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클라이언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서버 ===
 
=== 서버 ===
[[서버]](server)란 통신망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회선, 디스크 장치 등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관리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를 말한다. 서버는 그 역할에 따라 웹(Web) 서버, 와스(WAS) 서버, 디비(DB) 서버 등이 있다. {{자세히|서버}}
+
[[서버]](server)란 통신망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회선, 디스크 장치 등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관리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를 말한다. 서버는 그 역할에 따라 웹(Web) 서버, 와스(WAS) 서버, 디비(DB) 서버 등이 있다.
* '''[[웹서버]]'''<!--웹 서버-->(web server) : [[HTML]]로 만든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인 웹 서버 프로그램에는 [[아파치]](Apache), [[IIS]], [[웹투비]](WebtoB), [[웹티어]](WebTier) 등이 있다.
+
* '''웹서버'''<!--웹 서버-->(web server) : [[HTML]]로 만든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인 웹 서버 프로그램에는 [[아파치]](Apache), [[IIS]], [[웹투비]](WebtoB), [[웹티어]](WebTier) 등이 있다.
* '''[[와스서버]]'''<!--와스 서버, WAS서버, WAS 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의 약자로서, [[자바]](Java) 등으로 만든 웹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말한다. 미들웨어의 일종이다. 대표적인 와스(WAS) 제품에는 [[톰캣]](Tomcat), [[제우스]](JEUS), [[제이보스]](JBoss)<ref>제이보스(JBoss)는 와일드플라이(WildFly)로 이름이 변경되었다.</ref>, [[웹로직]](WebLogic), [[웹스피어]](WebSphere), [[레진]](Resin), [[글래스피시]](GlassFish)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WAS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Application Server(약칭 AS)라고 한다.
+
* '''와스서버'''<!--와스 서버, WAS서버, WAS 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의 약자로서, [[자바]](Java) 등으로 만든 웹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말한다. 미들웨어의 일종이다. 대표적인 와스(WAS) 제품에는 [[톰캣]](Tomcat), [[제우스]](JEUS), [[제이보스]](JBoss)<ref>제이보스(JBoss)는 와일드플라이(WildFly)로 이름이 변경되었다.</ref>, [[웹로직]](WebLogic), [[웹스피어]](WebSphere), [[레진]](Resin), [[글래스피시]](GlassFish)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WAS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Application Server(약칭 AS)라고 한다.
* '''[[디비서버]]'''<!--디비 서버, DB서버, DB 서버-->(DB server) : Database Server의 약자로서, [[데이터베이스]](DB)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말한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오라클]](Oracle), [[마이에스큐엘]](MySQL), [[엠에스에스큐엘]](MS-SQL), [[큐브리드]](Cubrid)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으로 만든 데이터가 저장·관리된다.
+
* '''디비서버'''<!--디비 서버, DB서버, DB 서버-->(DB server) : Database Server의 약자로서, [[데이터베이스]](DB)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를 말한다. [[오라클]](Oracle), [[MySQL]], [[MS-SQL]], [[큐브리드]](Cubrid)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으로 만든 데이터가 저장·관리된다.
  
 
=== 클라이언트 ===
 
===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client)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시스템에 연결된 [[PC]]나 [[스마트폰]] 등 사용자 측을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 [[웹브라우저]]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웹브라우저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마이크로소프트 [[엣지]](Edge), 구글 [[크롬]](Chrome), 애플 [[사파리]](Safari), 모질라 [[파이어폭스]](Firefox), [[오페라]](Opera) 등이 있다. 모바일 전용 웹브라우저에는 [[삼성 인터넷]](Samsung Internet) 등이 있다.
+
[[클라이언트]](client)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시스템에 연결된 [[PC]]나 [[스마트폰]] 등 사용자 측을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에 전달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마이크로소프트 [[엣지]](Edge), 구글 [[크롬]](Chrome), 애플 [[사파리]](Safari), 모질라 [[파이어폭스]](Firefox), [[오페라]](Opera) 등이 있다. 모바일 전용 웹 브라우저에는 [[삼성 인터넷]](Samsung Internet) 등이 있다.
  
 
== 장단점 ==
 
== 장단점 ==
28번째 줄: 28번째 줄:
 
== 대안 ==
 
== 대안 ==
  
중앙 서버를 두지 않고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하는 [[피투피]](P2P)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피투피(P2P)란 Peer to Peer의 약자로서, 인터넷으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나 파일을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음악 파일 공유를 위한 냅스터(Napster), 소리바다 등과 동영상 파일 공유를 위한 토렌트(Torrent), 암호화폐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분산 버전 관리(DVC) 시스템 등은 피투피 기반으로 운영된다.
+
중앙 서버를 두지 않고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하는 [[P2P]]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P2P란 Peer to Peer의 약자로서, 인터넷으로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나 파일을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이다. 음악 파일 공유를 위한 냅스터(Napster), 소리바다 등과 동영상 파일 공유를 위한 토렌트(Torrent), 암호화폐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분산 버전 관리(DVC) 시스템 등은 P2P 기반으로 운영된다.
  
 
{{각주}}
 
{{각주}}
35번째 줄: 35번째 줄:
 
* [[서버]]
 
* [[서버]]
 
*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 [[피투피]](P2P)
+
* [[P2P]]
* [[중앙화]]
 
* [[탈중앙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인터넷|검토 필요}}
+
[[분류:정보통신]]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