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신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신진자동차'''(Shinjin)]]
 
[[파일:신진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신진자동차'''(Shinjin)]]
 
[[파일:김창원.jpg|썸네일|200픽셀|'''[[김창원]]'''(金昌源) 전 [[신진그룹]] 회장]]
 
[[파일:김창원.jpg|썸네일|200픽셀|'''[[김창원]]'''(金昌源) 전 [[신진그룹]] 회장]]
[[파일:김제원.jpg|썸네일|200픽셀|'''[[김제원]]'''(金濟源)]]
+
[[파일:김제원.jpg|썸네일|300픽셀|'''[[김제원]]'''(金濟源)]]
  
 
'''신진자동차'''<!--신진 자동차-->(Shinjin)는 1955년 설립된 [[신진그룹]]의 자동차 회사로 [[한국GM]]의 전신이다. 외환사정의 악화로 SKD부품수입이 도입금지된 1963년 5월 [[새나라자동차공업㈜]]가 문을 닫고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던 [[새나라자동차공업㈜]]의 현대식 자동차 조립공장은 1965년 '''[[김창원]]'''의 신진공업으로 소유주가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신진자동차로 사명을 바꾸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제휴해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려고 했으나 토요타가 1972년 주4원칙을 따라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계획은 공중분해되고 GM과 제휴하였다. 신진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를 설립했다. GM코리아는 1972년 '쉐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대우자동차(현재 GM대우)가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진자동차는 ㈜거화로 바꾸고 쌍용 코란도를 1983년 처음 내놓고 생산하였으나, 회사 내부 갈등으로 웃지 못할 흑자도산으로 문을 닫으며 쌍용 코란도를 동아자동차(現 쌍용자동차)로 넘기는 계기를 맞았다.
 
'''신진자동차'''<!--신진 자동차-->(Shinjin)는 1955년 설립된 [[신진그룹]]의 자동차 회사로 [[한국GM]]의 전신이다. 외환사정의 악화로 SKD부품수입이 도입금지된 1963년 5월 [[새나라자동차공업㈜]]가 문을 닫고 경기도 부평(현재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있던 [[새나라자동차공업㈜]]의 현대식 자동차 조립공장은 1965년 '''[[김창원]]'''의 신진공업으로 소유주가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신진자동차로 사명을 바꾸고 일본 [[토요타]] 자동차와 제휴해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려고 했으나 토요타가 1972년 주4원칙을 따라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계획은 공중분해되고 GM과 제휴하였다. 신진자동차는 제너럴 모터스(GM)과 합작으로 GM코리아를 설립했다. GM코리아는 1972년 '쉐보레'와 '레코드'를 양산하였고, 1976년 한국측 지분을 산업은행이 인수하여 '''새한자동차'''로 회사명을 바꾸고 다시 1978년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대우그룹]]에 넘김으로써 대우자동차(현재 GM대우)가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진자동차는 ㈜거화로 바꾸고 쌍용 코란도를 1983년 처음 내놓고 생산하였으나, 회사 내부 갈등으로 웃지 못할 흑자도산으로 문을 닫으며 쌍용 코란도를 동아자동차(現 쌍용자동차)로 넘기는 계기를 맞았다.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