스이다.
  
 
* '''채널 특성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 제공'''
 
* '''채널 특성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 제공'''
103번째 줄: 92번째 줄:
  
 
* '''Fixed Income Research'''
 
* '''Fixed Income Research'''
: 국내외 채권시장 및 기업신용 분석, 파생상품, 대체투자상품 전반을 아우르는 통찰력있는 분석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ref>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사업영역 - http://www.samsungsecurities.co.kr/business/individule_finance.do?cmd=list&MenuCode=M010301</ref>
+
: 국내외 채권시장 및 기업신용 분석, 파생상품, 대체투자상품 전반을 아우르는 통찰력있는 분석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ref>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사업영역 - http://www.samsungsecurities.co.kr/business/individule_finance.do?cmd=list&MenuCode=M010301</ref>
  
 
== 영업점 ==
 
== 영업점 ==
삼성증권㈜은 68개의 국내 지점과 사무소를 포함한 5개의 해외 현지법인(홍콩, 뉴욕, 런던, 동경, 북경)을 운영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의 투자기회를 빠르게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
삼성증권은 68개의 국내 지점과 사무소를 포함한 5개의 해외 현지법인(홍콩, 뉴욕, 런던, 동경, 북경)을 운영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의 투자기회를 빠르게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 계열사 ==
 
== 계열사 ==
삼성증권㈜은 삼성그룹 소속이다. 2015년 9월 말 기준으로 삼성그룹을 국내에 64개의 계열회사를 두고 있다. 대표적인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는 다음과 같다.<ref name="n">〈[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06&cid=43167&categoryId=43167 삼성증권]〉, 《네이버 지식백과》</ref>
+
삼성증권은 삼성그룹 소속이다. 2015년 9월 말 기준으로 삼성그룹을 국내에 64개의 계열회사를 두고 있다. 대표적인 상장회사와 비상장회사는 다음과 같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06&cid=43167&categoryId=43167 삼성증권]〉, 《네이버 지식백과》</ref>
 
:{|class=wikitable width=800
 
:{|class=wikitable width=800
 
!align=center colspan="5"|상장회사
 
!align=center colspan="5"|상장회사
153번째 줄: 142번째 줄:
  
 
== 사회공헌 ==
 
== 사회공헌 ==
삼성증권㈜은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1995년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파트너십을 통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삼성증권은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1995년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파트너십을 통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금융 솔루션 제공으로 자본시장의 건전한 성장과 지속적인 사회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은퇴 세대 노후 준비 지원 및 소회계층 사회참여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지원', 청소년 경제 교육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나눔문화 확산', 녹색 금융을 선도하고 자원 사용량 절감·폐기물 재활용 등의 활동으로 '녹색경영실천'을 수행하고 있다.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금융 솔루션 제공으로 자본시장의 건전한 성장과 지속적인 사회발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은퇴 세대 노후 준비 지원 및 소회계층 사회참여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지원', 청소년 경제 교육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나눔문화 확산', 녹색 금융을 선도하고 자원 사용량 절감·폐기물 재활용 등의 활동으로 '녹색경영실천'을 수행하고 있다.
  
 
* '''청소년 경제교실'''
 
* '''청소년 경제교실'''
: 삼성증권㈜의 대표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써 경제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올바른 경제관을 형성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길러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미래재단'과 파트너십을 맺어 2005년부터 경제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관이나 시설 등 비영리기관에 대학생봉사자인 강사를 파견해 무상으로 경제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
: 삼성증권의 대표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써 경제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올바른 경제관을 형성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길러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미래재단'과 파트너십을 맺어 2005년부터 경제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관이나 시설 등 비영리기관에 대학생봉사자인 강사를 파견해 무상으로 경제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 '''대학생봉사단 YAHO'''
 
* '''대학생봉사단 YAHO'''
: 삼성증권㈜에서 매년 12월 중 공모 모집하여 서류 및 인터 심사를 통해 선정한 250여명의 대학생 YAHO는 연간 총 15회차 경제교육 및 참여대상 아동캠프/이벤트 진행, 지역별 간담회, 교재 개발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 삼성증권에서 매년 12월 중 공모 모집하여 서류 및 인터 심사를 통해 선정한 250여명의 대학생 YAHO는 연간 총 15회차 경제교육 및 참여대상 아동캠프/이벤트 진행, 지역별 간담회, 교재 개발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미래장학금기금'''
 
* '''미래장학금기금'''
167번째 줄: 156번째 줄:
  
 
* '''특화/임직원 프로그램'''
 
* '''특화/임직원 프로그램'''
: 지역 내 소외계층 청소년들에게 공부방을 제공하고 학습·진로·정서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인 '꿈마루', 소외계층 아동들의 결식 예방 및 자립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해피쿡', 1995년에 봉사단이 구성돼 매월 1회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나누미봉사단', 임직원들이 자율적으로 매월 일정금액을 후원해 나누미펀드를 조성하고 적립된 기금은 매칭그랜트 제도를 통해 회사와 1:1 비율로 기부해 사회공헌 사업을 지원하는 '나누미펀드' 외에도 기타 봉사활동을 통해 꾸준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ref>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사회공헌 체계 - http://www.samsungsecurities.co.kr/csr/contribute_outline.do?cmd=list&MenuCode=M040101</ref>
+
: 지역 내 소외계층 청소년들에게 공부방을 제공하고 학습·진로·정서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인 '꿈마루', 소외계층 아동들의 결식 예방 및 자립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해피쿡', 1995년에 봉사단이 구성돼 매월 1회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나누미봉사단', 임직원들이 자율적으로 매월 일정금액을 후원해 나누미펀드를 조성하고 적립된 기금은 매칭그랜트 제도를 통해 회사와 1:1 비율로 기부해 사회공헌 사업을 지원하는 '나누미펀드' 외에도 기타 봉사활동을 통해 꾸준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ref>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사회공헌 체계 - http://www.samsungsecurities.co.kr/csr/contribute_outline.do?cmd=list&MenuCode=M040101</ref>
 
 
== 주요 활동 ==
 
=== 경기테크노파크와 동반성장 업무협약 ===
 
2018년 9월 11일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경기테크노파크에서 삼성증권㈜과 경기테크노파크가 동반성장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경기테크노파크에 입주한 유망 기업들은 삼성증권㈜을 통해 법인의 자금관리 등과 같은 WM 서비스를 비롯해 기술특례상장과 증가, 인수합병(M&A) 등 자금조달 관련 투자은행(IB) 서비스까지 망라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ref>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4LGDPUCG 삼성증권, 경기테크노파크와 동반성장 업무협약]〉, 《서울경제》, 2018-09-11</ref>
 
 
 
=== 증권업계 최초 비대면 방카슈랑스 시스템 구축 ===
 
2018년 10월 17일 삼성증권㈜은 증권업계 최초로 온라인 채널을 통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비대면 방카슈랑스 시스템을 구축했다. 삼성증권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엠팝'을 통해 온라인 전용 보험 상품을 직접 비대면으로 설계, 청약, 입금까지 완료할 수 있다. 삼성증권㈜ 측은 비대면 계좌개설 활성화로 고객들이 온라인으로 금융상품을 가입하는 비중이 늘고 있어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전했다.<ref>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Y4MFZ41 삼성증권, 증권업계 비대면 방카슈랑스 최초 오픈]〉, 《서울경제》, 2018-10-17</ref>
 
 
 
===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지원 플랫폼 출시 ===
 
국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사 [[두나무]]가 삼성증권㈜ 및 [[빅데이터]] 분석사 [[딥서치]]와 함께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지원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두나무는 통일주권 발행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비상장 주식 거래를 한번에 지원하는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선보일 것이며 2020년 상반기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매도-매수인의 신원 확인과 명의개서 전 과정을 분산원장 기반으로 자동화할 계획이다.
 
 
 
소셜 모바일 트레이딩 서비스인 '증권플러스'를 운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플랫폼 기획 및 개발, 거래 종목 정보 제공을 두나무가, 최근 30년간의 기업 정보, 뉴스, 특허 등을 기반으로 기업을 분석하는 것을 딥서치가 맡을 예정이다. 삼성증권은 실매물을 확인하고 안전거래를 지원한다.<ref>김지윤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23858 두나무, 비상장주 거래 플랫폼 출시…내년에는 블록체인 도입]〉, 《블록인프레스》, 2019-10-14</ref>
 
 
 
=== 마이아이디얼라이언스 ===
 
[[블록체인]] 기술 기반 디지털 아이디(ID)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체인 '마이아이디얼라이언스'가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마이 아이디 플랫폼을 중심으로 자기주권형 디지털 ID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 시장 문제와 사용자 불편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1월 5일 서울 중구 아이콘루프 라운지에서 <마이아이디얼라이언스 파트너스데이>가 개최되었다. 얼라이언스는 이용자의 신원확인 증명을 발급해주는 에코시스템 파트너와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증명을 확인하는 성장파트너로 구분된다. 에코시스템 파트너는 [[아이콘루프]]와 [[신한은행]], [[삼성증권㈜]], KB증권, [[미래에셋대우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이베스트증권]], [[하이투자증권]], [[유안타증권]], [[DB증권]], [[부산은행]], [[금융투자협회]]이다. 성장파트너는 [[삼성화재]], [[교보생명]], [[DB손해보험]], [[KB생명보험]], [[BNK캐피탈]], 야놀자, [[카페24]], 버즈니(홈쇼핑모아), 한국생산성본부, [[굿네이버스]], [[블록체인경영협회]], 모두싸인, 한국NFC, 트리플, 카플랫, 더봄에스, 플랜잇, 콩테크(KongTech),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KorDA), 아이서티 등이 참여한다. 일반 파트너는 [[포스코]]와 [[서강대학교]] 등이다. 이 외에도 글로벌 파트너인 요티와 벌률파트너인 김앤장법률사무소도 참여한다.
 
 
 
이용자들은 별도의 마이아이디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은 뒤 자신의 신원정보 증명을 발급받는다. 이렇게 보유하고 있는 증명을 자신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다.<ref>블록포스트, 〈[https://kr.cointelegraph.com/news/blockchain-based-identification-launching-financial-services-in-the-first-quarter-of-next-year 블록체인 기반 신원확인, 내년 1분기 금융권 서비스 시작]〉, 《코인텔레그래프》, 2019-11-05</ref>
 
 
 
=== 디지털 혁신 ===
 
삼성증권㈜은 디지털 자산관리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집중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자산관리서비스를 강화해 자산규모와 상관없이 고객층을 넓혀 대중화를 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삼정증권의 최대 강점으로 평가받는 자산관리서비스를 디지털 시장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이며 대표적으로 자사의 모바일 앱 엠팝(mPOP)을 꼽을 수 있다. 삼성증권㈜ 이용 고객들은 엠팝을 활용해 모바일로 간편하게 투자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인공지능]]이 고객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유망종목을 추천한다. 또한 삼성증권㈜과 [[삼성경제연구소]]가 공동으로 특허를 출원한 '고객별 예상 선호종목의 제공 방법과 시스템'을 적용해 인공지능이 해당 고객의 기본 정보와 최근 1년간의 투자 패턴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여기에 투자성향이 유사한 다른 고객들의 선호종목 정보를 추가로 반영해 고객에게 추천한다. 전계완 삼성증권 상무는 이렇듯 다양한 편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차별화된 디지털자산관리 플랫폼을 완성해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ref>송태화 기자,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9111000028 (증권가의 디지털 혁신)⑤삼성증권, 자산관리는 이제 디지털로]〉, 《메트로신문》, 2019-11-10</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amsungpop.com/
+
* 삼성증권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amsungpop.com/
 
*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84%B1%EC%A6%9D%EA%B6%8C 삼성증권]〉,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84%B1%EC%A6%9D%EA%B6%8C 삼성증권]〉, 《위키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06&cid=43167&categoryId=43167 삼성증권]〉,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06&cid=43167&categoryId=43167 삼성증권]〉, 《네이버 지식백과》
* 김지윤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23858 두나무, 비상장주 거래 플랫폼 출시…내년에는 블록체인 도입]〉, 《블록인프레스》, 2019-10-14
 
* 블록포스트, 〈[https://kr.cointelegraph.com/news/blockchain-based-identification-launching-financial-services-in-the-first-quarter-of-next-year 블록체인 기반 신원확인, 내년 1분기 금융권 서비스 시작]〉, 《코인텔레그래프》, 2019-11-05
 
* 송태화 기자,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9111000028 (증권가의 디지털 혁신)⑤삼성증권, 자산관리는 이제 디지털로]〉, 《메트로신문》, 2019-11-10
 
* 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5Y4MFZ41 삼성증권, 증권업계 비대면 방카슈랑스 최초 오픈]〉, 《서울경제》, 2018-10-17
 
* 조양준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4LGDPUCG 삼성증권, 경기테크노파크와 동반성장 업무협약]〉, 《서울경제》, 2018-09-11
 
 
== 같이 보기 ==
 
* [[삼성그룹]]
 
  
 +
{{로고 필요}}
 
{{금융기관|검토 필요}}
 
{{금융기관|검토 필요}}
{{대기업}}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