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플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셰플러'''(Schaeffler, Schaeffler Group)는 1946년 설립된 글로벌 베어링 및 엔진부품 생산회사이며 본사는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있다. 셰플러는 INA, FAG 및 LuK 세 가지 브랜드가 있으며 그중 FAG는 세계 1위 베어링 브랜드이다. 셰플러는 파워트레인, 트랜스미션 및 섀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정밀 부품과 시스템은 물론 수많은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롤링 및 플레인 베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 세계 50여 개 나라에 170여 개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원은 약 83,300명이며 2020년 매출은 126억 유로(16조 9,539억 원)이다.<ref>"[https://de.wikipedia.org/wiki/Schaeffler-Gruppe Schaeffler-Gruppe]", ''Wikipedia''</ref>
 
'''셰플러'''(Schaeffler, Schaeffler Group)는 1946년 설립된 글로벌 베어링 및 엔진부품 생산회사이며 본사는 독일 헤르초게나우라흐에 있다. 셰플러는 INA, FAG 및 LuK 세 가지 브랜드가 있으며 그중 FAG는 세계 1위 베어링 브랜드이다. 셰플러는 파워트레인, 트랜스미션 및 섀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정밀 부품과 시스템은 물론 수많은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롤링 및 플레인 베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며 전 세계 50여 개 나라에 170여 개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원은 약 83,300명이며 2020년 매출은 126억 유로(16조 9,539억 원)이다.<ref>"[https://de.wikipedia.org/wiki/Schaeffler-Gruppe Schaeffler-Gruppe]", ''Wikipedia''</ref>
 
셰플러그룹은 전 세계에서 롤링 베어링과 직선운동 제품을 생산하는 선도 기업으로 자동차 제조업에서 명성이 높은 공급업체 중 하나이며 자동차 제조, 산업 제조, 항공 우주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셰플러그룹 자동차 부서는 승용차와 상용차의 엔진, 섀시, 변속기, 보조장치 등 전체 구동 시스템의 전문 기술로 대부분 자동차 브랜드와 기타 주요 공급업체의 믿을 수 있는 파트너가 되었다. 셰플러는 미래 전략 개발의 일환으로 CO₂ 효율 드라이브, 전기 모빌리티, 인더스트리 4.0, 디지털화 및 재생 에너지에 대한 혁신 기술과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려고 한다.
 
  
 
==개요==
 
==개요==
셰플러는 1946년 윌헬므 셰플러와 게오르그 셰플러 형제가 헤조게노우라흐에 설립한 인더스트리를 기초로 하며 명친은 창시자의 이름에서 인용되었다. 셰플러는 케이지 가이드 형 니들 롤러 베어링의 발명으로 업계의 리더가 되었으며 자동차, 기계, 풍력 등 여러 산업 응용 분야에 회전 및 선형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2001년 자동차 클러치 회사인 LUK와 베어링 업체인 FAG를 인수하고 셰플러 그룹을 설립하였다. 셰플러는 자동차 부품, 자동차 애프터마켓, 산업 기계 등 세 가지 분야로 나누고 있으며 자동차 사업 분야는 기존의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순수 전기, 수소 연료 등 구동 방식의 자동차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셰플러의 창시자 게오르그 셰플러가 1950년에 개발한 케이지 가이드 니들 룰러 베어링은 케이지를 사용해 니들 유도를 개선하여 부품 마모와 마찰을 최소화하고 속도를 개선하였다. 특히 셰플러 기술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성능 소형 자동차 개발이 가능해져 자동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자동차 산업을 넘어 기계 및 플랜트 엔지니어링, 건설, 농어용 기계, 컨베이어 기술 부문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해 해당 응용 분야의 성능을 크게 향상하였다. 셰플러 니들 롤러 베어링은 E-모빌리티 분야 전기 액슬 드라이브, 협동 로봇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도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아우디]]의 전기차 e-트론에 세플러의 니들 롤러 베어링이 적용된 전기 액슬을 공급하고 있다.
 
 
셰플러는 자동차의 배기량과 구동 트레인의 전동화를 추진하여 48볼트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부터 순수 전기자동차용 드라이브에 이르기까지 모든 범위의 전동화 옵션에 걸쳐 제품을 공급하며 광범위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모듈, 엔트리급 하이브리드화, 전기 액슬 드라이브, 전기 휠 허브 드라이브용 부품과 시스템 등을 제공하여 다양한 시장과 고객사들의 전문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
 
  
 
==역사==
 
==역사==
* 1946년 : 윌헬므 셰플러와 게오르그 셰플러 형제가 헤조게노우라흐에 인더스트리(Industrie GmbH)를 설립하였다.
 
* 1949년 : 게오르그 셰플러가 개발한 니틀 롤러 베어링 케이지는 니틀 롤러 산업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다.
 
* 1965년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를 설립하였다.
 
* 1976년 : LuK 오토모니트 서비스회사를 설립하였다.
 
* 1985년 : 드라이브 트레인 소음 차단에 새로운 표준이 되는 LuK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출시하였다.
 
* 1992년 : 대한민국에 최초의 INA공장을 설립하였다.
 
* 1999년 : INA가 LuK GmbH를 인수하였다.
 
* 2002년 : INA가 FAG를 인수하였다.
 
* 2003년 : INA, FAG, LuK 세개 브랜드로 구성된 셰플러 그룹을 설립하였다.
 
* 2007년 : 중국, 인도, 헝가리에 신규 공장 및 중국 상하이에 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 2008년 : 건식 더블클러치를 공개하고 [[폭스바겐]]에서 대량 생산에 투입하였다.
 
* 2009년 : 세계 최초의 완전 가변 유압 밸브 제어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 2011년 : 유한책임회사에서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 2013년 : 액티브 드라이브에서 공개한 3세대 전기축은 혁신적 파일럿 제품이 되었다.
 
* 2014년 : 러시아에 최초의 공장을 설립하였다.
 
* 2016년 : 미국과 중국 공장을 증설하고 태국에 새 시설을 설립하였다.
 
* 2018년 : 셰플러는 테스트를 위해  FE01 포뮬러 E 자동차의 전기 모터 4개를 Audi A3에 장착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Schaeffler_Group Schaeffler Group]", ''wikipedia''</ref>
 
  
 
==주요 인물==
 
==주요 인물==
[[파일:클라우스 로젠펠트(Klaus Rosenfeld).jpg|썸네일|200픽셀|'''클라우스 로젠펠트'''(Klaus Rosenfeld)]]
 
* '''클라우스 로젠펠트'''
 
클라우스 로젠펠트(Klaus Rosenfeld)는 2009년 셰플러 CFO로 합류하였으며 2014년 공식적으로 CEO로 공식 임명되었다. 클라우스 로젠펠트는 1966년 5월에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판사였다. 1985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드레스드너뱅크에서 은행가로서 견습생으로 경력을 쌓은 후 해군에서 무선통신사로 군복무를 하였다. 1993년 뭔스터 대학에서 비스니스 및 경제학을 공부를 마치고 드레스드너뱅크에 돌아와 투자 은행의 특별 금융 분야에서 근무하였으며 1997년 이사회 베른하르트 월터의 조수가 되었으며 2001년 이사회 위원 겸 총괄 관리자, 재무 및 공동관리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재무, 관리, 은행투자 사업을 담당하는 CFO로 역임하였다. 2009년 3월 그는 셰플러 그룹에 CFO로 합류하여 기업 및 자본구조 재조정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2009년 콘티넨탈의 감독위원회 위원이 되었으며 2013년 임시 CEO 직을 맞았으며 2014년 6월 공식적으로 CEO로 공식 임명되었다.<ref>"[https://de.wikipedia.org/wiki/Klaus_Rosenfeld Klaus Rosenfeld]", ''Wikipedia''</ref>
 
  
 
==주요 제품==
 
==주요 제품==
150번째 줄: 123번째 줄:
 
* 전기 휠 허브 구동 장치 : 셰플러의 휠 허브 구동 장치는 전기 모터, 전력 전자 장치, 브레이크, 냉각 시스템은 휠 림에 직접 설치되어 힘이 도로에 직접 전달되어 민첩성과 안전성이 증가한다. 셰플러의 E-휠 드라이브는 완전히 새로운 차량 콘셉트를 선보였으며 스티어링 로크가 개선된 덕분에 가장 작은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전기 휠 허브 구동 장치 : 셰플러의 휠 허브 구동 장치는 전기 모터, 전력 전자 장치, 브레이크, 냉각 시스템은 휠 림에 직접 설치되어 힘이 도로에 직접 전달되어 민첩성과 안전성이 증가한다. 셰플러의 E-휠 드라이브는 완전히 새로운 차량 콘셉트를 선보였으며 스티어링 로크가 개선된 덕분에 가장 작은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
 
}}
 
===대한민국과의 관계===
 
셰플러코리아는 6.25전쟁의 상처가 미처 아물기도 전에 한국 기계 산업의 중흥을 위해 1953년 설립된 신한베어링공업(주)으로 시작하여 지금까지 우리나라 최대, 최고의 베어링 생산 업체의 자리를 지켜 왔다. 1998년 글로벌화, 세계화에 발맞추어 독일FAG와 [[한화그룹]]이 FAG한화베어링이라는 합작법인으로 재출발하였고 2006년 6월 1일 INA, FAG, LuK 3사가 합병해 셰플러코리아로 통합 출범되었으며 2011년 매출 1조 원을 달성하였으며 셰플러코리아는 베어링, 다양한 자동차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거듭났다. 셰플러는 대한민국에 서울의 본사를 포함하여 창원, 전주, 안산, 안성에 공장, 물류센터 및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리서치 기업 스태티스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직장 2021에 선정되었으며 자동차 산업 부문에서는 기아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등과 함께 최고의 직장 탑 5에 선정되었다.<ref>〈[https://www.schaeffler.kr/content.schaeffler.kr/ko/%ED%9A%8C%EC%82%AC/index.jsp 회사]〉, 《셰플러코리아》</ref>
 
 
==미래 발전==
 
===로드맵 2025===
 
셰플러의 전략은 미래 지향적이고 표적화된 방식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계속하기 위하여 회사의 강점을 바탕으로 기업 프로필을 더욱 강화하고 개별 비즈니스 영역에서 더욱 집중적이고 효율적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설계되었다. 고객과 고객의 요구가 모든 비즈니스 활동의 중심으로 고객, 파트너 및 사회와 협력하여 모빌리티 및 모션의 미래를 만들려고 한다. 케이지 가이드 형 니들 롤러 베어링의 발명으로 셰플러는 업계의 리더가 되었으며 자동차, 기계, 풍력 등 여러 산업 응용 분야에 회전 및 선형 운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변화하는 고객 요구사항과 함께 점점 더 역동적이고 복잡한 환경에서 진정한 선구자가 되려면 회사로 계속 발전하고 더욱 혁신적이고 민첩하며 효율적이 되어야 하며 항상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것을 중심에 두고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성공하려고 고부가가치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어 글로벌 이동 방식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전략 개발의 일환으로 특히 비즈니스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5가지 미래 트렌드를 확인하였으며 여기에는 지속 가능성 및 기후 변화, 새로운 이동성 및 전기 동력 전달 장치, 자율 생산, 데이터 경제 및 디지털화, 인구 통계 학적 변화가 포함된다. 이를 바탕으로 5개의 중점 영역이 정의되어 잠재적 성장 이니셔티브를 위한 콘텐츠 관련 프레임 워크를 형성하여 전략적 투자 분야를 지정하였다.
 
* '''CO₂ 효율적인 드라이브''' :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다양한 배출 규제로 더욱 강조된 CO2 효율 드라이브는 자동차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셰플러는 차량 전체 수준까지의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모든 유형의 파워 트레인에 대한 구성 요소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과 협력하여 CO2 효율적인 파워 트레인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당사의 제품 포트폴리오는 내연기관용 솔루션에서 하이브리드 솔루션 및 완전 전기 구동 시스템으로 확장되며 구성요소 및 스택에서 시스템 수준에 이르기까지 연료 전지 전문 지식을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 '''랜딩 기어 애플리케이션''' : 섀시 응용 분야는 주로 새로운 형태의 이동성에 대한 추세와 자율 주행을 향한 주행 기능의 점진적 자동화에 의해 주도된다. 셰플러는 특히 필요한 안정성과 보안과 관련하여 구성 요소 및 시스템 수준에서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섀시 구성 요소의 지속적인 추가 개발과 혁신적인 바이 와이어 솔루션의 시리즈 개발이 포함된다. 영역에서 혁신적인 섀시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차 비즈니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물류 또는 운송 부문의 자율 주행 차량에도 적용된다.
 
* '''산업 기계 및 장비''' : 셰플러는 자동 생산을 늘리기 위해 성장하는 로봇 시장을 위해 고객에게 혁신적인 메카트로닉 시스템을 제공하려고 한다. 당사의 고성능 정밀 로봇 암 액추에이터는 특히 주목하면 소형 전기 모터 기술, 코팅 된 센서 및 낮은 마찰과 높은 내마모성을 가진 베어링이 특징이다. 회전식 또는 선형 응용 분야에 대한 당사의 고전적인 구성 요소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재생에너지''' : 주요 기후 문제를 배경으로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전 세계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너지 산업의 파트너인 셰플러는 재생 에너지 발전의 확장을 지원한다. 풍력 터빈용 저장 솔루션부터 태양열 및 수력 발전 부문 용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당사는 고객에게 재생 에너지를 보다 경제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재생 에너지의 초점 영역은 지속 가능성 전략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 '''애프터 마켓 및 서비스 솔루션''' : 자율 생산 분야의 발전, 새로운 모빌리티 개념, 차량 네트워킹 및 증가하는 데이터 경제 추세로 인해 서비스는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점점 더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산업 기업은 광범위한 기계 및 시스템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모니터링 및 서비스 솔루션의 혜택을 받는 반면 증가하는 기술 복잡성과 차량 네트워킹에는 혁신적인 수리 솔루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당사 제품군에 데이터 기반 서비스와 혁신적인 플러그 앤 플레이  솔루션이 추가됨에 따라 당사는 부품 공급 업체에서 시스템 및 통합 솔루션 공급 업체로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ref>"[https://www.schaeffler.com/content.schaeffler.com/de/strategy/strategy.jsp Strategie]", ''Schaeffler Gruppe''</ref>
 
 
==보도 자료==
 
60여 년간 다져진 국내의 기술과 독일 선진 기술을 접목 자동차 및 산업 기계용 정밀 부품과 시스템 공급업체 셰플러코리아(대표 이병찬)가 글로벌 리서치 기업 스태티스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직장 2021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자동차 산업 부문에서는 기아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등과 함께 최고의 직장 탑 5에 선정됐다. 독일에 본사를 둔 스태티스타는 뉴스위크, 파이낸셜타임스, 포브스 등 세계 권위지들과 함께 매년 최고의 직장을 조사해 국가별로 발표하고 있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는 올해 처음 진행한 것으로 총 4,500여 개 기업 중 30개 산업 분야에서 400개 기업이 선정됐다. 평가 기준은 국내 1만 5,000명의 임직원 대상으로 가족과 친지, 동종업계 종사자에 추천 의향이 있는지 여부 등을 종합한 48만 건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였다. 셰플러코리아는 해당 조사에서 10점 만점에 6.9 점을 기록해 400대 기업에 올랐다. 이는 직원들의 발전과 역량 개발을 적극 지원하며 세대, 성별, 지역 등과 관계없이 평등하게 대우하는 기업 문화 등이 높이 평가되었다.<ref>양윤모,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9937 셰플러코리아,'대한민국 최고의 직장 2021'선정 영예]〉, 《글로벌경제신문》, 2021-03-12</ref>
 
  
 
{{각주}}
 
{{각주}}
171번째 줄: 129번째 줄:
 
* 셰플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chaeffler.com/
 
* 셰플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chaeffler.com/
 
* 셰플러 코리아 홈페이지 – https://www.schaeffler.kr/
 
* 셰플러 코리아 홈페이지 – https://www.schaeffler.kr/
* "[https://de.wikipedia.org/wiki/Schaeffler-Gruppe Schaeffler-Gruppe]", ''Wikipedia''
 
* "[https://https://en.wikipedia.org/wiki/Schaeffler_Group Schaeffler Group]", ''Wikipedia''
 
* "[https://de.wikipedia.org/wiki/Klaus_Rosenfeld Klaus Rosenfeld]", ''Wikipedia''
 
* "[https://www.schaeffler.com/content.schaeffler.com/de/strategy/strategy.jsp Strategie]", ''Schaeffler Gruppe''
 
* 〈[https://www.schaeffler.kr/content.schaeffler.kr/ko/%ED%9A%8C%EC%82%AC/index.jsp 회사]〉, 《셰플러코리아》
 
* 양윤모,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9937 셰플러코리아,'대한민국 최고의 직장 2021'선정 영예]〉, 《글로벌경제신문》, 2021-03-1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클라우스 로젠펠트]]
 
* [[아우디]]
 
* [[폭스바겐]]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