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바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스바루'''<!--주식회사 스바루, ㈜스바루, -->(Subaru, スバル)<!--Subaru Corp-->는 1995년에 설립된, [[일본]]의 [[자동차]] 제조회사이다. 또한, 후지중공업의 자동차 제조 부분 및 항공기 제조 부문의 브랜드명이기도 하다. 본사는 도쿄도 시부야구 에비스 1-20-8 에비스 스바루 빌딩이다. 한국에서는 2010년부터 정식 판매를 개시하였으며, 승용차 레거시와 SUV 포레스터, 아웃백을 판매하고 있었으나 판매 부진에 따라 2013년에 철수했다.
 
'''스바루'''<!--주식회사 스바루, ㈜스바루, -->(Subaru, スバル)<!--Subaru Corp-->는 1995년에 설립된, [[일본]]의 [[자동차]] 제조회사이다. 또한, 후지중공업의 자동차 제조 부분 및 항공기 제조 부문의 브랜드명이기도 하다. 본사는 도쿄도 시부야구 에비스 1-20-8 에비스 스바루 빌딩이다. 한국에서는 2010년부터 정식 판매를 개시하였으며, 승용차 레거시와 SUV 포레스터, 아웃백을 판매하고 있었으나 판매 부진에 따라 2013년에 철수했다.
{{:자동차 배너|현대}}
 
  
 
==개요==
 
==개요==
20번째 줄: 19번째 줄: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EV) 개발은 1960년대 후반 국산업체 각사의 개발경쟁이 있어 1971년 제18회 도쿄모터쇼에 스바루 ff-1300G 밴을 기반으로 소니제 연료전지를 채용한 '스바루 일렉트로왜건 X-1'을 참고 출품했다. 그 후, 별로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었지만, 돌연 2002년 5월, NEC와 후지중공업과의 공동 출자에 의한 합작으로 'NEC라미온 에너지' 를 설립해, 자동차용 망간계 리튬 이온 조합 전지의 개발 개시를 발표했다. 2005년 6월, 도쿄 전력과 공동 개발에 의한 경차 'R1'을 베이스로 한 EV, 'R1e'를 공개하고 2007년 봄부터 납품을 개시했다. 2009년 6월 4일에는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스텔라'를 발표하고 같은해 7월부터 2년간 400대 한정으로 리스 납품을 개시했다. 경차시장에서의 철수와 함께 생산을 중지하고, 토요타와 공동 개발하는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주력했다.<ref name="스텔라중지">〈[https://toyokeizai.net/articles/-/7362?page=3 '10年以内に販売台数100万台超えを目指す'--富士重・吉永社長インタビュー]〉, 《동양경제》, 2011-07-08</ref><ref name="착수">〈[https://xtech.nikkei.com/dm/article/NEWS/20090918/175461/ 【関連サイト】EVに舵を切る日産、狙いは量販、2次電池量産から充電インフラ構築まで着手]〉, 《일경크로스테크》, 2009-09-03</ref> 2013년, 첫 HV 'XV하이브리드'를 발매하고 2015년에는 임프레자 스포츠 하이브리드'를 투입했다.<ref name="첫하이">纐纈敏也,  〈[https://response.jp/article/2013/06/24/200702.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発売】同社初のHVモデル、249万9000円から]〉, 《레스폰스》, 2013-06-24</ref><ref name=" 임프레자">大野雅人, 〈[https://response.jp/article/2015/06/19/253793.html 【スバル インプレッサ スポーツ ハイブリッド 発表】コンセプトは'DRIVING HYBRID'…1クラス上のベーシックカーめざした新インプ]〉, 《레스폰스》, 2015-06-19</ref>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L수평 대향 엔진에 연속 가변 변속기, 1모터, 파나소닉제 0.6 kWh 니켈·수소 충전지를 조합한 독자적인 시스템이다. 과급기(터보차저)에 의하지 않고 동력성능의 향상과 환경성능의 양립을 지향하고 있다.<ref name="출처">池原照雄, 〈[https://response.jp/article/2013/04/18/196281.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技術発表】吉永社長、'オリジナル'を強調]〉, 《레스폰스》, 2013-04-18</ref> 하이브리드 사양이 아닌 동일 차종에 비해 연비가 JC08모드로 30% 정도 향상되었으나, 일부 평가에서는 실제 도로상황 하의 연비향상은 한정적이며 오히려 주행의 좋은 점이나 사륜구동 설정이 있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인 것이 장점으로 여겨졌다.<ref name="하브시승">松下宏, 〈[https://response.jp/article/2013/08/15/204332.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試乗】4WDのハイブリッドに値打ちあり…]〉, 《레스폰스》, 2013-08-15</ref><ref name="연비리포트">永田恵一, 〈[https://autoc-one.jp/nenpi/1710350/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燃費レポート(1/5)]〉, 《모타》, 2013-10-11</ref>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18년 발매의 포레스터 이후 'E복서'(eBOXER)라고 불렸다.<ref name="전동화">〈[https://newswitch.jp/p/20845 スバル'電動化と走り'の両立、カギは水平対向と車体制御の相乗効果だ!]〉, 《뉴스스위치》, 2020-01-22</ref><ref name="신포레">〈[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05_18_5842/ 新型'フォレスター' 先行予約を開始]〉, 《스바루 공식 뉴스》, 2018-05-18</ref> 이와 별도로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을 기반으로 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 '스바루 스타 드라이브 기술(SUBARU Star Drive Technology)'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2018년 미국시장에 투입한 크로스 트랙(XV)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처음 탑재됐다.<ref name="크로스트랙">〈[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11_20_6532/ SUBARU 'CROSSTREK HYBRID(クロストレック ハイブリッド)'を米国で発表]〉, 《스바루 공식 뉴스》,2018-11-20</ref><ref name="플러그인">모터팬 편집부, 〈[https://motor-fan.jp/tech/10006591 スバル・クロストレック(XV)の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のメカニズムを考える]〉, 《모터팬》, 2018-11-20</ref> 또, 2005년에 개발을 발표한 '수평 대향 디젤 엔진'이 2007년 3월,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2008년 3월, 독일을 시작으로 차례차례 EU 각국과 오스트레일리아를 향해서 발매되었다. 세계 최초의 수평 대향 4기통·터보 디젤 엔진은 'EE20'이름 붙이고, DOHC·16 밸브 헤드외, 1,800 기압의 분사압을 가지는 덴소제 커먼 레일용 인젝터, IHI제 가변 노즐 터보를 장착했다. 1,998cc의 배기량에서 최고출력 150ps/3,600rpm, 최대토크 35.7kg-m/1,800rpm을 발휘하고 CO2 배출량도 148g/km로 현대적인 디젤에 적합한 성능이다. EE20형 엔진은, 2009년에 제6회 신기계 진흥상 '기계 진흥 협회 회장상'을 수상했다.<ref name="엔진상">〈[https://www.subaru.co.jp/news/archives/09_01_03/09_01_20.html 富士重工業の'水平対向ディーゼルエンジン'が第6回新機械振興賞'機械振興協会会長賞'を受賞]〉, 《후지중공업 공식 뉴스》, 2009-01-20</ref> 하지만 배기가스치는 발표 초기 "유로4 적합"에 그쳐, 보다 배출가스 규제가 엄격한 일본이나 북미시장에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발표 초기에는 시장에 2010년까지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었고 2015년에는 유로6b에 적합하게 만들었지만 일본에는 도입시기 연기와 탑재예정 차종이 몇 차례 발표되는 것으로 그쳤다. 그러나 2017년 9월, 유럽에서의 판매 부진을 원인으로 디젤차 제조와 판매를 2020년에 철수한다는 보도가 있었다.<ref name="스바루위키일"></ref><ref name="디젤철수">〈[https://www.nikkei.com/article/DGXLASDZ07H6A_X00C17A9EAF000/ SUBARU、ディーゼル車撤退 20年度めどEV集中]〉, 《일본경제신문》, 2017-09-07</ref>
+
전기자동차(EV) 개발은 1960년대 후반 국산업체 각사의 개발경쟁이 있어 1971년 제18회 도쿄모터쇼에 스바루 ff-1300G 밴을 기반으로 소니제 연료전지를 채용한 '스바루 일렉트로왜건 X-1'을 참고 출품했다. 그 후, 별로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었지만, 돌연 2002년 5월, NEC와 후지중공업과의 공동 출자에 의한 합작으로 'NEC라미온 에너지' 를 설립해, 자동차용 망간계 리튬 이온 조합 전지의 개발 개시를 발표했다. 2005년 6월, 도쿄 전력과 공동 개발에 의한 경차 'R1'을 베이스로 한 EV, 'R1e'를 공개하고 2007년 봄부터 납품을 개시했다. 2009년 6월 4일에는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스텔라'를 발표하고 같은해 7월부터 2년간 400대 한정으로 리스 납품을 개시했다. 경차시장에서의 철수와 함께 생산을 중지하고, 토요타와 공동 개발하는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주력했다.<ref name="스텔라중지">〈[https://toyokeizai.net/articles/-/7362?page=3 '10年以内に販売台数100万台超えを目指す'--富士重・吉永社長インタビュー]〉, 《동양경제》, 2011-07-08</ref><ref name="착수">〈[https://xtech.nikkei.com/dm/article/NEWS/20090918/175461/ 【関連サイト】EVに舵を切る日産、狙いは量販、2次電池量産から充電インフラ構築まで着手]〉, 《일경크로스테크》, 2009-09-03</ref> 2013년, 첫 HV 'XV하이브리드'를 발매하고 2015년에는 임프레자 스포츠 하이브리드'를 투입했다.<ref name="첫하이">纐纈敏也,  〈[https://response.jp/article/2013/06/24/200702.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発売】同社初のHVモデル、249万9000円から]〉, 《레스폰스》, 2013-06-24</ref><ref name=" 임프레자">大野雅人, 〈[https://response.jp/article/2015/06/19/253793.html 【スバル インプレッサ スポーツ ハイブリッド 発表】コンセプトは'DRIVING HYBRID'…1クラス上のベーシックカーめざした新インプ]〉, 《레스폰스》, 2015-06-19</ref>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L수평 대향 엔진에 연속 가변 변속기, 1모터, 파나소닉제 0.6 kWh 니켈·수소 충전지를 조합한 독자적인 시스템이다. 과급기(터보차저)에 의하지 않고 동력성능의 향상과 환경성능의 양립을 지향하고 있다.<ref name="출처">池原照雄, 〈[https://response.jp/article/2013/04/18/196281.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技術発表】吉永社長、'オリジナル'を強調]〉, 《레스폰스》, 2013-04-18</ref> 하이브리드 사양이 아닌 동일 차종에 비해 연비가 JC08모드로 30% 정도 향상되었으나, 일부 평가에서는 실제 도로상황 하의 연비향상은 한정적이며 오히려 주행의 좋은 점이나 사륜구동 설정이 있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인 것이 장점으로 여겨졌다.<ref name="하브시승">松下宏, 〈[https://response.jp/article/2013/08/15/204332.html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試乗】4WDのハイブリッドに値打ちあり…]〉, 《레스폰스》, 2013-08-15</ref><ref name="연비리포트">永田恵一, 〈[https://autoc-one.jp/nenpi/1710350/ スバル XVハイブリッド 燃費レポート(1/5)]〉, 《모타》, 2013-10-11</ref>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18년 발매의 포레스터 이후 'E복서'(eBOXER)라고 불렸다.<ref name="전동화">〈[https://newswitch.jp/p/20845 スバル'電動化と走り'の両立、カギは水平対向と車体制御の相乗効果だ!]〉, 《뉴스스위치》, 2020-01-22</ref><ref name="신포레">〈[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05_18_5842/ 新型'フォレスター' 先行予約を開始]〉, 《스바루 공식 뉴스》, 2018-05-18</ref> 이와 별도로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을 기반으로 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 '스바루 스타 드라이브 기술(SUBARU Star Drive Technology)' 개발도 진행되고 있으며 2018년 미국시장에 투입한 크로스 트랙(XV) 하이브리드자동차에 처음 탑재됐다.<ref name="크로스트랙">〈[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11_20_6532/ SUBARU 'CROSSTREK HYBRID(クロストレック ハイブリッド)'を米国で発表]〉, 《스바루 공식 뉴스》,2018-11-20</ref><ref name="플러그인">모터팬 편집부, 〈[https://motor-fan.jp/tech/10006591 スバル・クロストレック(XV)の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のメカニズムを考える]〉, 《모터팬》, 2018-11-20</ref> 또, 2005년에 개발을 발표한 '수평 대향 디젤 엔진'이 2007년 3월, 스위스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2008년 3월, 독일을 시작으로 차례차례 EU 각국과 오스트레일리아를 향해서 발매되었다. 세계 최초의 수평 대향 4기통·터보 디젤 엔진은 'EE20'이름 붙이고, DOHC·16 밸브 헤드외, 1,800 기압의 분사압을 가지는 덴소제 커먼 레일용 인젝터, IHI제 가변 노즐 터보를 장착했다. 1,998cc의 배기량에서 최고출력 150ps/3,600rpm, 최대토크 35.7kg-m/1,800rpm을 발휘하고 CO2 배출량도 148g/km로 현대적인 디젤에 적합한 성능이다. EE20형 엔진은, 2009년에 제6회 신기계 진흥상 '기계 진흥 협회 회장상'을 수상했다.<ref name="엔진상">〈[https://www.subaru.co.jp/news/archives/09_01_03/09_01_20.html 富士重工業の'水平対向ディーゼルエンジン'が第6回新機械振興賞'機械振興協会会長賞'を受賞]〉, 《후지중공업 공식 뉴스》, 2009-01-20</ref> 하지만 배기가스치는 발표 초기 "유로4 적합"에 그쳐, 보다 배출가스 규제가 엄격한 일본이나 북미시장에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발표 초기에는 시장에 2010년까지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었고 2015년에는 유로6b에 적합하게 만들었지만 일본에는 도입시기 연기와 탑재예정 차종이 몇 차례 발표되는 것으로 그쳤다. 그러나 2017년 9월, 유럽에서의 판매 부진을 원인으로 디젤차 제조와 판매를 2020년에 철수한다는 보도가 있었다.<ref name="스바루위키일"></ref><ref name="디젤철수">〈[https://www.nikkei.com/article/DGXLASDZ07H6A_X00C17A9EAF000/ SUBARU、ディーゼル車撤退 20年度めどEV集中]〉, 《일본경제신문》, 2017-09-07</ref>
  
 
==주요 제품==
 
==주요 제품==
66번째 줄: 65번째 줄:
 
===스텔라===
 
===스텔라===
 
[[파일:스텔라.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스텔라'''(STELLA)]]
 
[[파일:스텔라.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스텔라'''(STELLA)]]
[[파일:플레오.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플레오'''(PLEOPLUS)]]
 
 
 
스텔라(STELLA)는 스바루가 판매하는 경토르 왜건이다. 1세대 모델은 스바루 제작, 2세대 이후는 다이하츠 공업 제작이다. 스텔라는 플레오의 후계차에 가까운 존재로 출시됐지만 스텔라 출시 후에도 한동안 플레오와 함께 판매되었다. '즐거운 우리의 공간' 이라는 컨셉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실현했다. 종래의 주행이나 프리미어에 중점을 둔 노선에서, 메인 타겟을 아이가 있는 부모로 두어 승차감의 향상에 가세해 '유모차의 태우기 쉬움', '뒷좌석에 타기 쉬움', '유아 시트에 태우기 쉬움', '후석 아기에 대한 접근성' 등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충돌 안전성과 실연비의 향상도 도모되어 NASVA 발표의 충돌 안전성 종합 평가에서는 운전석 5성, 조수석 6성의 평가를 받고 있다. 또, 2008년 5월 발매의 특별 사양차에는 카탈로그에 신연비 계측 기준인 JC08 모드 주행 연비를 같이 기재해두었다. NA의 이륜구동 차로 21.0 km/L(JC08 모드)를 실현해, 2015년도 연비 기준을 가솔린차로서 처음으로 달성했다. 스바루의 660 cc경자동차 전부(OEM 차량 제외)에 탑재되고 있던 직렬 4기통 엔진, 4륜 독립 서스펜션이 채용되어 풀타임 전륜구동 모델도 존재했다. 플랫폼은 스바루의 R2와 거의 공통이다. 내장이나 엔진 룸, 미터 패널 등에 베이스가 된 R2의 모습이 남아있다. 플레오는 급거 개발이 지시돼 설계 개시부터 출시까지 1년도 안 되는 불과 11개월의 이례적인 속도로 개발된 차종이다. 또한 플레오에서 말하는 스마트 루프차와 같은 사양은 존재하지 않으며 전차종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제한고 1550mm까지의 일반적인 것)에는 들어갈 수 없다.
 
스텔라(STELLA)는 스바루가 판매하는 경토르 왜건이다. 1세대 모델은 스바루 제작, 2세대 이후는 다이하츠 공업 제작이다. 스텔라는 플레오의 후계차에 가까운 존재로 출시됐지만 스텔라 출시 후에도 한동안 플레오와 함께 판매되었다. '즐거운 우리의 공간' 이라는 컨셉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실현했다. 종래의 주행이나 프리미어에 중점을 둔 노선에서, 메인 타겟을 아이가 있는 부모로 두어 승차감의 향상에 가세해 '유모차의 태우기 쉬움', '뒷좌석에 타기 쉬움', '유아 시트에 태우기 쉬움', '후석 아기에 대한 접근성' 등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충돌 안전성과 실연비의 향상도 도모되어 NASVA 발표의 충돌 안전성 종합 평가에서는 운전석 5성, 조수석 6성의 평가를 받고 있다. 또, 2008년 5월 발매의 특별 사양차에는 카탈로그에 신연비 계측 기준인 JC08 모드 주행 연비를 같이 기재해두었다. NA의 이륜구동 차로 21.0 km/L(JC08 모드)를 실현해, 2015년도 연비 기준을 가솔린차로서 처음으로 달성했다. 스바루의 660 cc경자동차 전부(OEM 차량 제외)에 탑재되고 있던 직렬 4기통 엔진, 4륜 독립 서스펜션이 채용되어 풀타임 전륜구동 모델도 존재했다. 플랫폼은 스바루의 R2와 거의 공통이다. 내장이나 엔진 룸, 미터 패널 등에 베이스가 된 R2의 모습이 남아있다. 플레오는 급거 개발이 지시돼 설계 개시부터 출시까지 1년도 안 되는 불과 11개월의 이례적인 속도로 개발된 차종이다. 또한 플레오에서 말하는 스마트 루프차와 같은 사양은 존재하지 않으며 전차종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제한고 1550mm까지의 일반적인 것)에는 들어갈 수 없다.
또, 2009년 6월 4일에는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스텔라'가 정식 발표되었다. R2, R1의 생산·판매 종료후는, 스바루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는 유일한 경승용차였지만, 1세대 모델은 2011년 4월말에 주문 및 생산을 종료했다. 그리고 같은해 5월 하순으로 판매를 종료했다. 초대 모델의 판매 종료 직후에 판매를 개시한 2세대 모델은 다이하츠 공업으로부터의 OEM 모델이 되어, 2014년 12월에 베이스차의 무브의 풀 모델 체인지에 맞추어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해 3대째가 되었다. 덧붙여 자사 생산을 실시하고 있던 초대부터 2020년 기준 현행의 3대째까지 승용 모델만으로 설정되어 있어 상용 모델(경보닛 밴)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ref name="스텔라위키">スバル・ステラ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2%B9%E3%83%90%E3%83%AB%E3%83%BB%E3%82%B9%E3%83%86%E3%83%A9</ref>
+
또, 2009년 6월 4일에는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스텔라'가 정식 발표되었다. R2, R1의 생산·판매 종료후는, 스바루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는 유일한 경승용차였지만, 1세대 모델은 2011년 4월말에 주문 및 생산을 종료했다. 그리고 같은해 5월 하순으로 판매를 종료했다. 초대 모델의 판매 종료 직후에 판매를 개시한 2세대 모델은 다이하츠 공업으로부터의 OEM 모델이 되어, 2014년 12월에 베이스차의 무브의 풀 모델 체인지에 맞추어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해 3대째가 되었다. 덧붙여 자사 생산을 실시하고 있던 초대부터 2020년 기준 현행의 3대째까지 승용 모델만으로 설정되어 있어 상용 모델(경보닛 밴)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ref name="스텔라위키">スバル・ステラ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2%B9%E3%83%90%E3%83%AB%E3%83%BB%E3%82%B9%E3%83%86%E3%83%A9</ref>
  
 
===플레오===
 
===플레오===
 +
[[파일:플레오.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플레오'''(PLEOPLUS)]]
 
플레오 플러스(플레오+, PLEO+, PLEOPLUS)는, 스바루(구·후지중공업)가 판매하는 경자동차이다. 제조는 다이하츠 공업이 담당하고 있다. 플레오+는 이미 판매되고 있는 플레오(미라의 OEM 공급 차종)의 파생 차종으로 우수한 저연비와 저렴한 가격 설정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츠의 미라 이스를 베이스로 한 OEM 공급 차종으로서 발표되었다. 월 판매 목표 대수는 1000대이다. 또한 미라 이스는 이미 토요타 자동차에 픽시스 에폭의 차종명으로 OEM이 공급되면서 세 자매 차종이 됐다.<ref name="플레오위키">スバル・プレオプラス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2%B9%E3%83%90%E3%83%AB%E3%83%BB%E3%83%97%E3%83%AC%E3%82%AA%E3%83%97%E3%83%A9%E3%82%B9</ref>
 
플레오 플러스(플레오+, PLEO+, PLEOPLUS)는, 스바루(구·후지중공업)가 판매하는 경자동차이다. 제조는 다이하츠 공업이 담당하고 있다. 플레오+는 이미 판매되고 있는 플레오(미라의 OEM 공급 차종)의 파생 차종으로 우수한 저연비와 저렴한 가격 설정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하츠의 미라 이스를 베이스로 한 OEM 공급 차종으로서 발표되었다. 월 판매 목표 대수는 1000대이다. 또한 미라 이스는 이미 토요타 자동차에 픽시스 에폭의 차종명으로 OEM이 공급되면서 세 자매 차종이 됐다.<ref name="플레오위키">スバル・プレオプラス 위키백과 - https://ja.wikipedia.org/wiki/%E3%82%B9%E3%83%90%E3%83%AB%E3%83%BB%E3%83%97%E3%83%AC%E3%82%AA%E3%83%97%E3%83%A9%E3%82%B9</ref>
  
84번째 줄: 82번째 줄:
 
:자동차용 파워 유닛(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생산하고 있다. 이 근린지에 새 공장을 세워 토요타자동차와 공동개발차를 제조할 예정이었으나 경기가 나빠지면서 계획은 폐지되었다. 공동 개발차 생산은 경차 철수로 여유가 생긴 군마 제작소 본공장에서 실시하고 있다.
 
:자동차용 파워 유닛(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생산하고 있다. 이 근린지에 새 공장을 세워 토요타자동차와 공동개발차를 제조할 예정이었으나 경기가 나빠지면서 계획은 폐지되었다. 공동 개발차 생산은 경차 철수로 여유가 생긴 군마 제작소 본공장에서 실시하고 있다.
 
* '''인디애나 오토 모티브'''(SIA)
 
* '''인디애나 오토 모티브'''(SIA)
: 2018년 5월 7일, 미국 및 캐나다 생산 공장인 스바루의 인디애나 오토 모티브는 신종 3열 시트 SUV 액센트(ASCENT) 생산을 시작하면서 공장 부지 내에서 라인 오프식을 진행했다. 생산 차종은 레거시, 아웃백, 임프레서, 액센트이이다. 액센트는 스바루가 북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하고 있으며, 패밀리 사용자를 위해 신규 개발한 북미 전용 자동차이다. 2017년 11월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 되었다. 또한, 미국과 캐나다를 순차적으로 판매하여 4,500대가 넘게 수주했다. 토요타 캠리의 수탁 생산은 2016년 5월에 종료되었다.<ref name="스바루위키일"></ref><ref name="수탁생산">〈[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05_08_5758/ SUBARU 新型3列SUV'ASCENT(アセント)'の米国生産を開始]〉, 《스바루 공식 뉴스》, 2018-05-08</ref>
+
: 2018년 5월 7일, 미국 및 캐나다 생산 공장인 스바루의 인디애나 오토 모티브는 신종 3열 시트 SUV 액센트(ASCENT) 생산을 시작하면서 공장 부지 내에서 라인 오프식을 진행했다. 생산 차종은 레거시, 아웃백, 임프레서, 액센트이이다. 액센트는 스바루가 북미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목표로하고 있으며, 패밀리 사용자를 위해 신규 개발한 북미 전용 자동차이다. 2017년 11월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 되었다. 또한, 미국과 캐나다를 순차적으로 판매하여 4,500대가 넘게 수주했다. 토요타 캠리의 수탁 생산은 2016년 5월에 종료되었다.<ref name="스바루위키일"></ref><ref name="디젤철수"><ref name="수탁생산">〈[https://www.subaru.co.jp/press/news/2018_05_08_5758/ SUBARU 新型3列SUV'ASCENT(アセント)'の米国生産を開始]〉, 《스바루 공식 뉴스》, 2018-05-08</ref>
  
 
{{각주}}
 
{{각주}}
126번째 줄: 124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후지중공업]]
 
 
* [[토요타]]
 
* [[토요타]]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