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각종 석기.jpg|썸네일|300픽셀|'''석기'''(石器, Stone tool)]]
+
[[파일:사파이어.png|썸네일|300픽셀|'''석기'''(石器, Stone tool)]]
  
 
'''석기'''(石器, Stone tool)란 [[돌]]을 재료로 그것을 가공해 제작한 도구의 총칭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손의 연장으로서의 돌로 만든 도구를 가리켜며, [[비석]]이나 [[묘석]]과 같은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석기에 의존하는 문화가 오늘날까지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석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선사 시대의 생활상과 연관되어 있다.
 
'''석기'''(石器, Stone tool)란 [[돌]]을 재료로 그것을 가공해 제작한 도구의 총칭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손의 연장으로서의 돌로 만든 도구를 가리켜며, [[비석]]이나 [[묘석]]과 같은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석기에 의존하는 문화가 오늘날까지도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석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선사 시대의 생활상과 연관되어 있다.
8번째 줄: 8번째 줄:
 
석기는 돌을 이용하여 만든 도구들의 총칭으로,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금속을 이용하기 전에 먼저 돌을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었다.
 
석기는 돌을 이용하여 만든 도구들의 총칭으로,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금속을 이용하기 전에 먼저 돌을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었다.
  
석기는 제작방법에 따라 [[뗀석기]](打製石器)와 [[간석기]](磨製石器)로 나눌 수 있는데, 뗀석기는 구석기시대에 주로 사용되었고, 간석기는 신석기시대 이후로 나타났다.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사이에는 [[세석기]](細石器)를 사용하였던 중석기시대가 존재하였다.
+
석기는 제작방법에 따라 뗀석기(打製石器)와 간석기(磨製石器)로 나눌 수 있는데, 뗀석기는 구석기시대에 주로 사용되었고, 간석기는 신석기시대 이후로 나타났다.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사이에는 세석기(細石器)를 사용하였던 중석기시대가 존재하였다.
  
 
구석기시대의 석기는 모두 뗀석기로서 그 재료는 강가나 해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갈돌뿐 아니라 특별히 관심을 갖고 채집해야 하는 흑요석(黑曜石), 수석(燧石, flint), 반암(斑岩), 안산암(安山岩), 유문암(流文岩), 셰일(shale) 등이 선택되었다. 구석기시대는 시기별로 사용되던 도구가 달랐다.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직접떼기가 가장 보편적인데, 사용되었던 석기로는 외날찍개(chopper), 쌍날찍개(chopping tool), 주먹도끼(hand-axe), 사냥돌(bolas), 자르개(cleaver), 긁개(scraper), 찌르개(point) 등이 있다.
 
구석기시대의 석기는 모두 뗀석기로서 그 재료는 강가나 해안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갈돌뿐 아니라 특별히 관심을 갖고 채집해야 하는 흑요석(黑曜石), 수석(燧石, flint), 반암(斑岩), 안산암(安山岩), 유문암(流文岩), 셰일(shale) 등이 선택되었다. 구석기시대는 시기별로 사용되던 도구가 달랐다.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직접떼기가 가장 보편적인데, 사용되었던 석기로는 외날찍개(chopper), 쌍날찍개(chopping tool), 주먹도끼(hand-axe), 사냥돌(bolas), 자르개(cleaver), 긁개(scraper), 찌르개(point) 등이 있다.
51번째 줄: 51번째 줄:
  
 
== 석기의 종류와 용도 ==
 
== 석기의 종류와 용도 ==
오늘날 현대인들은 상황에 따른 알맞은 [[도구]]를 선택하여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과거의 인류 또한 도구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사냥을 위한 찌르개나 나이프, 포획한 동물을 해체하고 가공하기 위한 긁개나 밀개와 같은 도구, 또는 뚜르개우리역사넷와 같은 가죽이나 나무에 구멍을 내는 도구 등이다.
+
오늘날 현대인들은 상황에 따른 알맞은 도구를 선택하여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과거의 인류 또한 도구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사냥을 위한 찌르개나 나이프, 포획한 동물을 해체하고 가공하기 위한 긁개나 밀개와 같은 도구, 또는 뚜르개우리역사넷와 같은 가죽이나 나무에 구멍을 내는 도구 등이다.
  
 
이러한 도구의 다양화는 시대가 새로워질수록 전문화되며 소형화의 길을 걷게 된다. 흡사 오늘날 최신형의 전자제품이 소형화 경량화의 길을 걷는 것처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한 예를 석기를 만드는 행위의 단위가 되는 일정량의 석재를 가공하여 목적으로 하는 도구로 만들었을 때 그 유효한 효율성은 상당한 차이가 보인다. 시대별로 석기를 어느 정도 효율성을 가지고 만들었는가를 살펴보면 그 놀라운 발전양상이 보인다.
 
이러한 도구의 다양화는 시대가 새로워질수록 전문화되며 소형화의 길을 걷게 된다. 흡사 오늘날 최신형의 전자제품이 소형화 경량화의 길을 걷는 것처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한 예를 석기를 만드는 행위의 단위가 되는 일정량의 석재를 가공하여 목적으로 하는 도구로 만들었을 때 그 유효한 효율성은 상당한 차이가 보인다. 시대별로 석기를 어느 정도 효율성을 가지고 만들었는가를 살펴보면 그 놀라운 발전양상이 보인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