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티넬 프로토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센티넬 프로토콜 로고.png|썸네일|200픽셀|'''센티넬 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
[[파일:센티넬 프로토콜 로고.png|썸네일|200픽셀|'''센티넬 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로고]]
[[파일:센티넬 프로토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센티넬 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
[[파일:센티넬 프로토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센티넬 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로고와 글자]]
  
[[파일:존 커크.jpg|썸네일|200픽셀|'''[[존 커크]]'''(John Kirch) 센티넬 프로토콜 부사장]]
+
'''센티넬 프로토콜'''<!--센티넬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哨兵协议) 또는 간략히 '''센티넬'''<!--센티널-->은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센티넬은 [[집단지성]]을 이용한 위협 평판 [[시스템]], [[머신러닝]], [[분산 샌드박스]] 기술을 사용해, [[암호화폐]]에 대한 [[해킹]] 위협을 막고 보안을 강화해 준다. [[크립토]]분야의 [[해킹공격]] 등의 대처를 위해, 보안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보안 [[생태계]]에 기여한다. 분권화의 힘으로 생성된 집단 지성을 활용하며, 암호화 기능과 지능형 위협분석 알고리즘을 결합함으로서 안전하고 혁신적인 생태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김형우]]'''(Patrick Kim, 패트릭 김)이다. [[㈜네오플라이]]<!--네오플라이-->로부터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 본사는 [[싱가포르]]에 있다. 화폐단위는 UPP이고, 시가총액은 2018년 11월 기준 2,518,898 USD 이다.<ref>Blockchain Garage, 〈[http://blog.bcgarage.info/221276627839 [평점 4] Sentinel Protocol(센티널 프로토콜)]〉, 《네이버 블로그》,  2018-5-15</ref>
 
 
'''센티넬 프로토콜'''<!--센티넬프로토콜-->(Sentinel Protocol) 또는 간략히 '''센티넬'''<!--센티널-->은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센티넬은 [[집단지성]]을 이용한 위협 평판 [[시스템]], [[머신러닝]], [[분산 샌드박스]] 기술을 사용해, [[암호화폐]]에 대한 [[해킹]] 위협을 막고 보안을 강화해 준다. [[크립토]] 분야의 [[해킹공격]] 등의 대처를 위해, 보안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보안 [[생태계]]에 기여한다. 분권화의 힘으로 생성된 집단지성을 활용하며, 암호화 기능과 지능형 위협분석 알고리즘을 결합함으로서 안전하고 혁신적인 생태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다. 센티넬 프로토콜은 '''[[웁살라시큐리티]]'''(Uppsala Security) 회사가 개발했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는 '''[[김형우]]'''(Patrick Kim, 패트릭 김)이고, 부회장은 '''[[존 커크]]'''(John Kirch)이다. [[㈜네오플라이]]<!--네오플라이-->로부터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 본사는 [[싱가포르]]에 있다. 화폐 단위는 UPP이고, 시가총액은 2018년 11월 기준 2,518,898 USD 이다.<ref>Blockchain Garage, 〈[http://blog.bcgarage.info/221276627839 [평점 4] Sentinel Protocol(센티널 프로토콜)]〉, 《네이버 블로그》,  2018-5-15</ref>
 
  
 
==소개==
 
==소개==
센티넬 프로토콜은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인 [https://www.uppsalasecurity.com 웁살라 시큐리티]의 암호화폐 보안 프로젝트로 사용자 및 사이버 보안전문가들이 집단지성 방식으로 [[위협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암호화폐]] 지갑 주소의 거래 흐름과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해킹]], [[스팸]], [[사기]] 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방어책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https://www.uppsalasecurity.com/ko/trdb 위험 평판 데이버베이스(TRDB)]를 통해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 정보들이 블록체인 배포 정책 하에서 함께 실시간으로 공유된다면, 다수의 시스템을 [[사이버 범죄]]로부터 보호하는데 제대로 사용될 것이다. 중앙 집중화된 평판 시스템 내에서 사이버 범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정보의 조작이나 파괴 시도가 있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으나 블록체인은 기록된 평판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한 운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거래에 대한 평가가 아닌 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평판 시스템에서 만약 시빌 공격과 같은 공격이 발생할 경우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성으로는 쉽게 차단할 수 없게 되는데, 사전 조작된 정보라는 것은 거래 평판의 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분은 집단 지성의 힘을 활용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ref name = "센티넬 프로토콜 백서"> Sentinel Protocol, "[https://uppsalasecurity.com/whitepapers/sentinelprotocol_whitepaper_korean.pdf Sentinel Protocol whitepaper]"</ref>
+
센티넬 프로토콜은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인 [[웁살라 시큐리티]]의 암호화폐 보안 프로젝트로 사용자 및 사이버 보안전문가들이 집단지성 방식으로 [[위협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암호화폐]] 지갑 주소의 거래 흐름과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해킹]], [[스팸]], [[사기]] 사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방어책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위험 평판 데이버베이스]])(TRDB)를 통해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 정보들이 블록체인 배포 정책 하에서 함께 실시간으로 공유된다면, 다수의 시스템을 [[사이버 범죄]]로부터 보호하는데 제대로 사용될 것이다. 중앙 집중화된 평판 시스템 내에서 사이버 범죄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정보의 조작이나 파괴 시도가 있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으나 블록체인은 기록된 평판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한 운영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거래에 대한 평가가 아닌 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평판 시스템에서 만약 시빌 공격과 같은 공격이 발생할 경우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성으로는 쉽게 차단할 수 없게 되는데, 사전 조작된 정보라는 것은 거래 평판의 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기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분은 집단 지성의 힘을 활용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ref name = "센티넬 프로토콜 백서"> Sentinel Protocol, "[file:///C:/Users/C469/Downloads/Sentinel+Protocol+Whitepaper_KOR%20(2).pdf Sentinel Protocol whitepaper]"</ref>
  
 
==등장 배경==
 
==등장 배경==
24번째 줄: 22번째 줄:
  
 
===Threat Intelligence===
 
===Threat Intelligence===
==== 센티넬 포탈[https://portal.sentinelprotocol.io[Sentinel Portal]]====
 
센티넬 포털은 집단 지성을 활용, 보안 위협 정보를 모으기 위한 원스톱 플랫폼으로서 사용자가 멀웨어, 해킹, 사기 및 부정 행위와 관련된 보안 사고를 직접 보고할 수 있는 창구 이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보안 전문가들은 포털을 통해 제출된 각 사건 보고서를 분석, 추적 및 검증하여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각종 보안 사고 및 위협과 관련된 데이터는 피해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블록체인 상의 TRDB 내에 저장된다.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스 [https://www.uppsalasecurity.com/ko/trdb[TRDB]]====
+
====센티넬 포탈(Sentinel Portal)====
TRDB는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결제 서비스, 트위터, IT 및 사이버보안회사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 검증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보안 정보를 저장한다. TRDB는 해당 정보를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의 형태로 구분하여 저장하는데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우 TRDB와 CATV를 활용하여 도난당한 암호화폐를 추적하고, 거래 위험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보안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스 (TRDB)====
 
+
====Twitter Crawler System====
====트위터 크롤러 시스템 Twitter Crawler System====
+
====Crypto Address Crawler System====
트위터 크롤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트위터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탐지하고 수집한다. 피싱 및해킹에 관련된 링크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악의적인 트위터 계정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한다.
+
====ICF API====
 
 
====암호화폐 주소 크롤러 시스템 Crypto Address Crawler System====
 
암호화폐 주소 크롤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지갑 데이터를 탐지하고 수집한다. 피싱, 스캠, 해킹 등 범죄에 연루된 암호화폐 지갑들을 빠르게 수집하고 분석한다.
 
 
 
====[https://www.uppsalasecurity.com/ko/icfapi ICF API]====
 
ICF 는 기업의 금융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과 결합하여 혐의거래나 금융사기으로부터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된 센티넬프로토콜의 API솔루션 이다. ICF API는 사용자가 거래를 완료하기 전, 센티넬프로토콜의 위협평판데이터베이스 [https://www.uppsalasecurity.com/ko/trdb[TRDB]]에 저장된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 정보와 대조하여 거래상대방에 대한 위협을 사전에 즉시 판별함으로써 금융사기범죄로부터 고객의 자산을 보호한다. 전통적 사이버 보안 업계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사이버 보안위협정보 표준'인 [[STIX]] 표준을 준수한다.
 
  
 
===Defense Security===
 
===Defense Security===
====UPPward([https://uppward.sentinelprotocol.io UPPward 홈페이지])====
+
====UPPward====
UPPward 브라우저 익스텐션은 개인 사용자를 위한 원스탑 스캠 &. 사기 방지 보안툴이다.
 
 
 
#웹사이트(URL)의 위험성을 판별-사용자가 접속하고 있는 웹사이트(URL)와 센티넬 프로토콜의 위협 평판 데이트베이스(TRDB)를 상호 참조하여 능동적으로 데이터의 안정성을 판별 후, 해당 URL이 위협정보일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검색창을 통한 조회 기능-사용자들은 직접 UPPward 검색창에 URL, 혹은 암호 화폐 지갑 주소 등을 검색함으로써 안전한 정보인지 스캠,해킹 등의 혐의거래 관련된 위협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의심 암호화폐 지갑주소 하이라이트 기능-UPPward는 웹사이트 내의 지갑주소를 스캔하여 혐의거래와 연관성이있는 블랙리스트 지갑주소가 감지되는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해 의심스러운 정보임을 알려준다.
 
#암호화폐 사기 신고 기능- UPPward 하단의 report버튼을 누르면‘센티넬 포털사이트[https://portal.sentinelprotocol.io/]’에 연결되어 보안 전문가인 센티넬에게 사건, 사고를 직접 제보할 수 있다.
 
  
 
===Data Analytic Tools===
 
===Data Analytic Tools===
====Crypto Analysis Risk Assessment([https://www.uppsalasecurity.com/ko/cara CARA])====
+
====Crypto Analysis Risk Assessment(CARA)====
CARA는 이미 알려져 있는 의심거래지갑과 정상거래지갑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분석학습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특정 암호화폐주소의 위험 수준을 판단하고, 그 위험도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암호화폐거래 위험평가솔루션이다.CARA는 단순히 디지털 자산과 주요 데이터를 탈취하는 잠재적 위협을 탐지하는 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거래의 형태를 통해 위험도를 판단, Risk Score를부여함으로써 특정 암호화폐 주소에 대한 위험 평가를 제공한다. 이는 FATF 권고안의 핵심인 위험기반접근법(RBA, Risk-based Approach) 을 준수하는 [[AML]]/[[CFT]] 솔루션으로 사용자가 자금세탁이나 테러리스트 자금조달 혐의를 받는 암호화폐 주소를 사전에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Crypto Analysis Transaction (CATV)====
 
 
====Crypto Analysis Transaction ([https://www.uppsalasecurity.com/ko/catv CATV])====
 
Threat Reputation Database (위협평판 데이터베이스, TRDB)를 기반으로 암호화폐 거래이후 디지털 자산의 흐름 추적, 분석 그리고 시각화를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이다.CATV의 핵심 기능은 도난 자금을 포함한 블록체인 상의 암호화폐를 추적하는 것이다. 특정 지갑 주소를 입력하면 원클릭만으로 자금을 추적하고 자동으로 요약된 거래 흐름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해킹, 사기 등으로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을 도난 당했을 경우, 지갑과 각 거래 내역을 일일이 수동 조회할 필요 없이, 도난당한 자금의 흐름을 자동으로 조회해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냄으로써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징==
 
==특징==
91번째 줄: 72번째 줄: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VASP) 자금세탁방지===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VASP) 자금세탁방지===
*[[옥타솔루션]]과 암호화폐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Crypto AML PRISM'공동 런칭<ref>오세성 기자,〈[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5249344g 가상화폐 AML 솔루션 등장 "자금세탁 우려 없앤다"]〉, 《한경탓컴》, 2019-5-24</ref>
+
헥슬란트에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제공<ref>황정빈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805094103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에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제공]〉, 《ZDNet Korea》, 2019-8-5 </ref>
*[[헥슬란트]]에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제공<ref>황정빈 기자,〈[http://www.zdnet.co.kr/view/?no=20190805094103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에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제공]〉, 《ZDNet Korea》, 2019-8-5 </ref>
+
다날 페이코인과 자금세탁방지 솔루션'크립토AML' 업무협약<ref>김산하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0302420g 다날 페이코인, 웁살라시큐리티·옥타솔루션과 '크립토AML' 업무협약]〉,《한국경제》, 2019-10-30 </ref>
*[[다날]] [[페이코인]]과 자금세탁방지 솔루션'크립토AML' 업무협약 <ref>김산하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10302420g 다날 페이코인, 웁살라시큐리티·옥타솔루션과 '크립토AML' 업무협약]〉,《한국경제》, 2019-10-30 </ref>
 
  
 
===거래소===
 
===거래소===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ref>인터넷 마케팅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2002109923813021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 《디지털타임즈》, 2018-9-20</ref>
+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ref>인터넷 마케팅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2002109923813021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 《디지털타임즈》, 2018-9-20</ref>
*[[Bibox Token]](BIX)과 센티넬 프로토콜 파트너쉽 체결<ref>소성렬 기자, 〈[http://www.etnews.com/20180618000229 센티넬 프로토콜, 업계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와 보안 파트너십 이끌어]〉, 《전자신문 etnews》, 2018-6-18</ref>
+
Bibox Token (BIX)과 센티넬 프로토콜 파트너쉽 체결<ref>소성렬 기자, 〈[http://www.etnews.com/20180618000229 센티넬 프로토콜, 업계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와 보안 파트너십 이끌어]〉, 《전자신문 etnews》, 2018-6-18</ref>
 
+
웁살라시큐리티, 업비트 해킹 - 탈취 이더리움 실시간 추적 게시판 공개<ref> 박근모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62194/, 업비트 탈취 이더리움, 바이낸스·후오비로 일부 유입]〉,《코인데스크코리아》, 2019-11-28 </ref>
===해킹/사기/혐의 거래 자금추적===
 
*[[퓨어빗]] 먹튀 사기, 탈취 자금 추적 <ref> 오세성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811131709g'ICO 사기' 퓨어빗, 피해자 환불 약속하고 몰래 '자금세탁']〉, 《한국경제》, 2018-11-13</ref>
 
*[[바이낸스]]해킹 탈취 자금 추적 상황 게시판 공개<ref> 박근모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55529/ 3조원 스캠 ‘플러스토큰’, 한국·중국 주요거래소 유입 확인]〉,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9-3</ref>
 
*3조원 스캠 ‘[[플러스토큰]]’, 한국·중국 주요거래소 유입 확인<ref> 박근모 기자, 〈[https://www.coindeskkorea.com/46685/ 센티널프로토콜, ‘바이낸스 해킹’ 코인 추적 웹사이트 공개]〉,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5-16</ref>
 
*웁살라시큐리티, [[업비트]] 해킹 - 탈취 [[이더리움]] 실시간 추적 게시판 공개<ref> 조아라 기자, 〈[https://paxnetnews.com/articles/54709, 1만6000번 거래된 업비트 탈취자금...거래소 9곳서 포착]〉,《팍스넷뉴스》, 2019-12-10 </ref>
 
  
 
===지갑 회사===
 
===지갑 회사===
*안전한 암호 지갑을위한 센티넬 프로토콜과 [[Ginco]] 파트너십 체결<ref>〈[https://www.cryptoninjas.net/2018/05/02/sentinel-protocol-and-ginco-partner-for-safer-crypto-wallets/ 안전한 암호 지갑을위한 Sentinel 프로토콜과 Ginco 파트너]〉, 《CryptoNinjas》, 2018-5-2</ref>
+
안전한 암호 지갑을위한 센티넬 프로토콜과 Ginco 파트너십 체결<ref>〈[https://www.cryptoninjas.net/2018/05/02/sentinel-protocol-and-ginco-partner-for-safer-crypto-wallets/ 안전한 암호 지갑을위한 Sentinel 프로토콜과 Ginco 파트너]〉, 《CryptoNinjas》, 2018-5-2</ref>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 사기주소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필터링 시스템' 도입<ref>김소라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3271249390259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 사기주소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필터링 시스템' 도입]〉, 《파이낸셜뉴스 The Block Post》, 2019-3-27 </ref>
+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 사기주소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필터링 시스템' 도입<ref>김소라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3271249390259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 사기주소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필터링 시스템' 도입]〉, 《파이낸셜뉴스 The Block Post》, 2019-3-27 </ref>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지갑'보안강화 위해 ICF API 결합<ref> 윤지현 기자, 〈[http://news1.kr/articles/?3782755 네오플라이, 웁살라시큐리티와 제휴…'블록체인 지갑' 보안 강화]〉,《뉴스1》, 2019-12-2 </ref>
+
[[네오플라이]], '블록체인 지갑'보안강화 위해 ICF API 결합<ref> 윤지현 기자, 〈[http://news1.kr/articles/?3782755 네오플라이, 웁살라시큐리티와 제휴…'블록체인 지갑' 보안 강화]〉,《뉴스1》, 2019-12-2 </ref>
  
 
=== 공시 리포트===
 
=== 공시 리포트===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라이즈랩스]]와 암호화폐 리포트 공동발간<ref>이지영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9/717508/?a=1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라이즈랩스와 암호화폐 리포트 공동발간]〉, 《D.STREET/매일경제》, 2019-9-9 </ref>
+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라이즈랩스와 암호화폐 리포트 공동발간<ref>이지영 기자,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9/717508/?a=1 센티넬프로토콜, 헥슬란트-라이즈랩스와 암호화폐 리포트 공동발간]〉, 《D.STREET/매일경제》, 2019-9-9 </ref>
*암호화폐 거래 위험 평가 서비스 ‘SWAP’ 출시<ref>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20 웁살라시큐리티, 암호화폐 거래 위험 평가 서비스 ‘SWAP’ 출시]〉, 《더비체인》, 2019-11-29 </ref>
 
*3사 공동평가 [[공시]] 보고서 발행<ref> 길민권 기자,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84929 헥슬란트-라이즈랩스-웁살라시큐리티, 3사 공동평가 공시 보고서 발행]〉, 《데일리시큐》, 2019-12-9 </ref>
 
  
 
===기타===
 
===기타===
*[[KBS]]미디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서비스에 센티넬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솔루션 활용<ref> 한경닷컴 뉴스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812172846a/ KBS미디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서비스에 센티넬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솔루션 활용]〉, 2018-12-17 </ref>
+
KBS미디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서비스에 센티넬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솔루션 활용<ref> 한경닷컴 뉴스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812172846a/ KBS미디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서비스에 센티넬프로토콜 사이버 보안 솔루션 활용]〉, 2018-12-17 </ref>
 +
 
 +
==로드맵==
 +
*2018년 01월 : 싱가포르, APAC에 HQ R&D 센터 개설, HQ R&D 센터 보안 연구원들은 사이버 범죄, 사기 정보 기록, 블록체인 체계로 인덱싱 위협 평판 데이터베이스(TRDB) 지역 R&D 센터 대화형 협력 프레임워크 (ICF) 인터페이스 개발
 +
*2018년 02월 18일 : SIPB 프로토타입 베타 테스트
 +
*2018년 06월 18일 : 공개 SIPB 베스트 릴리즈
 +
*2018년 07월 18일 : Mainnet 출시(TRDB 기능의 수동 보고서 활성화)
 +
*2018년 11월 : Machine 학습 엔진 베타 테스트
 +
*2018년 12월 18일 : 기계 학습 엔진 기능 릴리스(자동 보고서 적용) 베타 분산 샌드박스(D-Sandbox) 릴리스
 +
*2019년 : 기계 학습 기반 FDS(Fraud Detection System) 릴리스 <ref name = "센티넬 프로토콜 백서"></ref>
  
 
==전망==
 
==전망==
 
센티넬 프로토콜은 현재의 [[사이버]] 보안 생태계, 특히 본질적으로 감독기능이 부족한 암호화폐 보안 산업을 지원하는 가장 효과적인 플랫폼이다. 날로 진화하는 새로운 공격 유형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그러나 확률을 근거로 한 보안 위협 식별의 불명확함은 여전한 도전 과제이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블록체인용 보안 지능 [[플랫폼]]은 [[블록체인]]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암호화폐의 보안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현재는 진입 장벽이 높다고 알려진 암호화폐 시장도 곧 관련 보안업체들의 진출이 예상되고 이를 통해, 현재 법적으로는 보호 받을 수 없는 다수의 [[암호화폐]] [[거래소]], 지불 시스템 회사, 지갑 회사들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희소식이 될 것리다. 이에, 센티넬 프로토콜은 [[블록체인]]의 분권화된 보안을 책임질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적절한 기술을 갖춘 참여자들에게 최적의 기회가 될 것을 확신한다. <ref name = "센티넬 프로토콜 백서"></ref>
 
센티넬 프로토콜은 현재의 [[사이버]] 보안 생태계, 특히 본질적으로 감독기능이 부족한 암호화폐 보안 산업을 지원하는 가장 효과적인 플랫폼이다. 날로 진화하는 새로운 공격 유형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그러나 확률을 근거로 한 보안 위협 식별의 불명확함은 여전한 도전 과제이다. 센티넬 프로토콜의 블록체인용 보안 지능 [[플랫폼]]은 [[블록체인]]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암호화폐의 보안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현재는 진입 장벽이 높다고 알려진 암호화폐 시장도 곧 관련 보안업체들의 진출이 예상되고 이를 통해, 현재 법적으로는 보호 받을 수 없는 다수의 [[암호화폐]] [[거래소]], 지불 시스템 회사, 지갑 회사들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희소식이 될 것리다. 이에, 센티넬 프로토콜은 [[블록체인]]의 분권화된 보안을 책임질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적절한 기술을 갖춘 참여자들에게 최적의 기회가 될 것을 확신한다. <ref name = "센티넬 프로토콜 백서"></ref>
 
==동영상==
 
<youtube>LDy1TSwH8R8</youtube>
 
<youtube>Hg2pmC6nb8M</youtube>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Uppsala Security (웁살라 시큐리티)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uppsalasecurity.com/
+
* 센티넬 프로토콜 공식 홈페이지 - https://sentinelprotocol.io/
 
* Blockchain Garage, 〈[http://blog.bcgarage.info/221276627839 [평점 4] Sentinel Protocol(센티널 프로토콜)]〉, 《네이버 블로그》,  2018-5-15
 
* Blockchain Garage, 〈[http://blog.bcgarage.info/221276627839 [평점 4] Sentinel Protocol(센티널 프로토콜)]〉, 《네이버 블로그》,  2018-5-15
 
* 인터넷 마케팅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2002109923813021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 《디지털타임즈》, 2018-9-20
 
* 인터넷 마케팅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92002109923813021 센티넬 프로토콜, 암호화폐 거래소 GDAC과 파트너십 체결]〉, 《디지털타임즈》, 2018-9-20
138번째 줄: 116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존 커크]]
 
 
* [[김형우|김형우(패트릭 김)]]
 
* [[김형우|김형우(패트릭 김)]]
* [[웁살라시큐리티]]
+
* [[웁살라 시큐리티]]
 
* [[㈜네오플라이]]
 
* [[㈜네오플라이]]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