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켓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차량소켓.png|썸네일|400픽셀|'''충전기 커넥터 및 차량소켓''']]
+
'''소켓'''<!--소케트, 소켓트-->(socket)은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통신]]의 종착점이다. 즉, 소켓은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연결부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이기 때문에 통신할 두 프로그램 모두가 소켓이 생성되어야 한다. (A)소켓을 통해 연결 요청이 있을 때까지 기다리다 (B)소켓에서 연결요청을 하면 (A)소켓이 허락을 하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ref>〈[https://medium.com/@su_bak/term-socket%EC%9D%B4%EB%9E%80-7ca7963617ff 소켓이란]〉, ''Medium'', 2020-06-04</ref><ref>〈[https://www.daleseo.com/what-is-a-socket/ 소켓이란 무엇인가]〉, ''daleseo'', 2016-12-15</ref> 소켓을 간단히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덧붙이면 친구에게 [[택배]]를 보낸다고 했을 때 상자에 보낼 물건을 넣고 나의 이름 주소 등의 인적사항과 친구의 집 주소를 적어야 한다. 컴퓨터에서는 이 역할을 소켓이 해준다고 보면 된다.<ref name=" ">〈[https://namu.wiki/w/%EC%86%8C%EC%BC%93 소켓]〉, 《나무위키》, 2021-10-15</ref>  
'''소켓'''<!--Socket, 소켓트-->(Socket)은 [[전구]], [[형광등]], [[진공관]], [[전기차]] [[충전기]]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구멍으로 만들어진 전기용품이다. 회로의 고정 부분 끝에 있는 장치로서 이 소켓에 [[플러그]](plug)삽입하면 회로가 연결된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5486&cid=50324&categoryId=50324 소켓]〉, 《지식백과》</ref>  
 
  
== 역사 ==
+
== 개요 ==
1880년대에 상업용 전력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 주로 조명에 사용되었다. 다른 휴대용 기기 (진공청소기, 선풍기, 스무딩 다리미 및 컬링 통 히터)는 전구 소켓에 연결되었다. 1885년에 영국 시장에서 2핀 플러그 및 벽면 소켓 형식을 사용할 수 있었다. 1910년경에 최초의 3핀 접지 플러그가 등장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안전 개선 사항이 점차 시장에 소개되었고  플러그 및 벽면 소켓 형태에 대한 최초의 국가 표준은 1915년에 설정되었다. 국가별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 및 소켓 유형 감전 및 화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플러그와 소켓의 설계가 점차적으로 개발되여 플러그는 충전부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모양이 되어 있으며 소켓이 움푹 들어갈 수 있게 되였다. 일부 유형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도 있다. 퓨즈 및 스위치 소켓의 셔터는 이물질이 라이브 접점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최초의 셔터 소켓은 1893년 영국 제조업체 [[크롬프튼]](Crompton)에 의해 도입되었다. 라이브 접촉 노출을 줄이기 위해 핀 섕크의 전기 절연이 1905년에 일부 설계에 추가되였고 연결을 위한 세번째 연락처 지구 연결된 장치의 절연 실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초기 발굴 된 플러그 및 소켓 유형은 접지 핀을 포함하도록 수정되었거나 접지 유형을 위해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플러그는 종종 전원이 공급되는 회로 접점보다 먼저 접지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계되였다. 할당 된 [[IEC]] 기기 등급 접지 또는 동등한 보호에 대한 요구 사항이 적용되여 클래스(Class)I 장비는 플러그와 소켓에 접지가 필요하며 클래스(Class)II 장비는 접지되지 않고 사용자를 보호하고 있다.<ref> 〈[https://ko.hrvwiki.net/wiki/ac_power_plugs_and_sockets AC 전원 플러그 및 소켓]〉, ''W'', </ref>
+
소켓은 미국 [[버클리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서 만들어져 1982년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UNIX 4.1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것은 1986년 BSD UNIX 4.3에서 개정된 것이다. 그래서 이 소켓을 [[BSD소켓]] 또는 [[버클리소켓]]이라고 불리며 개발자는 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다.<ref name=" ">[https://namu.wiki/w/%EC%86%8C%EC%BC%93 소켓]〉, 《나무위키》, 2021-10-15</ref>  
  
소켓은 버클리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서 만들어져 1982년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UNIX 4.1에서 처음 소개 되었으며 현재 널리 사용 되는 것은 1986년 BSD UNIX 4.3에서 개정 된 것이다. 그래서 이 소켓을 [[BSD소켓]] 또는 [[버클리소켓]]이라고 불리며 개발자는 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었다.<ref name=" ">〈[https://namu.wiki/w/%EC%86%8C%EC%BC%93 소켓]〉, 《나무위키》, 2021-10-15</ref>
+
== 전기차 소켓 종류 ==
 
+
[[파일:차량소켓.png|썸네일|400픽셀|'''차량소켓''']]
== 전기차 충전기 소켓 종류 ==
+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되는 [[속도]]에 따라 빠르게 충전되는 [[급속충전기]]천천히 충전되는 [[완속충전기]]로 구분이 된다. 또한 설치 장소와 방법에 따라 이동형 충전기와 스탠드형 충전기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제조사와 판매사의 브랜드별로 충전기 커넥터와 차량 소켓에 따라 4가지 종류가 존재해 ([[AC단상]], [[AC3상]], [[DC차데모]], [[DC콤보]]) 차량별로 충전기 타입이 표준화가 되지 않아 전기자동차 소유자들은 충전 시 유의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ref>〈[https://neweducation3.tistory.com/229 전기차 충전기 종류와 제조사별 충전 방식 커넥터와 차량 소켓 종류]〉, ''neweducation'',</ref>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되는 속도에 따라 빠르게 충전되는 [[급속]] 충전기와 천천히 충전되는 [[완속충전기]]로 구분이 된다. 또한 설치 장소와 방법에 따라 이동형, 스탠드형 충전기로 나눌수 있다. 또한 제조사와 판매사의 브랜드 별로 충전기 커넥터와 차량 소켓에 따라 4가지 종류가 현재 존재해 ([[AC단상]], [[AC3상]], [[DC차데모]], [[DC콤보]]) 차량별로 충전기 타입이 표준화가 되지 않아 전기자동차 소유자들은 충전시 유의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ref>〈[https://neweducation3.tistory.com/229 전기차 충전기 종류와 제조사별 충전 방식 커넥터와 차량 소켓 종류]〉, ''neweducation'',</ref>
 
 
 
=== AC단상 소켓(5핀) ===
 
[[파일:AC단상 소켓.png|썸네일|200픽셀|'''AC단상 소켓''']]
 
* 전류 입력: 32A
 
* 작동 전압: 120 ~ 240V AC
 
* 절연 저항: >1,000mΩ (DC500V)
 
* 끝 온도 상승: <50K
 
* 반항 전압: 2,000V
 
* 접촉 임피던스: 최대 0.5 mΩ
 
* 작동 온도: -30 °C ~ + 50 °C
 
 
 
=== AC3상 소켓(7핀) ===
 
[[파일:AC3상 소켓.png|썸네일|200픽셀|'''AC3상 소켓''']]
 
* 전류 입력: 16A-63A
 
* 작동 전압: 240V AC
 
* 절연 저항: > 1000M Ω
 
* 터미널 온도 상승: <50K
 
* 내전압: 2000V
 
* 접촉 임피던스: 최대 0.5m Ω
 
* 진동 저항: JDQ 53.3 요구 사항 충족
 
* 작동 온도: -30 ℃ ~ + 50 ℃
 
 
 
=== DC차데모 소켓(10핀) ===
 
[[파일:DC차데모 소켓.png|썸네일|200픽셀|'''DC차데모 소켓''']]
 
* DC 입력: 125A 500V DC 최대
 
* DC 최대 충전 전력: 62.5KW
 
* 터미널 온도 상승: <50K
 
* 접촉 저항: 최대 0.5m Ω
 
* 내전압: 3200V
 
* 케이블: 케이블 없음
 
* 재질: 열가소성, 난연성 등급 UL94 V-0
 
* 핀 재질: 구리 합금, 상단에 은색 열가소성 수지
 
* 작동 온도: -30 ℃ ~ + 50 ℃
 
 
 
=== DC콤보 소켓(7핀) ===
 
[[파일:DC콤보 소켓.png|썸네일|200픽셀|'''DC콤보 소켓''']]
 
* DC 입력: 150A 850V DC 최대
 
* AC 입력: 63A 220V AC 최대
 
* DC 최대 충전 전력: 127.5KW
 
* AC 최대 충전 전력: 41.5KW
 
* 터미널 온도 상승: <50K
 
* 접촉 저항: 최대 0.5m Ω
 
* 내전압: 3200V
 
* 케이블: 케이블 없음
 
* 재질: 열가소성, 난연성 등급 UL94 V-0
 
* 핀 재질: 구리 합금, 상단에 은색 열가소성 수지
 
* 작동 온도: -30 ℃ ~ + 50 ℃
 
  
 +
== 역사 ==
 +
1880년대에 상업용 전력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 주로 [[조명]]에 사용되었다. 다른 휴대용 기기 (진공청소기, 선풍기, 스무딩 다리미 및 컬링 통 히터)는 전구 소켓에 연결되었다. 1885년에 영국 시장에서 2핀 플러그 및 벽면 소켓 형식을 사용할 수 있었다. 1910년경에 최초의 3핀 접지 플러그가 등장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안전 개선 사항이 점차 시장에 소개되었고  플러그 및 벽면 소켓 형태에 대한 최초의 국가 표준은 1915년에 설정되었다. 국가별로 사용되는 전원 플러그 및 소켓 유형 감전 및 화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플러그와 소켓의 설계가 점차적으로 개발되여 플러그는 충전부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모양이 되어 있으며 소켓이 움푹 들어갈 수 있게 되였다. 일부 유형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도 있다. 퓨즈 및 스위치 소켓의 셔터는 이물질이 라이브 접점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최초의 셔터 소켓은 1893년 영국 제조업체 [[크롬프튼]](Crompton)에 의해 도입되었다. 라이브 접촉 노출을 줄이기 위해 핀 섕크의 전기 절연이 1905년에 일부 설계에 추가되였고 연결을 위한 세번째 연락처 지구 연결된 장치의 절연 실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초기 발굴 된 플러그 및 소켓 유형은 접지 핀을 포함하도록 수정되었거나 접지 유형을 위해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플러그는 종종 전원이 공급되는 회로 접점보다 먼저 접지 접점이 연결되도록 설계되였다. 할당 된 [[IEC]] 기기 등급 접지 또는 동등한 보호에 대한 요구 사항이 적용되여 클래스(Class)I 장비는 플러그와 소켓에 접지가 필요하며 클래스(Class)II 장비는 접지되지 않고 사용자를 보호하고 있다.<ref> 〈[https://ko.hrvwiki.net/wiki/ac_power_plugs_and_sockets AC 전원 플러그 및 소켓]〉, ''W'', </ref>
 +
 
== 동영상 ==
 
== 동영상 ==
 
=== 전기차 충전기 소켓 7핀을 5핀 소켓으로 바꾸기 ===
 
=== 전기차 충전기 소켓 7핀을 5핀 소켓으로 바꾸기 ===
69번째 줄: 23번째 줄:
 
* 〈[https://patents.google.com/patent/WO2013129725A1/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소켓, 충전기 소켓 및 이를 포함한 충전 시스템]〉, ''googlepatents'’
 
* 〈[https://patents.google.com/patent/WO2013129725A1/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소켓, 충전기 소켓 및 이를 포함한 충전 시스템]〉, ''googlepatents'’
 
* 〈[https://neweducation3.tistory.com/229 전기차 충전기 종류와 제조사별 충전 방식,커넥터와 차량 소켓 종류]〉, ''neweducation'’
 
* 〈[https://neweducation3.tistory.com/229 전기차 충전기 종류와 제조사별 충전 방식,커넥터와 차량 소켓 종류]〉, ''neweducation'’
* [https://www.phoenixcontact.com/ko-kr/products/charging-technology-for-e-mobility/vehicle-charging-inlets#ex-content-transclusion-snippet--245 완속충전기 풀러그에 맞는 소켓]〉, 《네이버블로그》, 2019-03-12
+
* [https://ko.hrvwiki.net/wiki/ac_power_plugs_and_sockets AC 전원 플러그 및 소켓]〉, ''W''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rlightshop&logNo=221485955814 전기차 다용도 차량용 충전 소켓]〉, 《피틱스컨택트》
 
  
 
==같이 보기==
 
==같이 보기==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