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빅코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시빅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시빅코인'''(Civic Coin)]]
+
[[파일:시빅 로고.png|썸네일|200픽셀|'''시빅'''(Civic) 로고]]
[[파일:시빅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시빅코인'''(Civic Coin)]]
+
[[파일:시빅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시빅'''(Civic) 로고와 글자]]
[[파일:비니 링햄.jpg|썸네일|200픽셀|'''[[비니 링햄]]'''(Vinny Lingham) 시빅코인 창시자]]
 
  
'''시빅코인'''<!--시빅 코인-->(Civic Coin) 또는 '''시빅'''(Civic)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신원확인 시스템을 위한 [[암호화폐]]이다.<ref>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2018-01-14</ref> 시빅은 2017년 7월 6일 최초로 발행되었고, [[비니 링햄]](Vinny Lingham)에 의해 창시되었다. 시빅코인의 화폐단위는 '''CVC'''이다. 시빅과 유사한 신원인증 암호화폐로는 [[메타디움]] 등이 있다. 시빅의 총발행량은 10억 CVC이고, 시가총액은 2018년 11월 기준, 4,200만 달러로 12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시빅'''(Civic) 또는 '''시빅코인'''(civic coin)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신원확인 시스템을 위한 [[암호화폐]]이다.<ref>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2018-01-14</ref> 시빅은 2017년 7월 6일 최초로 발행되었고, [[비니 링햄]](Vinny Lingham)에 의해 창시되었다. 시빅과 유사한 신원인증 암호화폐로는 [[메타디움]] 등이 있다. 시빅의 총발행량은 10억 CVC이고, 시가총액은 2018년 11월 기준, 4,200만 달러로 121위를 차지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시빅코인은 사람들이 자신의 신원을 통제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로 신원을 확인해주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시빅은 카드 인증 시 필요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 카드 뒷면에 적힌 유효성 검사 코드(CVC 코드)처럼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인증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시빅은 블록체인을 적용한 [[모바일]] 기기 앱([[API]])을 통해 사용자 신원정보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생체정보로 인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담배, 술을 구매할 때 나이 등 최소한의 특정 정보만을 공개하여 물건을 구입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은 최소화하고 증명 절차는 간소화한다.
+
[[파일:비니 링햄.jpg|썸네일|200픽셀|'''[[비니 링햄]]'''(Vinny Lingham) 시빅 창시자]]
  
시빅(Civic)은 증명사진, 운전면허증, 여권 등 개인 식별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사전 등록하고, [[스마트폰]]의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해 로그인할 수 있는 [[패스코드]]를 발급한다. 사용자는 공개키를 사용해 어떤 [[데이터]]가 누구에게 제공될지를 제어할 있다.<ref>Lucas Mearian, 〈[http://www.itworld.co.kr/news/109393 블록체인 난제 해결 : 생체인식으로 분실된 암호화 키 복구]〉, 《IT월드》, 2018-05-21</ref> 시빅코인은 [[비트렉스]], [[고팍스]] 등에 상장되어 있으며, '''아이디 코드'''(ID code)라는 이름으로 힐로(Hilo), 유벡스(Ubex) 여러 웹사이트에 도입되고 있다.<ref>Annaliese Milano, 〈[https://www.coindeskkorea.com/%EC%8B%9C%EB%B9%85%EC%9D%98-%EB%B8%94%EB%A1%9D%EC%B2%B4%EC%9D%B8-%EC%8B%A0%EC%9B%90%ED%99%95%EC%9D%B8-%EC%8B%9C%EC%8A%A4%ED%85%9C-%EC%86%8C%EC%85%9C%EB%84%A4%ED%8A%B8%EC%9B%8C%ED%81%AC%EC%97%90/?utm_inter=dable 시빅의 블록체인 신원확인 시스템, 소셜네트워크에 도입]〉, 《코인데스크코리아》, 2018-05-18</ref>
+
시빅은 사람들이 자신의 신원을 통제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로 신원을 확인해주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시빅은 카드 인증 시 필요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 카드 뒷면에 적힌 유효성 검사 코드(CVC 코드)처럼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인증할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시빅은 블록체인을 적용한 [[모바일]] 기기 앱([[API]])을 통해 사용자 신원정보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생체정보로 인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담배, 술을 구매할 때 나이 최소한의 특정 정보만을 공개하여 물건을 구입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은 최소화하고 증명 절차는 간소화한다.  
  
시빅코인은 기존 [[비트코인]]이 사용한 '루트스톡'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만든 [[플랫폼]]이다. 루트스톡은 [[비트코인]]과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스마트 계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
시빅(Civic)은 증명사진, 운전면허증, 여권 등 개인 식별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에 사전 등록하고, [[스마트폰]]의 지문 인식 기능을 이용해 로그인할 수 있는 [[패스코드]]를 발급한다. 사용자는 공개키를 사용해 어떤 [[데이터]]가 누구에게 제공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ref>Lucas Mearian, 〈[http://www.itworld.co.kr/news/109393 블록체인 난제 해결 : 생체인식으로 분실된 암호화 키 복구]〉, 《IT월드》, 2018-05-21</ref> 시빅코인은 [[비트렉스]], [[고팍스]] 등에 상장되어 있으며, '''아이디 코드'''(ID code)라는 이름으로 힐로(Hilo), 유벡스(Ubex) 등 여러 웹사이트에 도입되고 있다.<ref>Annaliese Milano, 〈[https://www.coindeskkorea.com/%EC%8B%9C%EB%B9%85%EC%9D%98-%EB%B8%94%EB%A1%9D%EC%B2%B4%EC%9D%B8-%EC%8B%A0%EC%9B%90%ED%99%95%EC%9D%B8-%EC%8B%9C%EC%8A%A4%ED%85%9C-%EC%86%8C%EC%85%9C%EB%84%A4%ED%8A%B8%EC%9B%8C%ED%81%AC%EC%97%90/?utm_inter=dable 시빅의 블록체인 신원확인 시스템, 소셜네트워크에 도입]〉, 《코인데스크코리아》, 2018-05-18</ref> 시빅코인은 거래소 [[비트렉스]], [[고팍스]] 등에 상장되어 있고 아이디 코드(ID code)라는 이름으로 [[힐로]](Hilo), [[유벡스]](Ubex) 등 여러 웹사이트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
 
 +
[[시빅]]은 기존 [[비트코인]]이 사용한 ‘루트스톡’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만든 [[플랫폼]]이다. 루트스톡은 [[비트코인]]과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스마트 계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시빅코인의 CEO인 [[비니 링햄]]은 모바일 기프트 카드 [[플랫폼]] '[[기프티]]'(Gifty) 설립자로 10년 정도의 전자 상거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비트코인]]의 초기 투자자로 알려져 있다.<ref>남빛나라 기자,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104_0014620249&cID=10404&pID=10400 2017 연중 특별기획-4차산업혁명, 일상속으로! 금 캐듯 가상화폐 채굴해볼까…블록체인發 '금융빅뱅']〉,  《뉴시스》 , 2017-01-06</ref>
+
[[시빅]]의 CEO인 [[비니 링햄]]은 모바일 기프트 카드 [[플랫폼]] '[[기프티]](Gifty)' 설립자로 10년 정도의 전자 상거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비트코인]]의 초기 투자자로 알려져 있다.<ref>남빛나라 기자,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104_0014620249&cID=10404&pID=10400 2017 연중 특별기획-4차산업혁명, 일상속으로! 금 캐듯 가상화폐 채굴해볼까…블록체인發 '금융빅뱅']〉,  《뉴시스》 , 2017-01-06</ref>
  
 
===고팍스 시빅 사태===
 
===고팍스 시빅 사태===
2018년 1월 12일 [[거래소]] [[고팍스]]에 새로 상장된 시빅코인의 1 시빅 가격이 180만 원으로 상장되었다. 시빅은 이미 다른 거래소에서도 거래되고 있던 것으로 신규 [[가상화폐]]도 아니었고, 약 1,500원 정도의 시세가 형성돼 있었다. 그런데 시빅이 상장되자마자 어떤 판매자가 180만 원이 넘는 금액에 매도를 내놓았고 정확한 시세를 모르는 구매자들이 180만 원부터 시작하는 비싼 코인으로 착각해 매수를 하며 사태의 심각성이 더욱 확산됐다.<ref>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 2018-01-14</ref> 이는 가상화폐의 미래가치에 대한 평가나 시세에 대한 정보 없이 무작정 투자에 나서는 이들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었다.<ref>권정두 기자,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598 고팍스 ‘시빅·이니그마 사건’이 보여주는 가상화폐 투기 광풍의 단면]〉,  《시사위크》 , 2018-01-15</ref>
+
2018년 1월 12일 [[거래소]] [[고팍스]]에 새로 상장된 시빅 코인의 1 시빅 가격이 180만 원으로 상장되었다. 시빅은 이미 다른 거래소에서도 거래되고 있던 것으로 신규 [[가상화폐]]도 아니었고, 약 1,500원 정도의 시세가 형성돼 있었다. 그런데 시빅이 상장되자마자 어떤 판매자가 180만 원이 넘는 금액에 매도를 내놓았고 정확한 시세를 모르는 구매자들이 180만 원부터 시작하는 비싼 코인으로 착각해 매수를 하며 사태의 심각성이 더욱 확산됐다.<ref>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 2018-01-14</ref> 이는 가상화폐의 미래가치에 대한 평가나 시세에 대한 정보 없이 무작정 투자에 나서는 이들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었다.<ref>권정두 기자,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598 고팍스 ‘시빅·이니그마 사건’이 보여주는 가상화폐 투기 광풍의 단면]〉,  《시사위크》 , 2018-01-15</ref>
  
 
===Identity.com 도메인 인수===
 
===Identity.com 도메인 인수===
22번째 줄: 23번째 줄:
  
 
== 특징 ==
 
== 특징 ==
[[파일:시빅코인-01.jpg|썸네일|400픽셀|'''시빅코인'''(Civic Coin)]]
+
[[파일:시빅-01.jpg|썸네일|400픽셀|'''시빅'''(Civic)]]
  
===시빅코인의 생태계===
+
===시빅의 생태계===
시빅코인은 코인 판매에 의해 촉진되는 단계에서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넘어 신원확인(IDV, Identity Verification) 서비스를 위한 완전한 분산된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시빅의 생태계는 금융 기관, 정부 기관 및 공공 기관 등을 포함하는 신뢰할만한 [[IDV]] 서비스 제공 업체의 참여를 유도하도록 구축될 것이다. 시빅의 생태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시빅]]은 코인 판매에 의해 촉진되는 단계에서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넘어 신원확인(IDV, Identity Verification) 서비스를 위한 완전한 분산된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시빅의 생태계는 금융 기관, 정부 기관 및 공공 기관 등을 포함하는 신뢰할만한 [[IDV]] 서비스 제공 업체의 참여를 유도하도록 구축될 것이다. 시빅의 생태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계약====
 
====스마트 계약====
 
시빅의 강력하고 분산화된 IDV 서비스 기술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나타나는데, 이는 [[스마트 계약]]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동일한 수준의 즉각적인 보안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마트 계약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상적이다.
 
시빅의 강력하고 분산화된 IDV 서비스 기술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나타나는데, 이는 [[스마트 계약]]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동일한 수준의 즉각적인 보안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마트 계약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상적이다.
  
====시빅코인====
+
====시빅 코인====
검증자와 서비스 공급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통해 거래를 종료하면 서비스 공급자는 시빅코인을 검증자에게 지급한다. 스마트 계약은 유료 시빅코인의 일정 부분을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사용자가 생태계에 참여하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시빅코인을 사용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일부 또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한 시빅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시빅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이 생태계를 통해 신원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3자의 상품을 얻기 위해 시빅 코인을 사용할 것이다.
+
검증자와 서비스 공급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 계약]] 시스템을 통해 거래를 종료하면 서비스 공급자는 [[시빅]] 코인을 검증자에게 지급한다. 스마트 계약은 유료 시빅 코인의 일정 부분을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사용자가 생태계에 참여하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시빅 코인을 사용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일부 또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한 시빅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시빅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이 생태계를 통해 신원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3자의 상품을 얻기 위해 시빅 코인을 사용할 것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새로운 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52번째 줄: 53번째 줄:
  
 
===시빅코인(CVC)===
 
===시빅코인(CVC)===
[[시빅]]은 정보 공유에 대한 보상으로 시빅코인(CVC)을 검증자와 사용자에게 배포한다. 시빅 코인을 공유하는 비율은 [[스마트 계약]]에서 확정되며 생태계 참여자의 합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시빅 코인으로 시빅에서 직접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토큰]]과 교환할 수 있는 추가적인 ID 중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
[[시빅]]은 정보 공유에 대한 보상으로 [[시빅 코인]](CVC)을 검증자와 사용자에게 배포한다. 시빅 코인을 공유하는 비율은 [[스마트 계약]]에서 확정되며 생태계 참여자의 합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시빅 코인으로 시빅에서 직접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토큰]]과 교환할 수 있는 추가적인 ID 중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시빅 코인]]의 고정 공급은 거래 중에 생성되며, 공급 증가를 위한 [[메커니즘]]이 없다. [[원장]]은 시빅 코인을 위해 유지 보수되며 [[ERC-20]] 토큰의 표준을 따라 소유자가 시빅 코인을 다른 참가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안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시빅의 생태계에서 [[트랜잭션]]을 원활하게 하려는 전용 토큰인 [[시빅 코인]](CVC)을 사용하면 기존 토큰을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빅 코인]]의 고정 공급은 거래 중에 생성되며, 공급 증가를 위한 [[메커니즘]]이 없다. [[원장]]은 시빅 코인을 위해 유지 보수되며 [[ERC-20]] 토큰의 표준을 따라 소유자가 시빅 코인을 다른 참가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안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시빅의 생태계에서 [[트랜잭션]]을 원활하게 하려는 전용 토큰인 [[시빅 코인]](CVC)을 사용하면 기존 토큰을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70번째 줄: 71번째 줄:
 
===리베츠(Rivetz), 텔레포니카(Telefonica)===
 
===리베츠(Rivetz), 텔레포니카(Telefonica)===
  
[[시빅]](CVC)은 사이버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 [[리베츠]](Rivetz)와 스페인 통신업체 [[텔레포니카]](Telefonica)의 사이버 보안 부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리베츠와 텔레포니카는 [[모바일]] 앱 이용자의 [[하드웨어]] 보호를 위해 시빅의 신분증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시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개인 정보의 전송을 보호하며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어떻게 공유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ref>김태연 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713 후오비, HUSD 구성 스테이블 코인 선정 기준 공개]〉,  《블록타임스TV닷컴》 , 2018-11-02</ref>
+
[[시빅]](CVC)은 사이버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 [[리베츠]](Rivetz)와 스페인 통신업체 [[텔레포니카]](Telefonica)의 사이버 보안 부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리베츠와 텔레포니카는 [[모바일]] 앱 이용자의 [[하드웨어]] 보호를 위해 시빅의 신분증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해 시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개인 정보의 전송을 보호하며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어떻게 공유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ref>TaeyeonKim 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2713 후오비, HUSD 구성 스테이블 코인 선정 기준 공개]〉,  《블록타임스TV닷컴》 , 2018-11-02</ref>
  
 
===브레이브===
 
===브레이브===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는 [[자바스크립트]], [[모질라재단]], [[파이어폭스]]의 창시자인 [[브렌든 아이크]](Brendan Eich)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소스]] [[웹브라우저]]이다. 브레이브는 [[베이직어텐션토큰]](BAT; Basic Attention Token)을 이용하여 브레이브 [[플랫폼]]에서 [[광고]]가 가능하며 시빅의 신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맺었다.
+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는 [[자바스크립트]], [[모질라재단]], [[파이어폭스]]의 창시자인 [[브랜든 아이크]]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소스]] [[웹브라우저]]이다. 브레이브는 [[베이직어텐션토큰]](BAT; Basic Attention Token)을 이용하여 브레이브 [[플랫폼]]에서 [[광고]]가 가능하며 시빅의 신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맺었다.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21,000명 이상의 검증된 출판사와 매달 4백만 명의 이용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브레이브 사용자들은 [[브라우저]]의 통합 지불 시스템을 통해 [[BAT]] 토큰을 기부함으로써 익명으로, 자동으로 출판사 콘텐츠를 보상할 수 있습니다. 향후 BAT 토큰을 지불하기 위해 자체적인 [[이더리움]] 지갑을 제공하는 브레이브는 [[시빅]]의 [[KYC]] 시스템을 사용하여 신원을 확인하고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옵션을 갖게 될 것이다.<ref>Chris Smith, 〈[https://www.civic.com/blog/rivetz-telefonica-civic/ Civic brings innovative identity verification solutions to the ElevenPaths and Rivetz cybersecurity partnership]〉,  《Civic Blog》 , 2018-10-30</ref>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21,000명 이상의 검증된 출판사와 매달 4백만 명의 이용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브레이브 사용자들은 [[브라우저]]의 통합 지불 시스템을 통해 [[BAT]] 토큰을 기부함으로써 익명으로, 자동으로 출판사 콘텐츠를 보상할 수 있습니다. 향후 BAT 토큰을 지불하기 위해 자체적인 [[이더리움]] 지갑을 제공하는 브레이브는 [[시빅]]의 [[KYC]] 시스템을 사용하여 신원을 확인하고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옵션을 갖게 될 것이다.<ref>Chris Smith, 〈[https://www.civic.com/blog/rivetz-telefonica-civic/ Civic brings innovative identity verification solutions to the ElevenPaths and Rivetz cybersecurity partnership]〉,  《Civic Blog》 , 2018-10-30</ref>
88번째 줄: 89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시빅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ivic.com/
+
* 시빅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ivic.com/
* 시빅코인 whitepaper - https://tokensale.civic.com/CivicTokenSaleWhitePaper.pdf
+
* 시빅 whitepaper - https://tokensale.civic.com/CivicTokenSaleWhitePaper.pdf
 
* Identity.com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identity.com/
 
* Identity.com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identity.com/
 
* 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2018-01-14
 
* 김문철 기자, 〈[http://www.econ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 가상화폐 시빅 코인 ‘묻지마 투자’ 우려…‘민감 정보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 내세워]〉, 《이코노뉴스》, 2018-01-14
107번째 줄: 108번째 줄:
 
* [[메타디움]]
 
* [[메타디움]]
 
* [[브레이브 브라우저]]
 
* [[브레이브 브라우저]]
* [[시빅]]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