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샤아딩.PNG|썸네일|400픽셀|'''샤딩'''(sharding)]]
 
[[파일:샤아딩.PNG|썸네일|400픽셀|'''샤딩'''(sharding)]]
  
'''샤딩'''(sharding)<!--사드, 사딩, 샤디 -->이란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 시스템을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분산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단일의 데이터를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로 쪼개어 나누는 걸 말하는데, 단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기 너무 클 때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간별로 쪼개어 나눔으로써 [[노드]]에 무겁게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빠르게 검증할 수 있어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향상시킬 있다. 샤딩을 통해 나누어진 블록들의 구간(epoch)을 [[샤드]](shard)라고 부른다.<ref name="딩">sobly tv, 〈[http://a.to/19MoDVp 샤딩이란? 쉽게 이해해보자]〉, 《미디엄》, 2018-09-03</ref>
+
'''샤딩'''(sharding)<!--사드, 사딩, 샤디 -->이란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나 [[네트워크]] 시스템을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분산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단일의 데이터를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로 쪼개어 나누는 걸 말하는데, 단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기 너무 클 때 사용 하여 데이터를 구간별로 쪼개어 나눔으로써 노드에 무겁게 가지고 있던 데이터를 빠르게 검증할 수 있어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가질 있게 되며, 샤드란 샤딩을 통해 나누어진 블록들의 구간(Epoch)을 '[[샤드]](shard)' 라고 부른다.<ref name="딩">sobly tv, 〈[http://a.to/19MoDVp 샤딩이란? 쉽게 이해해보자]〉,《medium》, 2018-09-03 </ref>
  
 
==개요==
 
==개요==
샤딩은 "조각내다"라는 뜻으로 데이터베이스 저장기법 중 하나이며, 전체 네트워크를 분할한 뒤 트랜잭션을 영역별로 저장하고 이를 병렬적으로 처리하여 [[블록체인]]에 확장성을 부여하는 온체인 솔루션으로 데이터를 샤드라는 단위로 나눠서 저장 및 처리한다. 샤딩 개념의 근원은 데이터베이스 샤딩에 있고, 데이터베이스 샤딩이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테이블을 수평 분할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다.<ref name="오">오세진, 〈[http://a.to/19wGuV4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4–1 :: Sharding 샤딩]〉, 《미디엄》, 2018-06-08</ref> 만약 10만큼의 데이터와 10명의 노드가 참여했다고 가정한다면 기존의 블록체인은 10명의 노드 개개인은 10만큼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 공유하지만, 샤딩은 10을 조각내서 10명의 노드 개개인은 1만큼씩만 보관함으로써 보관 데이터가 가벼워져 거래처리 속도가 크게 향상된다.<ref>ICO of KOREA, 〈[https://m.blog.naver.com/seonggi159/221296380563 샤딩(sharding) 이란? / 이더리움 샤딩, 질리카 샤딩]〉,《네이버 블로그》, 2018-06-11 </ref>
+
샤딩은 조각내다 라는 뜻으로 데이터베이스 저장기법 중 하나이며, 전체 네트워크를 분할한 뒤 트랜잭션을 영역별로 저장하고 이를 병렬적으로 처리하여 [[블록체인]] 에 확장성을 부여하는 온체인 솔루션으로 데이터를 샤드라는 단위로 나눠서 저장 및 처리하며 샤딩 개념의 근원은 데이터베이스 샤딩에 있고, 데이터베이스 샤딩이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테이블을 수평 분할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처리하는 것이다.<ref name="오">오세진, 〈[http://a.to/19wGuV4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4–1 :: Sharding 샤딩]〉, 《medium》, 2018-06-08 </ref> 만약 10만큼의 데이터와 10명의 노드가 참여했다고 가정한다면 기존의 블록체인은 10명의 노드 개개인은 10만큼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 공유하지만, 샤딩은 10을 조각내서 10명의 노드 개개인은 1 만큼씩만 보관함으로써 보관 데이터가 가벼워져 거래처리속도가 효율적으로 향상한다.<ref>ICO of KOREA, 〈[https://m.blog.naver.com/seonggi159/221296380563 샤딩(sharding) 이란? / 이더리움 샤딩, 질리카 샤딩]〉,《네이버》, 2018-06-11 </ref>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샤딩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확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겨나는 변화를 받아들이는 능력이다.<ref>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048186 성공한 플랫폼은 보이지 않는다]〉, 《중앙일보》, 2018-10-17</ref>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대체로 사용자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확장성 문제란 결국 더 많은 사용자가 만들어내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의 문제이다. 대개 블록체인의 확장성 지표로 [[TPS]] 를 사용한다. TPS는 Transaction per Second의 약자로서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기존[[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의 경우 확장성 문제가 심각하여, TPS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샤딩이다. 샤딩은 [[플라즈마]], [[라이덴]] 네트워크 등과 마찬가지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솔루션이고, 플라즈마, 라이덴 네트워크는 오프체인 솔루션이지만 샤딩은 On-chain 솔루션이며, On-chain 솔루션이란 메인체인 자체의 [[프로토콜]] 을 변경시켜서 메인체인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On-chain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메인 네트워크의 [[하드 포크]] 가 필수적으로 Off-chain 솔루션이 메인체인 바깥에 다른 시스템을 추가하여 해결하기 때문에 하드 포크가 필요 없는 것과 대비 되는데 확장성 문제 솔루션 중 하나로, 이더리움이 POS (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것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ref name="오"></ref>
+
샤딩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확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겨나는 변화를 받아들이는 능력이다.<ref>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048186 성공한 플랫폼은 보이지 않는다]〉, 《중앙일보》, 2018-10-17</ref>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대체로 사용자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확장성 문제란 결국 더 많은 사용자가 만들어내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의 문제이다. 대개 블록체인의 확장성 지표로 [[TPS]] 를 사용한다. TPS는 Transaction per Second의 약자로서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기존[[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의 경우 확장성 문제가 심각하여, TPS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샤딩이다. 샤딩은 [[플라즈마]], [[라이덴]] 네트워크 등과 마찬가지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솔루션이고, 플라즈마, 라이덴 네트워크는 오프체인 솔루션이지만 샤딩은 On-chain 솔루션이며, On-chain 솔루션이란 메인체인 자체의 [[프로토콜]] 을 변경시켜서 메인체인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On-chain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메인 네트워크의 [[하드 포크]] 가 필수적으로 Off-chain 솔루션이 메인체인 바깥에 다른 시스템을 추가하여 해결하기 때문에 하드 포크가 필요 없는 것과 대비 되는데 확장성 문제 솔루션 중 하나로, 이더리움이 POS (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할 것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ref name="오"></ref>
  
 
==특징==
 
==특징==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