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그래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꿈의 신소재로 불리우는 그래핀은 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매우 얇고 투명하지만, 강도가 세고 열전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전자 이동도 빠르다.]]
 
 
 
'''신소재'''(advanced materials)는 금속·무기(無機)·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제조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용도를 가지게 된 소재로서 신금속재료, 비금속 무기재료, 신고분자재료, 복합재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신소재'''(advanced materials)는 금속·무기(無機)·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제조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용도를 가지게 된 소재로서 신금속재료, 비금속 무기재료, 신고분자재료, 복합재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45번째 줄: 43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5977&cid=40942&categoryId=32335 신소재]〉, 《두산백과》,
 
 
* 김경한 기자,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802 LG화학, 배터리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1200톤 증설]〉, 《테크월드뉴스》, 2020-04-27
 
* 김경한 기자,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802 LG화학, 배터리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1200톤 증설]〉, 《테크월드뉴스》, 2020-04-27
 
* 김영준 기자, 〈[https://m.etnews.com/20200311000189?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꿈의 신소재'로 대용량 배터리 만든다]〉, 《전자신문》, 2020-03-11
 
* 김영준 기자, 〈[https://m.etnews.com/20200311000189?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꿈의 신소재'로 대용량 배터리 만든다]〉, 《전자신문》, 2020-03-11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