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컨트랙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개요==
 
==개요==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프라이버시]]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프라이버시]]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프라이버시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프라이버시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투명성 및 정보에 대한 신뢰를 보장하는 장점이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민감한 개인정보나 기업 기밀과 같은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올리기를 꺼리게 되었다. 현재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문제는 블록체인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ref name="af">Lucia Kim,〈[https://medium.com/decon-lab/%EB%B8%94%EB%A1%9D%EC%B2%B4%EC%9D%B8%EC%9D%84-%ED%86%B5%ED%95%B4-%EB%82%B4-%EA%B0%9C%EC%9D%B8%EC%A0%95%EB%B3%B4%EA%B0%80-%EB%85%B8%EC%B6%9C%EB%90%9C%EB%8B%A4%EB%A9%B4-%EB%B8%94%EB%A1%9D%EC%B2%B4%EC%9D%B8-%ED%94%84%EB%9D%BC%EC%9D%B4%EB%B2%84%EC%8B%9C%EC%9D%98-%ED%98%84-%EC%A3%BC%EC%86%8C%EC%99%80-%EB%8B%A4%EA%B0%80%EC%98%AC-%EB%AF%B8%EB%9E%98-b1ada8315444 블록체인을 통해 내 개인정보가 노출된다면?-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현주소와 다가올 미래]〉, 《DECON》</ref> 이를 위해 에니그마(ENIGMA)가 블록체인의 각 노드들이 암호해독 작업없이 스마트 컨트랙트의 암호화된 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 시크릿 컨트랙트(secret contracts)를 개발하였다.
+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투명성 및 정보에 대한 신뢰를 보장하는 장점이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민감한 개인정보나 기업 기밀과 같은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올리기를 꺼리게 되었다.  
 +
현재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문제는 블록체인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ref name="af">Lucia Kim,〈[https://medium.com/decon-lab/%EB%B8%94%EB%A1%9D%EC%B2%B4%EC%9D%B8%EC%9D%84-%ED%86%B5%ED%95%B4-%EB%82%B4-%EA%B0%9C%EC%9D%B8%EC%A0%95%EB%B3%B4%EA%B0%80-%EB%85%B8%EC%B6%9C%EB%90%9C%EB%8B%A4%EB%A9%B4-%EB%B8%94%EB%A1%9D%EC%B2%B4%EC%9D%B8-%ED%94%84%EB%9D%BC%EC%9D%B4%EB%B2%84%EC%8B%9C%EC%9D%98-%ED%98%84-%EC%A3%BC%EC%86%8C%EC%99%80-%EB%8B%A4%EA%B0%80%EC%98%AC-%EB%AF%B8%EB%9E%98-b1ada8315444 블록체인을 통해 내 개인정보가 노출된다면?-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현주소와 다가올 미래]〉, 《DECON》</ref> 이를 위해 에니그마(ENIGMA)가 블록체인의 각 노드들이 암호해독 작업없이 스마트 컨트랙트의 암호화된 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 시크릿 컨트랙트(secret contracts)를 개발하였다.
  
 
==역사==
 
==역사==
20번째 줄: 21번째 줄:
  
 
==특징==
 
==특징==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필요성과 시크릿 컨트랙트===
+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필요성과 [[시크릿 컨트랙트]]===
 
블록체인은 여러 주체가 함께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하는 [[분산 장부]]이다. 다수가 거래 내역을 검증하기 위해서 거래내역은 기본적으로 공개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거래 내용이란 ‘내가 언제 누구에게 얼마의 [[토큰]]을 보냈는지”를 의미한다.블록체인 상에서 누가 어디로 보냈는지가 기록되긴 하지만 개인은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주소의 형태로 나타난다.
 
블록체인은 여러 주체가 함께 거래를 기록하고 검증하는 [[분산 장부]]이다. 다수가 거래 내역을 검증하기 위해서 거래내역은 기본적으로 공개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거래 내용이란 ‘내가 언제 누구에게 얼마의 [[토큰]]을 보냈는지”를 의미한다.블록체인 상에서 누가 어디로 보냈는지가 기록되긴 하지만 개인은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주소의 형태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는 [[프라이버시]]가 완벽하게 보호된다고 할 수 없다. 공개된 거래 내역을 분석하여 주소와 실제 개인(Entity)을 연결할 수 있는 방법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비트코인 거래 내역을 분석하여 실제 소유주의 신원을 밝혀내, 이를 사법기관이나 은행에 제공하는 기업(예: 체인널리시스(Chainalysis)의 ‘리액터(REACTOR)’)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비트코인]]의 복잡한 주소가 완전히 신원을 감추어 줄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정도 수준으로는 [[프라이버시]]가 완벽하게 보호된다고 할 수 없다. 공개된 거래 내역을 분석하여 주소와 실제 개인(Entity)을 연결할 수 있는 방법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비트코인 거래 내역을 분석하여 실제 소유주의 신원을 밝혀내, 이를 사법기관이나 은행에 제공하는 기업(예: 체인널리시스(Chainalysis)의 ‘리액터(REACTOR)’)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비트코인]]의 복잡한 주소가 완전히 신원을 감추어 줄 수는 없다.
36번째 줄: 37번째 줄:
 
과거에 대출을 요청했는지 여부와 시간에 지불했는지 여부를 검토 할 수 있다.<ref>가이 지 스킨 드,〈[https://blog.enigma.co/defining-secret-contracts-f40ddee67ef2 비밀 계약 정의]〉, 《enigma블로그》, 2018-04-04</ref>
 
과거에 대출을 요청했는지 여부와 시간에 지불했는지 여부를 검토 할 수 있다.<ref>가이 지 스킨 드,〈[https://blog.enigma.co/defining-secret-contracts-f40ddee67ef2 비밀 계약 정의]〉, 《enigma블로그》, 2018-04-04</ref>
  
===스마트 컨트랙트===
+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Nick Szabo]]가 1994년 최초 제안한 개념이다. 기존 계약서(Contract)는 서면으로 되어있어 계약 조건을 이행하려면 실제 사람이 계약서 대로 수행을 해야 하지만 [[디지털]] 명령어로 계약을 작성하면 조건에 따라 계약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Nick Szabo]]가 1994년 최초 제안한 개념이다. 기존 계약서(Contract)는 서면으로 되어있어 계약 조건을 이행하려면 실제 사람이 계약서 대로 수행을 해야 하지만 [[디지털]] 명령어로 계약을 작성하면 조건에 따라 계약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디지털로 된 계약서는 조건에 따른 계약 결과가 명확하고, 계약 내용을 즉각 이행할 수 있다. 각자의 자산이 연결된 디지털로 양자 합의를 하고 계약서를 작성하고 실행하기로 한다면 계약을 이행하는데 복잡한 [[프로세스]]를 엄청나게 [[간소화]]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그러나 디지털로 된 자료들은 쉽게 복사되고 조작이 쉬워 1994년에 제안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개념으로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서비스에 이용될 수 없었다.
 
디지털로 된 계약서는 조건에 따른 계약 결과가 명확하고, 계약 내용을 즉각 이행할 수 있다. 각자의 자산이 연결된 디지털로 양자 합의를 하고 계약서를 작성하고 실행하기로 한다면 계약을 이행하는데 복잡한 [[프로세스]]를 엄청나게 [[간소화]]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그러나 디지털로 된 자료들은 쉽게 복사되고 조작이 쉬워 1994년에 제안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개념으로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서비스에 이용될 수 없었다.
47번째 줄: 48번째 줄:
  
 
===Enigma===
 
===Enigma===
[[이니그마]]는 개인정보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장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며 기존의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오프체인]](off-chain) 네트워크에 집약적인 계산을 [[오프로드]](off-road)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니그마는 2015년 공동 창립자인 [[가이 지스킨드]]의 [[MIT]] Media Lab 논문에서 처음으로 설명되었다. 이니그마를 사용하면 스마트 계약이 시크릿 계약이 되어, 입력 데이터가 코드를 실행하는 이그니마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숨겨져 계약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비밀이 보장된다. 또, 이니그마는 [[SMPC]] 또는 [[MPC]]와 같은 높은 보안의 분산 연산을 활용하여 제3자 없이 분산된 방식의 데이터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2019년 5월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이니그마의 시가총액은 약 330억원으로 146위를 차지하고 있다.<ref name="fsad"></ref>
+
이니그마는 개인정보 및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장하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며 기존의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오프체인(off-chain) 네트워크에 집약적인 계산을 오프로드(off-road)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니그마는 2015년 공동 창립자인 가이 지스킨드의 MIT Media Lab 논문에서 처음으로 설명되었다. 이니그마를 사용하면 스마트 계약이 시크릿 계약이 되어, 입력 데이터가 코드를 실행하는 이그니마 네트워크의 노드에서 숨겨져 계약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비밀이 보장된다. 또, 이니그마는 SMPC 또는 MPC와 같은 높은 보안의 분산 연산을 활용하여 제3자 없이 분산된 방식의 데이터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2019년 5월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이니그마의 시가총액은 약 330억원으로 146위를 차지하고 있다.<ref name="fsad"></ref>
 
Enigma란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컨트랙트인 Secret contracts를 사용하여 계약 데이터의 암호화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Enigma는 오프체인 네트워크와 sMPC 두 가지 기술을 사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Enigma란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컨트랙트인 Secret contracts를 사용하여 계약 데이터의 암호화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이다. Enigma는 오프체인 네트워크와 sMPC 두 가지 기술을 사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Enigma 이해관계자====
 
====Enigma 이해관계자====
 
이니그마 네트워크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유형의 이해 당사자가 있다.
 
이니그마 네트워크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유형의 이해 당사자가 있다.
*'''시크릿 노드''' : [[시크릿 노드]]는 이니그마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운영하는 네트워크 참여자로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시크릿 계약]]을 실행한다. 이니그마 네트워크의 노드는 [[비트코인]]의 채굴자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크릿 노드]]는 시크릿 계약이 프라이버시 보존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이니그마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참가자들이라 볼 수 있다. 이니그마 네트워크는 작업자 선택을 위해 [[지분 증명]](Proof of Stake,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즉, 작업자 노드가 다음 시크릿 계약을 실행하도록 선택될 확률은 노드가 가지고 있는 ENG 토큰의 양과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분이 클수록 얻을 수 있는 누적 보상이 커지므로 선택될 가능성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시크릿 노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량의 ENG가 있는데, 그 수치는 초기에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수천 개와 잠재적으로 수만 개의 노드를 수용하기 위해 서서히 감소할 것이다.
+
*'''시크릿 노드''' : 시크릿 노드는 이니그마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운영하는 네트워크 참여자로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시크릿 계약]]을 실행한다. 이니그마 네트워크의 노드는 [[비트코인]]의 채굴자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크릿 노드]]는 시크릿 계약이 프라이버시 보존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이니그마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참가자들이라 볼 수 있다. 이니그마 네트워크는 작업자 선택을 위해 [[지분 증명]](Proof of Stake,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즉, 작업자 노드가 다음 시크릿 계약을 실행하도록 선택될 확률은 노드가 가지고 있는 ENG 토큰의 양과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분이 클수록 얻을 수 있는 누적 보상이 커지므로 선택될 가능성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시크릿 노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량의 ENG가 있는데, 그 수치는 초기에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수천 개와 잠재적으로 수만 개의 노드를 수용하기 위해 서서히 감소할 것이다.
 
*'''합의 노드''' : 합의 노드는 이니그마 블록체인 자체를 운영한다. 계산을 검증하고 상태 변경의 최종 순서를 설정한다.
 
*'''합의 노드''' : 합의 노드는 이니그마 블록체인 자체를 운영한다. 계산을 검증하고 상태 변경의 최종 순서를 설정한다.
 
*'''개발자''' : 개발자들은 민감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시크릿 계약을 요구하는 [[디앱]]을 개발한다. [[솔리디티]] 언어로 구축할 수 있다.
 
*'''개발자''' : 개발자들은 민감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시크릿 계약을 요구하는 [[디앱]]을 개발한다. [[솔리디티]] 언어로 구축할 수 있다.
*'''디앱 사용자''' : [[디앱]] 사용자는 시크릿 계약을 체결한 사용자이다. 디앱 사용자 역시 [[[시크릿 노드]]를 실행할 수도 있고, [[합의 노드]]도 운영 할 수 있다. 디앱 사용자는 Enigma.j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입력을 시크릿 계약으로 보낼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디앱 사용자와 이니그마 네트워크 (작업자 노드)간에 발생하는 모든 기본 암호 기능의 [[복잡성]]을 숨길 수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를 활용하려는 디앱 개발자는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에 Enigma.js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한다.<ref>Enigma Project, 〈[https://blog.enigma.co/secret-nodes-exploring-staking-stakeholders-and-eng-d69a68e3d0fd Secret Nodes: Exploring Staking, Stakeholders, and ENG]〉, 《미디엄》, 2018-09-28</ref>
+
*'''디앱 사용자''' : 디앱 사용자는 시크릿 계약을 체결한 사용자이다. 디앱 사용자 역시 시크릿 노드를 실행할 수도 있고, 합의 노드도 운영 할 수 있다. 디앱 사용자는 Enigma.j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입력을 시크릿 계약으로 보낼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는 디앱 사용자와 이니그마 네트워크 (작업자 노드)간에 발생하는 모든 기본 암호 기능의 복잡성을 숨길 수 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를 활용하려는 디앱 개발자는 자신의 응용 프로그램에 Enigma.js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한다.<ref>Enigma Project, 〈[https://blog.enigma.co/secret-nodes-exploring-staking-stakeholders-and-eng-d69a68e3d0fd Secret Nodes: Exploring Staking, Stakeholders, and ENG]〉, 《미디엄》, 2018-09-28</ref>
  
 
===Off-chain 연산 네트워크===  
 
===Off-chain 연산 네트워크===  
Enigma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온체인]]과 [[오프체인]]에서 모두 실행된다. Enigma Network로 불리는 오프체인 네트워크는 Enigma SGX node 들로 구성되어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제적인 연산과 [[로직 실행]]이 이루어진다. 온체인에서는 오로지 스마트 컨트랙트 [[정합성]](Correctness) 여부를 판단한다. 정합성 여부란 오프체인 네트워크의 연산 결과가 실제 결과값과 일치하는지를 말한다.
+
Enigma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온체인과 오프체인에서 모두 실행된다. Enigma Network로 불리는 오프체인 네트워크는 Enigma SGX node 들로 구성되어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제적인 연산과 로직 실행이 이루어진다. 온체인에서는 오로지 스마트 컨트랙트 정합성(Correctness) 여부를 판단한다. 정합성 여부란 오프체인 네트워크의 연산 결과가 실제 결과값과 일치하는지를 말한다.
Enigma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되고 실행되는 과정을 짧게 살펴보면 먼저, 컨트랙트가 발생하면 해당 계약의 상태(Contract State)가 Enigma Network로 보내지게 된다. Enigma로 보내진 Contract State는 Enigma [[SGX Node]]들에 의해 실행되고, 실행의 결과값 만이 온체인으로 전송된다. 온체인 컨트랙트에서는 해당 결과값의 정합성을 판단한 후 계약을 실행시킨다.
+
Enigma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되고 실행되는 과정을 짧게 살펴보면 먼저, 컨트랙트가 발생하면 해당 계약의 상태(Contract State)가 Enigma Network로 보내지게 된다. Enigma로 보내진 Contract State는 Enigma SGX Node들에 의해 실행되고, 실행의 결과값 만이 온체인으로 전송된다. 온체인 컨트랙트에서는 해당 결과값의 정합성을 판단한 후 계약을 실행시킨다.
 
결과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이 오프체인에서 이루어지고, 온체인에는 실행의 그 결과만이 기록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은 다른 Smart contract의 내용을 알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이 오프체인에서 이루어지고, 온체인에는 실행의 그 결과만이 기록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은 다른 Smart contract의 내용을 알 수 없게 된다.
 
<ref name="af"></ref>
 
<ref name="af"></ref>
 
+
===sMPC(Secure Multi Party Computation)===
===SMPC(Secure Multi Party Computation)===
+
오프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컨트랙트의 내용이 노출되지 않지만, 아직 완벽한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노드(Enigma에서는 Enigma SGX node)들은 연산을 실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컨트랙트 내용을 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Enigma는 노드들 역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sMPC 기술을 사용한다. Enigma의 sMPC 기술은 한 사람이 아닌 다수가 함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연산이 필요한 데이터가 쪼개져서 각 노드들에게 분배되고, 이 노드들이 함께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오프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컨트랙트의 내용이 노출되지 않지만, 아직 완벽한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노드(Enigma에서는 Enigma SGX node)들은 연산을 실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컨트랙트 내용을 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Enigma는 노드들 역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SMPC]] 기술을 사용한다. [[에니그마]](Enigma)의 [[SMPC]] 기술은 한 사람이 아닌 다수가 함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연산이 필요한 데이터가 쪼개져서 각 노드들에게 분배되고, 이 노드들이 함께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노드들은 각각 데이터 일부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떠한 노드도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 조각을 가지고 전체 데이터의 내용을 추측할 수 없다. 그래서 노드들이 스마트 컨트랙트 연산 과정을 수행하지만,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긴 어떤 정보도 알 수 없어 스마트 컨트랙트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것이다.<ref name="af"></ref>
 
노드들은 각각 데이터 일부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떠한 노드도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 조각을 가지고 전체 데이터의 내용을 추측할 수 없다. 그래서 노드들이 스마트 컨트랙트 연산 과정을 수행하지만,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긴 어떤 정보도 알 수 없어 스마트 컨트랙트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것이다.<ref name="af"></ref>
  
===디앱===
+
===DAPP===
[[디앱]](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줄임말로 사전 그대로 해석하면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뜻이다. 구글 플레이나 애플 앱스토어 앱에서는 구글과 애플이 사용 정보들을 소유한다. 그러나 디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상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 및 [[구동]]하는 앱이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디앱(DApp)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앱으로 설명된다.
+
디앱(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줄임말로 사전 그대로 해석하면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뜻이다. 구글 플레이나 애플 앱스토어 앱에서는 구글과 애플이 사용 정보들을 소유한다. 그러나 디앱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상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 및 구동하는 앱이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디앱(DApp)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앱으로 설명된다.
 
* 정보 저장/보안: 분산된 개인 간 네트워크에 저장으로 해킹의 어려움이 있다.
 
* 정보 저장/보안: 분산된 개인 간 네트워크에 저장으로 해킹의 어려움이 있다.
 
* 데이터 삭제 여부: 데이터나 거래는 생성된 뒤 삭제가 불가능하다.
 
* 데이터 삭제 여부: 데이터나 거래는 생성된 뒤 삭제가 불가능하다.
* 정보 [[투명성]]: 모두 공개되고 공공 [[거래 장부]]에 모두 기록한다.
+
* 정보 투명성: 모두 공개되고 공공 거래 장부에 모두 기록한다.
* [[가동성]]: 일부 블록이 다운되어도 다른 블록들이 동일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가동성: 일부 블록이 다운되어도 다른 블록들이 동일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사용자 비용: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토큰/코인이 필요하다.
 
* 사용자 비용: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토큰/코인이 필요하다.
* 유저 [[친화성]]: 지갑,토큰,거래 등 현재까지는 학습하는데 시간 필요하다.
+
*유저 친화성: 지갑,토큰,거래 등 현재까지는 학습하는데 시간 필요하다.
* 거래 속도: 사용하는 블록체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느리다.
+
* 거래 속도: 사용하는 블록체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느리다.
* [[구동 방식]]: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정보를 가져오게 된다.<ref>구현모,〈[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5027 탈중앙화 앱, 디앱(DApp)! 미래인가? 유행인가?]〉, 《KOTRA》, 2019-05-20</ref>
+
* 구동 방식: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사용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정보를 가져오게 된다.<ref>구현모,〈[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5027 탈중앙화 앱, 디앱(DApp)! 미래인가? 유행인가?]〉, 《KOTRA》, 2019-05-20</ref>
  
 
==기술==
 
==기술==
* One-time Use Payment Addresses: 거래마다 발송인이 1회적인 주소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수신인에게 간접적으로 [[암호화폐]]를 전달한다.
+
* One-time Use Payment Addresses: 거래마다 발송인이 1회적인 주소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수신인에게 간접적으로 암호화폐를 전달한다.
 
* Stealth Addresses: 거래마다 수신인이 1회적인 주소를 생성하여 발송인이 해당 주소를 통해 암호화폐를 전달한다.
 
* Stealth Addresses: 거래마다 수신인이 1회적인 주소를 생성하여 발송인이 해당 주소를 통해 암호화폐를 전달한다.
* [[믹싱]](Mixing): 2개 이상의 거래를 혼합하여 특정 거래에 참여하는 거래 대상을 추측하기 어렵게 한다.
+
* Mixing: 2개 이상의 거래를 혼합하여 특정 거래에 참여하는 거래 대상을 추측하기 어렵게 한다.
* [[링서명]](Ring Signatures): 거래 당사자의 공개 키 및 임의로 선택된 다른 사람들의 공개키를 포함한 키 [[그룹]]을 형성하여, [[트랜잭션]]이 키 그룹 내의 어느 키로 서명되었는지 추측하기 어렵게 한다.
+
* Ring Signatures: 거래 당사자의 공개 키 및 임의로 선택된 다른 사람들의 공개키를 포함한 키 그룹을 형성하여, 트랜잭션이 키 그룹 내의 어느 키로 서명되었는지 추측하기 어렵게 한다.
* Pedersen Commitments: [[무차별 대입]]을 통해 데이터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반면 데이터 [[해시]]를 게시하여 데이터 [[진위]]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암호화 메커니즘]]이다.
+
* Pedersen Commitments: 무차별 대입을 통해 데이터 일부분을 암호화하는 반면 데이터 해시를 게시하여 데이터 진위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암호화 메커니즘이다.
* [[영지식증명]](ZKP; zero-knowledge proofs): 당사자가 어떠한 정보 공개 없이 해당 진술이 사실임을 다른 사람에게 증명할 수 있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
* ZKP(zero-knowledge proofs): 당사자가 어떠한 정보 공개 없이 해당 진술이 사실임을 다른 사람에게 증명할 수 있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 Sidechains & State Channels: 오프체인상에서 트랜잭션 처리한다.
 
* Sidechains & State Channels: 오프체인상에서 트랜잭션 처리한다.
* TEE: 하드웨어 기반의 [[안전실행환경]]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
* TEE: 하드웨어 기반의 안전실행환경에서 트랜잭션 처리한다.
* [[SMPC]]: 다수의 노드가 하나의 트랜잭션을 나눠서 연산 처리한다.<ref name="af"></ref>
+
* sMPC: 다수의 노드가 하나의 트랜잭션을 나눠서 연산 처리한다.<ref name="af"></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권승원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2665 블록체인 스타트업,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장 프로토콜 공개]〉, 《토큰포스트》, 2018-05-16
+
* 권승원 기자,〈[https://www.tokenpost.kr/article-2665 블록체인 스타트업,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장 프로토콜 공개]〉, 《토큰포스트》, 2018-05-16
* Lucia Kim, 〈[https://medium.com/decon-lab/%EB%B8%94%EB%A1%9D%EC%B2%B4%EC%9D%B8%EC%9D%84-%ED%86%B5%ED%95%B4-%EB%82%B4-%EA%B0%9C%EC%9D%B8%EC%A0%95%EB%B3%B4%EA%B0%80-%EB%85%B8%EC%B6%9C%EB%90%9C%EB%8B%A4%EB%A9%B4-%EB%B8%94%EB%A1%9D%EC%B2%B4%EC%9D%B8-%ED%94%84%EB%9D%BC%EC%9D%B4%EB%B2%84%EC%8B%9C%EC%9D%98-%ED%98%84-%EC%A3%BC%EC%86%8C%EC%99%80-%EB%8B%A4%EA%B0%80%EC%98%AC-%EB%AF%B8%EB%9E%98-b1ada8315444 블록체인을 통해 내 개인정보가 노출된다면?-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현주소와 다가올 미래]〉, 《DECON》
+
* Lucia Kim,〈[https://medium.com/decon-lab/%EB%B8%94%EB%A1%9D%EC%B2%B4%EC%9D%B8%EC%9D%84-%ED%86%B5%ED%95%B4-%EB%82%B4-%EA%B0%9C%EC%9D%B8%EC%A0%95%EB%B3%B4%EA%B0%80-%EB%85%B8%EC%B6%9C%EB%90%9C%EB%8B%A4%EB%A9%B4-%EB%B8%94%EB%A1%9D%EC%B2%B4%EC%9D%B8-%ED%94%84%EB%9D%BC%EC%9D%B4%EB%B2%84%EC%8B%9C%EC%9D%98-%ED%98%84-%EC%A3%BC%EC%86%8C%EC%99%80-%EB%8B%A4%EA%B0%80%EC%98%AC-%EB%AF%B8%EB%9E%98-b1ada8315444 블록체인을 통해 내 개인정보가 노출된다면?-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의 현주소와 다가올 미래]〉, 《DECON》
* 가이 지스킨드, 〈[https://blog.enigma.co/defining-secret-contracts-f40ddee67ef2 비밀 계약 정의]〉, 《이니그마 블로그》, 2018-04-04
+
*〈[http://wiki.hash.kr/index.php?title=%EC%9D%B4%EB%8B%88%EA%B7%B8%EB%A7%88&mobileaction=toggle_view_mobile#/search 이니그마]〉, 《해시넷》
 +
* 가이 지 스킨 드,〈[https://blog.enigma.co/defining-secret-contracts-f40ddee67ef2 비밀 계약 정의]〉, 《enigma블로그》, 2018-04-04
 
*〈[https://blog.theloop.co.kr/2017/03/28/%EC%8A%A4%EB%A7%88%ED%8A%B8-%EC%BB%A8%ED%8A%B8%EB%9E%99%ED%8A%B8smart-contract-%EA%B0%9C%EC%9A%94-1/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개요 -1]〉, 《아이콘루프》, 2017-03-28
 
*〈[https://blog.theloop.co.kr/2017/03/28/%EC%8A%A4%EB%A7%88%ED%8A%B8-%EC%BB%A8%ED%8A%B8%EB%9E%99%ED%8A%B8smart-contract-%EA%B0%9C%EC%9A%94-1/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개요 -1]〉, 《아이콘루프》, 2017-03-28
* 구현모,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5027 탈중앙화 앱, 디앱(DApp)! 미래인가? 유행인가?]〉, 《KOTRA》, 2019-05-20
+
* 구현모,〈[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75027 탈중앙화 앱, 디앱(DApp)! 미래인가? 유행인가?]〉, 《KOTRA》, 2019-05-20
  
 
==같이 보기==
 
==같이 보기==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