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기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3번째 줄: 103번째 줄:
  
 
== 전망 ==
 
== 전망 ==
===시장 전망===
+
* 시장 전망
세계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시장은 연평균 20.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소비자 부문 비중이 점차 늘어 2019년에는 기업 부문을 추월할 전망이다. 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장 규모는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약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22년까지 약 5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 워치는 2022년까지 약 1억 2,400만 대 규모로 성장하고 스마트 안경도 약 5,450만 대 수준으로 폭증할 것으로 보이나 피트니스 밴드류는 성장이 정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워치 및 스마트 안경의 성장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보고 있다. 현재 스마트기기 시장의 규모를 산출하는 통계가 마련되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포함하여 보고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시장의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두 시장을 결합하여 해석할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
: 세계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시장은 연평균 20.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소비자 부문 비중이 점차 늘어 2019년에는 기업 부문을 추월할 전망이다. 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장 규모는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약 3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22년까지 약 5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 워치는 2022년까지 약 1억 2,400만 대 규모로 성장하고 스마트 안경도 약 5,450만 대 수준으로 폭증할 것으로 보이나 피트니스 밴드류는 성장이 정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워치 및 스마트 안경의 성장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보고 있다. 현재 스마트기기 시장의 규모를 산출하는 통계가 마련되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포함하여 보고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시장의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두 시장을 결합하여 해석할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산업 전망===
+
* 산업 전망
구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 연동을 위한 플랫폼 확장 전략, 다양한 디바이스 연계를 통한 사물인터넷 시장의 주도권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애플에서는 2014년 홈 키트(Home Kit)라는 [[스마트홈]] 중심의 스마트기기 플랫폼을 소개하였고 최근 30여 종의 홈 키트 지원 디바이스 리스트를 공개하였다. 지속해서 범위 및 제품을 확대할 것으로 뵈며 기존의 아이폰 전략과 비슷하게 특유의 폐쇄적인 생태계 전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 기업에서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 선점 경쟁을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아마존]]의 [[알렉사]](Alexa), [[구글]]의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등 음성 비서 서비스를 탑재한 디바이스가 확대되면서 인공지능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
: 구글에서는 안드로이드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 연동을 위한 플랫폼 확장 전략, 다양한 디바이스 연계를 통한 사물인터넷 시장의 주도권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애플에서는 2014년 홈 키트(Home Kit)라는 [[스마트홈]] 중심의 스마트기기 플랫폼을 소개하였고 최근 30여 종의 홈 키트 지원 디바이스 리스트를 공개하였다. 지속해서 범위 및 제품을 확대할 것으로 뵈며 기존의 아이폰 전략과 비슷하게 특유의 폐쇄적인 생태계 전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 기업에서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 선점 경쟁을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아마존]]의 [[알렉사]](Alexa), [[구글]]의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등 음성 비서 서비스를 탑재한 디바이스가 확대되면서 인공지능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스마트기기는 아직 필수재라기보다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사치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사용 만족도의 결과 매우 만족의 비율이 6.5%의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아 아직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사용한 경험 및 활용률이 높은 20대에서 스마트기기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나타난 것을 통해 향후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가 증가하면서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기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가 다양하고 대부분 먼저 경험 및 체험 후에 직접 구매를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성장 속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체험 공간의 확대 혹은 판매가 아닌 대여 방식의 도입 등으로 사용자에게 다가가는 전략이 우선되어야 한다.<ref>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동향과 소비자 인식 PDF - https://mangastorytelling.tistory.com/attachment/cfile5.uf@25270F39590B203631ED41.pdf</ref>
+
: 스마트기기는 아직 필수재라기보다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사치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사용 만족도의 결과 매우 만족의 비율이 6.5%의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아 아직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를 사용한 경험 및 활용률이 높은 20대에서 스마트기기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나타난 것을 통해 향후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가 증가하면서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기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가 다양하고 대부분 먼저 경험 및 체험 후에 직접 구매를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성장 속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체험 공간의 확대 혹은 판매가 아닌 대여 방식의 도입 등으로 사용자에게 다가가는 전략이 우선되어야 한다.<ref>스마트 디바이스 산업 동향과 소비자 인식 PDF - https://mangastorytelling.tistory.com/attachment/cfile5.uf@25270F39590B203631ED41.pdf</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