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베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솔베이 로고.png|썸네일|200픽셀|'''솔베이'''(Solvay)]]
 
[[파일:솔베이 로고.png|썸네일|200픽셀|'''솔베이'''(Solvay)]]
 
[[파일:솔베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솔베이'''(Solvay)]]
 
[[파일:솔베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솔베이'''(Solvay)]]
[[파일:에르네스트 솔베이.jpg|썸네일|200픽셀|'''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 솔베이 창시자]]   
+
[[파일:에르네스트 솔베이.jpg|썸네일|200픽셀|'''솔베이''' 창시자 '''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   
[[파일:일함 카드리.jpg|썸네일|200픽셀|'''[[일함 카드리]]'''(Ilham Kadri) 솔베이 CEO]]   
+
[[파일:일함 카드리.jpg|썸네일|200픽셀|'''솔베이''' CEO '''[[일함 카드리]]'''(Ilham Kadri)]]   
  
'''솔베이'''(Solvay)는 본사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글로벌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1863년에 설립되었다. 창시자는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이다. 현재 CEO는 2019년에 임명된 '''[[일함 카드리]]'''(Ilham Kadri)이다.  
+
'''솔베이'''(Solvay)는 본사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글로벌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1863년에 설립되었고 창시자는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이며 현재 CEO는 2019년에 임명된 '''[[일함 카드리]]'''(Ilham Kadri)이다.  
  
 
== 개요 ==   
 
== 개요 ==   
'''솔베이'''(Solvay)는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을 포함한 64개 국가에 사업장과 23,000명의 임직원을 가진 [[화학]]과 [[플라스틱]] 분야의 글로벌 5대 화학 그룹 중의 하나이며 총매출액은 89억 유로에 달한다. 현재 에너지, 전자, 자동차·항공 등에 쓰이는 첨단소재와 특수화학소재를 전문으로 생산한다.  
+
'''솔베이'''(Solvay)는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을 포함한 64개 국가에 사업장과 23,000명의 임직원을 가진 화학과 플라스틱 분야의 글로벌 5대 화학 그룹 중의 하나이며 총매출액은 89억 유로에 달한다. 현재 에너지, 전자, 자동차·항공 등에 쓰이는 첨단소재와 특수화학소재를 전문으로 생산한다.  
 
+
솔베이는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와 그의 형 알프레드(Alfred)를 비롯한 소수의 친인이 함께 발명한 암모니아소다법(솔베이법)이라는 기술적 혁신을 바탕으로 1863년에 설립되었다. 1900년에 전 세계적으로 소비된 소다회 중 95%는 솔베이법을 통해 생산되었다. 솔베이그룹은 주주 대부분이 가족이었고 제조 비법을 철저히 기밀로 한 덕분에 1, 2차 세계대전을 모두 이겨낼 수 있었고 100주년 될 때까지 기술을 독점할 수 있었다. 솔베이는 1950년대 초부터 글로벌 확장을 시작했는데 현재 제약 분야를 철수하고 로디아(Rhodia)를 인수하며 [[에너지]] 신소재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화쪽으로 변하고 있다.  
솔베이는 [[에르네스트 솔베이]](Ernest Solvay)와 그의 형 [[알프레드 솔베이]](Alfred Solvay)를 비롯한 소수의 친인이 함께 발명한 [[암모니아소다법]]([[솔베이법]])이라는 기술적 혁신을 바탕으로 1863년에 설립되었다. 1900년에 전 세계적으로 소비된 [[소다회]] 중 95%는 솔베이법을 통해 생산되었다. 솔베이그룹은 주주 대부분이 가족이었고, 제조 비법을 철저히 기밀로 한 덕분에 1, 2차 세계대전을 모두 이겨낼 수 있었고, 100주년 될 때까지 기술을 독점할 수 있었다. 솔베이는 1950년대 초부터 글로벌 확장을 시작했는데 현재 제약 분야를 철수하고 [[로디아]](Rhodia)를 인수하며 [[에너지]] 신소재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 연혁==
 
==주요 연혁==
16번째 줄: 15번째 줄:
 
* 1870년 : 영국, 독일, 러이사, 미국에 공장 확장.
 
* 1870년 : 영국, 독일, 러이사, 미국에 공장 확장.
 
* 1900년 : 세계 소다회의 95%를 생산.
 
* 1900년 : 세계 소다회의 95%를 생산.
* 2009년 : 화학, 플라스틱, 제약 산업의 글로벌기업으로 발전.
+
2009년 : 화학, 플라스틱, 제약 산업의 글로벌기업으로 발전.
 
* 2010년 : 52억 유로(그중 현금 45억 유로)의 가격으로 제약산업을 미국 Abbott에 매각.
 
* 2010년 : 52억 유로(그중 현금 45억 유로)의 가격으로 제약산업을 미국 Abbott에 매각.
 
* 2011년 : 우호 협상으로 프랑스 화학 회사인 로디아(Rhodia)를 66억 유로(그중 현금 34억 유로)인수.
 
* 2011년 : 우호 협상으로 프랑스 화학 회사인 로디아(Rhodia)를 66억 유로(그중 현금 34억 유로)인수.
48번째 줄: 47번째 줄:
 
* 솔베이의 경량 고성능 폴리머는 [[배터리팩]]과 모듈에 설계 유연성, 비용 절감, 부식 및 화학 내성, 전기 절연, 가공 용이성을 제공해준다. 솔베이의 배터리팩 냉각제는 전기 및 화학적 안전성, 고효율 냉각, 직접 냉각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솔베이의 금속 대체용 반결정성 폴리머 제품으로는 Amodel® 폴리프탈아미드, Ryton®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Ixef® 폴리아릴아미드 등이 있다. 이 소재들은 높은 기계적 강도, 우수한 화학 내성, 난연성, 치수 안정성을 고루 갖추고 있다. 배터리의 직접 함침 냉각을 위한 솔베이의 Galden® 과불소폴리에테르는 고도의 열 안정성, 폭넓은 작동 온도, 우수한 유전 특성, 탁월한 화학적 불활성 등을 제공하는 불활성 불화 유체이며 열전도 유체는 발화점 또는 연소점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팩의 액상 냉각제로 적합하다.<ref>변국영 기자,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79  솔베이, 배터리 소재 사업 적극 나선다]〉, 《에너지데일리》, 2019-07-08</ref>
 
* 솔베이의 경량 고성능 폴리머는 [[배터리팩]]과 모듈에 설계 유연성, 비용 절감, 부식 및 화학 내성, 전기 절연, 가공 용이성을 제공해준다. 솔베이의 배터리팩 냉각제는 전기 및 화학적 안전성, 고효율 냉각, 직접 냉각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솔베이의 금속 대체용 반결정성 폴리머 제품으로는 Amodel® 폴리프탈아미드, Ryton®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Ixef® 폴리아릴아미드 등이 있다. 이 소재들은 높은 기계적 강도, 우수한 화학 내성, 난연성, 치수 안정성을 고루 갖추고 있다. 배터리의 직접 함침 냉각을 위한 솔베이의 Galden® 과불소폴리에테르는 고도의 열 안정성, 폭넓은 작동 온도, 우수한 유전 특성, 탁월한 화학적 불활성 등을 제공하는 불활성 불화 유체이며 열전도 유체는 발화점 또는 연소점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팩의 액상 냉각제로 적합하다.<ref>변국영 기자,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79  솔베이, 배터리 소재 사업 적극 나선다]〉, 《에너지데일리》, 2019-07-08</ref>
  
* 솔베이가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의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주는 신소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2019 글로벌 소재테크페어'에서 솔베이가 개발하는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와 친환경 타이어용 [[실리카]] 소재를 소개했다. 솔베이는 플루오린 화학 분야 선도 업체로 고전압 전해질용 플루오르화 용매, 전해질용 불소 첨가제, 바인더, 고전압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와 [[리튬염]], [[분리막]] 코팅 소재 등 [[리튬 이온 배터리]] 분야에 필요한 고성능 소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솔베이는 '포스트 리튬이온 배터리' 시대에 대비해 전고체 전지용 소재와 친환경 타이어용 실리카 소재를 준비하고 있다. <ref>정현정 기자, 〈[https://m.etnews.com/20191112000114  솔베이 "친환경 소재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시장 선도"]〉, 《전자신문》, 2019-11-12</ref>
+
* 솔베이가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의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주는 신소재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2019 글로벌 소재테크페어'에서 솔베이가 개발하는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와 친환경 타이어용 [[실리카]] 소재를 소개했다. 솔베이는 플루오린 화학 분야 선도 업체로 고전압 전해질용 플루오르화 용매, 전해질용 불소 첨가제, 바인더, 고전압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와 [[리튬 염]], [[분리막]] 코팅 소재 등 [[리튬 이온 배터리]] 분야에 필요한 고성능 소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솔베이는 '포스트 리튬이온 배터리' 시대에 대비해 전고체 전지용 소재와 친환경 타이어용 실리카 소재를 준비하고 있다. <ref>정현정 기자, 〈[https://m.etnews.com/20191112000114  솔베이 "친환경 소재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시장 선도"]〉, 《전자신문》, 2019-11-12</ref>
  
 
* 솔베이는 배터리용 차세대 고체 [[전해질]] 개발의 발걸음을 다그치고 있다. 2021년 초에 파리의 연구센터에 건식실험실을 설립한 후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부품재료에 대학 혁신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상반년에 성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되고 있는데 솔베이 소재를 사용한 배터리로 하여금 더 긴 주행거리, 더 짧은 충전시간, 향상된 안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f>"[https://www.automotiveworld.com/news-releases/solvay-accelerates-innovation-on-next-gen-solid-state-ev-batteries/  Solvay accelerates innovation on next-gen solid-state EV batteries]", ''Automotive World'', 2021-10-19</ref>
 
* 솔베이는 배터리용 차세대 고체 [[전해질]] 개발의 발걸음을 다그치고 있다. 2021년 초에 파리의 연구센터에 건식실험실을 설립한 후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부품재료에 대학 혁신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상반년에 성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되고 있는데 솔베이 소재를 사용한 배터리로 하여금 더 긴 주행거리, 더 짧은 충전시간, 향상된 안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f>"[https://www.automotiveworld.com/news-releases/solvay-accelerates-innovation-on-next-gen-solid-state-ev-batteries/  Solvay accelerates innovation on next-gen solid-state EV batteries]", ''Automotive World'', 2021-10-19</ref>
78번째 줄: 77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 [[솔베이 회의]]
 +
* [[폴리머]]
 +
* [[솔베이 상]]
 
* [[실리콘]]
 
* [[실리콘]]
 
* [[전해질]]
 
* [[전해질]]
* [[폴리머]]
 
* [[솔베이 상]]
 
* [[솔베이 회의]]
 
  
 +
{{로고 수정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